‘코로나19’ 팬데믹 뇌졸중·당뇨환자·흡연자, 코로나19 취약 원인 밝혀졌다입력 2020.06.20 (21:22) 수정 2020.06.20
[앵커]
뇌졸중이나 당뇨 환자, 또 흡연자가 코로나19에 걸리면 중증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방역당국이 고위험군으로 분류한 바 있는데요.
이런 만성질환자가 코로나19에 취약한 이유를 국내 연구팀이 찾아냈습니다.
박광식 의학전문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국내 코로나19 사망자 대부분은 만성질환잡니다.
이중 77%는 뇌졸중 같은 심뇌혈관 질환이 있었고 44%에선 당뇨병을 확인했습니다.
만성질환이 있는 사람은 그만큼 코로나19에 취약하단 겁니다.
[엄중식/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교수 : "병원에 도착했을 때 상당히 진행한 폐렴 상태에서 진단됐는데 뇌졸중이 온 상태에서 요양병원에 입원하고 계시다가 코로나 19 확진이 된 환자가 있었습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표면엔 뾰족한 돌기 단백질이 있는데 이 모양과 딱 들어맞는 ACE2라는 특정 단백질이 결합해야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 내로 쉽게 침투해 파괴하는 원립니다.
실제로 국립보건연구원은 뇌졸중을 유발한 실험용 쥐를 대상으로 주변 혈관과 뇌세포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시간이 지날 수록 ACE2 단백질 양이 늘어나 약 9배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당뇨병과 담배 연기에 노출시킨 동물·인체 세포에서도 결과는 마찬가지였습니다.
ACE2 단백질이 많으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에 더 잘 달라붙습니다.
[권준욱/국립보건연구원장 : "뇌졸중, 당뇨병 환자 그리고 흡연자에 대해서 코로나19가 몸에 침입할 가능성도 높고 동물실험을 통해서 확인한 것을 (논문에 게재했습니다)."]
게다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 내로 침투하는 과정에서 ACE2 단백질이 소진되기 때문에 혈압상승을 유발하고 중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코로나19 예방을 위해선 금연은 물론 만성질환자인 경우 개인 생활방역지침을 더 철저히 지킬 필요가 있습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창조하신 대로 사는 생활 지식 > 하나님 백성의 건강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집단면역 효과 발휘하려면 인구 43% 면역력 가져야 (0) | 2020.06.25 |
---|---|
코로나19 걸리면 영구적 폐 손상 가능성 (0) | 2020.06.24 |
"코로나 완치돼도 항체 사라질 수 있다" 中·美 연구 보니 (0) | 2020.06.19 |
A형은 위험·O형은 안전..혈액형별 코로나19 위험도 다르다? (0) | 2020.06.18 |
코로나19 첫 치료제? "덱사메타손, 중증환자 사망률 크게 낮춰"(종합) (0) | 2020.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