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6wuNK/btslMWhKe71/ol2UARBQJrz8JItKC87wKk/img.jpg)
영국에 서식하는 박쥐에게서 사람에게 감염될 가능성이 있는 코로나바이러스 9종이 새롭게 발견됐다. 일부는 전세계 감염병 대유행을 일으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0)을 유발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와 친척뻘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에 확인된 코로나바이러스들은 인간 세포를 감염시키는 힘이 약하기 때문에 당장 감염 확산을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하면서도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빈센트 새볼라이넨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ICL) 교수 연구팀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27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외막이 둘러싸인 메신저리보핵산(RNA) 유전체를 가진 바이러스다. 바이러스 입자 표면에 곤봉 모양의 돌기가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사람, 포유동물, 조류에서 발견된다.
코로나바이러스 과에는 다양한 바이러스들이 속한다.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을 유발하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SARS-CoV)와 중동 호흡기 증후군(MERS)을 유발하는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MERS-CoV)가 대표적이다. 2019년 12월 발견돼 이후 전세계로 확산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도 코로나바이러스의 일종이다.
연구팀은 코로나19 유행을 주도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이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박쥐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영국에서 서식하는 박쥐 17종 중 16종에서 대변 샘플 48개를 수집해 유전적인 특징을 분석했다. 그 결과 9종의 코로나바이러스가 확인됐다.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4종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와 같은 아속인 사르베코바이러스로 분류됐다. 1종은 메르스를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와 유사했다.
새롭게 발견된 코로나바이러스들은 인체에 감염되는 힘이 강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와 같은 아속의 바이러스들은 인간 세포와 결합하는 기능을 하는 돌기 모양의 단백질(스파이크 단백질)을 갖고 있었지만, 결합하는 힘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만큼 강하지 않았다. 인간 세포 표면에서 바이러스와 결합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2(ACE2)의 수치가 아주 높을 때만 감염이 일어났다.
연구팀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번에 확인된 코로나바이러스들은 사람에게 감염되고 확산을 일으킬 가능성은 낮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19를 일으킨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처럼 다른 동물을 거쳐 전염된다면 감염병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감염병 사태를 예방하기 위해선 야생동물의 바이러스를 정기적으로 검사하며 감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 태그 뉴스
-
코로나19 주간 일평균 확진 1만6166명…전주 대비 소폭 감소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전주 대비 소폭 감소세를 이어갔다. 26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지난 20~26일 일일 신규 확진자 수는 1만9734명→ 2만961명→ 1만7132명→ 1만6252명→ 1만6414명→ 1만6070명→ 6601명이었다. 이날 0시 기준 누적 확진자 수는 3213만1606명으로 늘었다. 지난주 일평균 확진자는 1만6166명이다. 직전 1주일간 1만6271명과 비교해 0.6%가량 감소했다. 최근 일주일간 일평균 위중증 환자 수는 117명으로 직전주 111명보다 6명 늘었다. 사망자 수는 ...
-
미국국가정보국 "코로나19 우한실험실 유출 증거 찾지 못해“
미국국가정보국(ODNI)이 중국 우한바이러스연구소(WIV)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바이러스가 유출됐다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 ODNI는 다만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실험실에서 유출되고 대유행이 시작됐을 수 있다는 가능성은 여전히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24일 기밀 해제된 ODNI의 4페이지 분량의 보고서에는 이같은 내용이 담겼다. ODNI는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자연환경에서 유출됐다는 가설과 실험실에서 유출됐다는 가설 모두 가정에 의존하거나, 가설과 상반...
-
경증 코로나19 환자도 바이러스 배출 많이 하면 '슈퍼전파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에 감염됐지만 가벼운 증상을 앓은 환자들 중에서도 많은 양의 바이러스를 배출해 상대적으로 많은 사람을 감염시키는 이른바 '슈퍼전파자'가 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15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보도에 따르면 슈퍼전파자가 많은 감염자를 발생시키는 이유가 잦은 접촉 때문이 아니라 호흡을 통해 배출되는 엄청난 양의 바이러스 때문으로 분석됐다. 특히 경증을 보인 코로나19 환자 중에서도 엄청난 양의 바이러스를 공기 중으로 배출해 슈퍼전파자가 될 수 있다는 사실...
-
6월부터 코로나19 격리의무 사라져…'3년 4개월만의 일상회복'
내달 1일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한 격리 의무, 동네 의원과 약국에서의 마스크 착용 의무가 사라진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6월 1일 0시를 기해 코로나19 위기경보 단계를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 조정한다고 31일 밝혔다. 2020년 1월 20일 국내 코로나19 확진자가 처음 나온 이후 3년 4개월여 만에 사실상의 일상회복을 맞는 것이다. 위기단계 하향과 함께 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한 7일 격리 의무가 5일 권고로 전환된다. 실내 마스크 의무 해제 이후에도 예외 공간으로 남아있던 의...
- 박정연 기자hess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