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 연구진
![](https://blog.kakaocdn.net/dn/5Ht3r/btrQOz5Gpq5/n9jT7eNwHzSQTbSSCim3j0/img.jpg)
국내 연구팀이 우리 자생식물인 ‘벌개미취’와 ‘더덕’의 항바이러스 효과를 증명했다. 벌개미취에 함유된 ‘아스터사포닌 I’와 더덕의 ‘란세마사이드 A’라는 성분이 코로나바이러스의 세포 내 침입 경로인 세포막 융합을 막아 감염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창준 기초과학연구원(IBS) 생명과학연구클러스터 소장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항바이러스연구’에 지난 10월 온라인으로, 국제학술지 ‘항균제 및 화학요법’ 11월호 온라인판에 게재했다고 9일 밝혔다.
벌개미취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식물로 한반도에서만 자라는 고유식물이다. 더덕은 초롱꽃과에 속하는 다년생덩굴식물로 한반도 전역의 산과 들에 자라고 있다. 이 두 식물들에 함유된 특정 물질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을 막는다는 분석이다.
코로나바이러스 입자는 엔도좀이나 세포 표면 형질막과 융합한 형태로 인체 세포 내로 들어오게 된다. 이 두 경로는 공통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 외피막과 인체세포 세포막 사이의 ‘막 융합’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친다. 두 식물의 특정 물질은 막 융합 과정을 막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막 융합을 막는다는 것은 코로나 바이러스 세포 내 감염경로를 모두 차단한다는 것”이라며 “초기 코로나바이러스 뿐 아니라 오미크론 등 변이에 대해서도 동일한 효율로 감염을 억제했다”고 설명했다.
두 식물의 특정 물질이 막 융합 과정을 막는 것은 해당 물질의 구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두 물질 모두 중앙골격구조가 세포막의 주요구성물질인 콜레스테롤과 매우 유사하고 한쪽에 길게 당이 붙어 있는 구조다. 세포막이 콜레스테롤과 유사한 이들 사포닌의 중앙부를 세포막 안으로 받아들이고 한쪽에 길게 붙어있는 당 부위가 세포막 밖으로 돌출되면 이 돌출된 부분이 코로나바이러스 외피막과의 막융합을 가로 막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번 연구는 세포실험 단계의 연구결과다. 연구팀은 동물 실험과 임상시험을 추가로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이 소장은 “벌개미취, 더덕, 도라지에 포함된 트라이터페노이드 사포닌은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식품과 생약의 주요성분”이라며 “섭취 시 상기도의 상피세포에 고농도로 노출될 수 있어 무증상환자나 초기 환자에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관련 태그 뉴스
-
"기후변화로 70년간 한국과 독일서 극한 홍수 2~4배 발생"
이산화탄소 배출을 급격히 줄이지 않으면 향후 70년 간 한국과 독일의 극한 홍수 현상이 2~4배 더 자주 발생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기후물리연구단이 지난 5일 부산 낙동강하구에코센터에서 열린 '한-독 기후 라운드테이블'에서 슈퍼컴퓨터 '알레프(Aleph)'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소개하며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지 않으면 극한 홍수 현상이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고 7일 밝혔다. 이날 참가자들은 기후변화가 촉발한 독일과 한국의 이상기후 현상에 대해 논의했다. 지난해 7월 독일 서부에서 100년...
-
바늘보다 얇게, 머리카락만큼 가늘게…초미세 내시경 나왔다
영국 과학자들이 직경 1mm 두께의 미세 내시경을 개발했다. 체내 아주 작은 크기의 암세포를 구별할 수 있으며 촬영한 영상을 이미지로 만드는 속도도 빨라 수술 효율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31일(현지시간)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ICL)에 따르면 쿠시 비아스 햄린로봇수술센터 연구원팀은 새롭게 개발된 미세 내시경을 실제 수술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임상실험에 돌입했다. 기존 내시경은 두께가 두꺼워 환자의 체내에 삽입 후 주변 장기를 건드릴 위험이 높다. 체내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영상장비로 전달하는 데도 시간이...
-
'다누리' 떠났는데 항우연 달 탐사 연구원 수당은 '미해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원 16명은 2020년 4월 "연구수당 5개월치를 부당하게 받지 못했다”며 항우연을 상대로 소송을 냈다. 지난해 4월 1심에서 ‘달 탐사 사업이 중단된 바 없고 연구원들은 계속 업무를 수행했다’는 이유로 원고 측이 승소했다. 현재 항소심 선고를 앞두고 있다. 지난 8월 한국 달 궤도 탐사선 ‘다누리’는 이미 달을 향해 떠났지만 아직 연구원들의 수당 문제는 미해결 상태다.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8일 기초과학연구원(IBS)에서 진행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연구기관 대상 국정감...
-
코로나 백신 3차례 이상 접종하면 면역 효과 오래 지속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3차 접종)을 접종하면 오미크론 변이뿐 아니라 초기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예방효과가 있다는 국내 연구결과가 공개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최영기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신변종바이러스연구센터장과 신의철 바이러스면역연구센터장 등 공동연구팀이 백신 접종을 통해 생성된 중화항체의 면역 효과를 확인해 국제학술지 '셀 리포트 메디신' 10월호에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코로나19 초기형, D614G 변이,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에 각각 감...
관련기사
- 고재원 기자jawon1212@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