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창조론 연구 자료실/창조론 연구를 위한 과학 뉴스

지난해 낙뢰 8만2651회...장마 길어져 26% 늘어

heojohn 2021. 5. 28. 23:51

2021.05.26 16:36

 

기상청 26일 2020 낙뢰연보 발간

지난해 하늘에서 땅으로 떨어지는 번개인 ‘낙뢰’가 국내에서 8만2651회 관측됐다. 위키피디아 제공

 

지난해 국내에서 구름과 지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방전현상인 낙뢰가 8만2651회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26% 증가한 것으로 7~8월에 장마가 길어지면서 낙뢰 횟수가 증가한 게 원인으로 꼽힌다. 연간 가장 많이 낙뢰가 발생한 지역은 광주광역시로 나타났다. 


기상청은 26일 전국의 21개 낙뢰관측망에서 관측된 자료를 분석한 ‘2020 낙뢰연보’를 발간했다. 연보는 월별 광역시도별과 시군구별 낙뢰 발생횟수, 단위 면적당 횟수, 낙뢰 횟수 공간 분포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8만2651회의 낙뢰가 관측됐다. 최근 10년간 평균인 11만7681회보다 30% 적고 지난해 6만 5721회보다 26% 증가한 것이다. 낙뢰가 가장 많이 발생한 달은 8월로 3만5332회였다. 연간 낙뢰의 약 43%가 8월 발생했다. 8월을 포함해 같은 여름철인 6~7월까지 합치면 이때 연간 낙뢰의 73%가 집중됐다. 지난해 봄인 3~5월 낙뢰 발생 횟수는 최근 10년 월평균에 비해 적었다.


정성화 기상청 레이더분석과 연구관은 “지난해 7월 22일부터 8월 11일까지 유난히 길었던 장마 때문에 낙뢰가 많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광역시·도별로 면적당 가장 많인 낙뢰가 떨어진 곳은 광주이고, 그 다음이 대전, 호남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비가 많이 내리는 7월에 가장 많이 낙뢰가 떨어진 지역은 대전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이 충남, 부산, 경남 순으로 나타났다. 8월은 광주, 전남, 서울, 경기 순으로 낙뢰가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낙뢰는 산불을 유발한다. 산불 감시 목적으로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다만 날씨 특성에 따라 편차가 커서 예측하기 쉽지 않다. 큰 경향성도 없다. 10년 간 낙뢰 관측에서도 경향성은 발견되지 않는다. 정 연구관은 “낙뢰는 그 해 기상상황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고 말했다. 


박광석 기상청장은 “등산, 캠핑 등 여름철 야외활동 증가로 낙뢰 위험에 더 많이 노출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며 “연보가 낙뢰 예방 및 피해 경감대책 마련 등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보는 기상청 행정 누리집 (http://km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1996년부터 지난해까지 자료가 구비돼 있다.
 

관련 태그 뉴스

    •  

올해 5월 기상관측사상 우박 가장 많이 떨어졌다

    •  

올해 5월 기상관측사상 우박 가장 많이 떨어졌다

28일 중부지방과 호남, 경북을 중심으로 강한 천둥∙번개와 함께 우박, 돌풍을 동반한 강한 비가 내릴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27일 우박 예보와 함께 “비닐하우스와, 전신주 등 시설물과 외부에 주차되어 있는 차량, 과수 등 농작물 피해가 없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우박은 얼음이나 얼음 덩어리 모양으로 내리는 강우 현상이다. 대기 중 얼음 결정을 뜻하는 ‘빙정’과 구름 하부에서 녹은 얼음과 우박 알갱이를 뜻하는 ‘수적’이 혼합된 구름과 강한 상승기류 등의 조건이 형성될 때 나타난...

    •  
    •  

올 여름, 평년보다 덥고 국지성 호우 많다

    •  

올 여름, 평년보다 덥고 국지성 호우 많다

올해 여름은 평년보다 대체로 덥고 국지적으로 많은 비가 올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일본에서 65년 만에 가장 이른 장마가 시작됐지만 국내에선 평년과 비슷한 6월 하순에 장마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24일 전국 62개 관측지점의 올 여름(6월1일~7월23일) 평균 기온을 계산한 결과 6~7월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거 높을 확률이 각각 40%, 8월은 50%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최근 10년 동안 평년대비 평균기온이 6월은 0.도, 7월은 0.4도, 8월은 0.7도 올라가 기온 증가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기상청이 이날 공개한 3개월 전망 해설서에 따르면 평년...

    •  
    •  

기상청 온실가스 기원 추적 나선다

    •  

기상청 온실가스 기원 추적 나선다

한국이 만든 온실가스 기원 추적 모델이 세계기상기구(WMO)로부터 공식 승인을 받았다. 온실가스 입체관측망과 전 지구 온실가스 기원추적 모델 개발에 착수하게 된다. 기상청은 21일 국립기상과학원이 추진하는 ‘고분해능 전 지구 온실가스 기원추적 모델’ 사업이 세계에서 5번째, 아시아에서는 최초로 WMO 통합전지구온실가스 과학정보시스템 공식 프로젝트로 승인됐다고 밝혔다. 통합전지구온실가스 과학정보시스템은 온실가스 관측자료와 기상모델을 결합해 온실가스의 기원을 추적 분석하는 시스템으로 WMO가 2015년부터 프로...

    •  
    •  

[인사]기상청

◇기상청 △수도권기상청장 신도식

    •  

[인사]기상청

◇기상청 △수도권기상청장 신도식

  •  

태그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