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년 전 불의의 사고로 순직한 조종사 고 박인철(공사 52기) 소령이 인공지능(AI) 기술로 어머니와 재회한다.
국방홍보원 국방TV는 5일 ‘그날 군대 이야기 고 박인철 소령을 만나다’ 편에서 AI 딥페이크 기술로 복원한 박 소령의 모습을 공개했다.
박 소령의 어머니 이준신씨는 “인철이를 저렇게라도 한 번 볼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며 눈물을 흘렸다.


이후 박 소령의 모습을 복원한 가상 인간이 모니터에 등장해 “엄마, 인철이에요. 엄마, 너무 보고 싶었어요. 저는 조종사가 되기 위해 태어난 것 같아요”라고 말하자, 이씨는 눈물을 머금고 “인철아 보고 싶었어”라고 말했다.
박 소령 AI는 또 “저는 잘 지내고 있어요. 아버지도 만났어요. 아버지랑 그동안 못한 이야기 많이 했어요. 아버지 만나서 행복하게 잘 지내고 있어요. 아버지가 어머니와 동생을 많이 걱정해요”라고 말한다. 이에 이씨는 “진짜로 널 이렇게 만날 수 있으면 얼마나 좋겠니. 만나면 하고싶은 얘기도 많고 하고 싶은 것도 많았는데. 예전처럼 여행도 하면 얼마나 좋을까”라고 답했다.
박 소령은 16년 전인 2007년 7월 야간비행 훈련 중 KF-16 전투기 추락으로 순직했다. 박 소령의 아버지인 고 박명렬 소령도 1984년 3월 팀스피리트 훈련 중 순직했다. 부자는 국립서울현충원에 나란히 안장됐다. 현재 충북 청주시 공군사관학교에는 이들 부자와 전투기가 한 몸으로 표현된 ‘기인동체’(機人同體)의 흉상이 세워져 있다.

국방부는 “임무 중 전사하거나 순직한 장병의 유가족을 위로하고, 호국영웅의 숭고한 희생에 예우를 표할 방법을 고민하면서 프로젝트를 기획했다”고 제작 의도를 전했다.
국방부가 AI를 활용해 순직 장병의 모습을 복원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