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 간 커뮤니케이션을 학습한 인공지능(AI)이 면역항암 치료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맞춤형 암 치료 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포스텍은 김상욱 생명과학과·융합대학원 교수, 이주훈 생명과학과 박사 연구팀이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회사 ‘이뮤노바이옴’과 AI로 면역항암 치료의 약물 반응성을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암치료를 방해하는 면역관문을 타깃으로 하는 면역관문억제제(ICI)가 항암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환자마다 유전적·환경적 요인이 다르고 종양 특성도 다양해 하나의 ICI에 반응하는 환자는 30%에 불과하다. 환자에게 맞는 맞춤형 ICI 치료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
연구팀은 지난 2022년 세포 안에서 일어나는 단백질 간 상호작용을 컴퓨터에 학습시켜 면역항암 치료 효과를 예측하는 AI 모델을 만들었다. 이번 연구는 한 단계 더 나아가 세포 밖에서 일어나는 세포 간 네트워크를 학습하는 AI를 개발해 환자 반응을 예측했다. 암세포와 면역세포 간 네트워크를 분석해 ICI에 대한 환자 반응성을 예측하는 기계학습 모델을 만든 것이다.
이 모델은 흑색종, 위암, 폐암, 방광암 등 4개의 종양 세포를 가진 환자 700명의 샘플 분석에서 높은 예측 정확도를 보였다. ICI에 대한 반응 여부와 내성 관련 핵심 통신 경로를 확인하고 통신을 담당하는 수·송신 세포를 찾는 데도 성공했다.
김상욱 교수는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환자별 치료 전략을 세워 맞춤형 면역 항암 치료가 가능해질 것”이라며 “세포 간 통신 네트워크는 면역계가 움직이는 기본 원리로 다른 면역 질환에서도 환자 맞춤형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임신혁 이뮤노바이옴 대표는 “이번에 확보한 기술을 활용해 현재 추진 중인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지난달 31일 게재됐다.
관련 태그 뉴스
-
면역 항암제 치료 전 항생제 사용, 위암 치료 효과 떨어뜨려
진행성 위암 환자의 항생제 사용은 면역 항암제 치료 효과를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진행성 위암 환자가 면역항암제 치료를 받기 전 항생제에 노출되면 무진행 생존율과 전체 생존율이 각각 65%, 55%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세암병원은 정민규‧김창곤 위암센터 교수 연구팀과 정희철 강남세브란스병원 종양내과 교수 등이 참여한 공동연구팀이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셀 리포츠 메디신’ 최신호에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위암 발병률은 아시아에서 특히 높다. 한국에서는 2020년 국가암등록통계 기준...
-
면역항암치료 부작용, AI로 예측한다
국내 연구진이 면역항암치료로 유발되는 부작용의 위험요인을 밝히고 부작용 발생을 미리 알 수 있는 인공지능(AI) 딥러닝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 KAIST는 최정균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와 박숙련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면역항암제 치료를 받은 고형암 환자에 대한 대규모 전향적 코호트를 구축하고 다차원적 분석을 통해 면역항암제 부작용의 위험요인을 규명했다고 22일 밝혔다. 인공지능(AI) 딥러닝을 이용해 치료 전 환자에게서 부작용이 나타날지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까지도 개발했다고 알렸다. 기존 면역항암제 부작...
-
키트루다, 모든 고형암 대상 FDA 정식 승인...면역항암제 중 최초
미국 머크(MSD)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가 바이오마커를 가진 모든 고형암에 대한 적응증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받았다. 바이오마커를 기반해 모든 고형암에 대해 면역항암제가 완전 승인을 받은 첫 사례다. MSD는 키트루다가 다른 치료방법이 없으면서 절제 불가능하거나, 고도 현미부수체 불안정성(MSI-H), 불일치 복구 결핍(dMMR) 고형암이 있는 성인 및 소아 환자에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식 승인됐다고 30일(현지시간) 밝혔다. 키트루다는 앞서 지난 2017년 이 적응증들에 대해 신속승인을 받은 바 있다...
-
암세포 죽이는 단백질 늘린다...면역항암제 효능 '업'
국내 연구팀이 몸 속 면역세포로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치료법인 ‘면역 항암’의 효능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박승범 서울대 화학부 교수와 이동섭 서울대 의대 교수 공동 연구팀은 면역항암제의 효능을 높이는 기술인 ‘UPPRIS’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앙게반테 케미 인터내셔널 에디션’에 2월 24일 첫 공개됐으며 3월호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면역 항암요법은 인체의 면역체계를 활성화해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1세대 치료법인 화학항암...
- 문세영 기자moon09@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