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화 사회의 공포스러운 풍경 묘사
‘플랜 75’의 한 장면. 78세의 미치(바이쇼 지에코)는 75세 이상 노인의 죽음을 국가가 돕는 ‘플랜 75’에 지원한다. 찬란 제공
7일 개봉한 <플랜 75>는 근래 나온 영화 중 가장 공포스러운 작품이다.
배경이 되는 것은 초고령화가 진행된 가까운 미래의 일본 사회. 노인 인구가 늘면서 청년층의 부양 부담이 커지고 정부는 재정 압박을 느낀다. 이 가운데 노인 혐오 범죄가 잇따르자 정부는 특단의 조치를 내린다. 75세 이상 국민의 죽음을 국가가 지원하는 정책 ‘플랜 75’를 세계 최초로 시행한 것이다.
플랜 75 신청자에게는 10만엔(약 90만원)의 돈과 함께 생을 정리할 얼마간의 시간이 주어진다. 24시간 콜센터 상담사가 일대일로 붙어 죽음을 준비하는 이들의 이야기를 들어준다.
TV를 통해 끊임없이 재생되는 플랜 75의 광고 문구는 그럴듯하게 들린다. 의지와 상관없이 태어났지만 죽음만큼은 원하는 때 할 수 있는, 인간의 의지를 최대한 보장하는 선택이란 것이다. 그러나 영화에서 펼쳐지는 실상은 다르다. 스스로 죽음을 선택하는 이들은 결국 갈 곳 없고 가난한 노인들이다.
영화는 혼자 사는 78세 여성 ‘미치’(바이쇼 지에코)를 중심으로 플랜 75로 인해 변화하는 일본 사회의 풍경을 담아낸다. 미치는 꼿꼿한 몸으로 호텔 청소 일을 하며 일상을 꾸려왔지만 하루아침에 해고되고, 빠른 속도로 고립된다. 새로운 일도 집도 구하기 힘들어진 그의 귀에 플랜 75 광고가 들려온다. 플랜 75로 인해 크게 흔들리는 것은 노인만이 아니다. 오래전 소식이 끊긴 삼촌의 신청서를 받게 된 플랜 75 담당 공무원 히로무(이소무라 하야토), 미치에게 배정된 콜센터 상담사 요코(가와이 유미), 시급 높은 일을 찾다 플랜 75 이용자의 유품 처리자가 된 이주 노동자 마리아(스테파니 아리안)의 마음은 급속도로 황폐해진다.
<플랜 75>가 공포스러운 이유는 지극히 현실적이어서다. 영화 속 노인들은 직접적인 학대를 당하지 않는다. 이들이 마주하는 적대는 행정이란 시스템 안에 있고, 그래서 더 차갑다. 공무원들은 노인들이 하릴없이 누워 있지 못하도록 공원 벤치 한가운데 가림막을 설치한다. 구직센터 직원은 일을 구하려는 미치를 깍듯하게 돌려보낸다. 초고령사회 진입을 코앞에 둔 한국에서 곧 벌어질지 모르는, 어쩌면 이미 벌어지고 있는 일들이다.
하야카와 지에 감독은 2016년 7월 벌어진 장애인 살상 사건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20대 남성 우에마쓰 사토시는 자신의 전 직장인 가나가와현의 한 지적장애인 복지시설에 침입, 흉기를 휘둘러 장애인 19명을 살해하고 26명에게 중경상을 입혔다. 경찰에 자수한 그는 “중증장애인은 살아 있어도 가망이 없다”는 차별적 발언을 반복했고, 재판 과정에서도 이 입장을 고수했다.
15세 이상 관람가. 러닝타임 113분. 제75회 칸국제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 초청작이다.
‘플랜 75’의 한 장면. 호텔 청소 일을 하며 생계를 꾸리던 미치는 해고된 뒤 빠른 속도로 고립된다. 찬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