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신학 연구/기독교 역사 이야기 40

일제 초기 한민족 독립운동과 사상적 동향-신민회의 발기

1910년 일제의 식민지 지배를 받게 되면서부터 조국을 잃은 한민족은 한반도뿐만 아니라 중국(특히 만주 지방), 러시아 극동지역, 미국 및 일본 등 곳곳에서 흩어져 살고 있었다. 망국의 한을 품은 한민족의 국권회복 운동은 세계 각지 어느 곳에서 무슨 일을 하면서 살든지, 일본제국의 지배를 벗어나 한민족의 근거지 한반도에 독립국가를 세우려는 염원을 품고 있었다. 이렇게 보면, 당시 한민족은 누구나 독립운동에 관련되지 않은 사람이 없었다. 당시 러시아 극동지역과 만주에는 한민족 이주자들이 많았고, 독립운동가들도 망명하여 살고 있었다. 합병을 전후한 시기에 먼저 이곳으로 망명한 사람들은 대부분 의병이었거나 무관 출신들이었다. 이들이 망명하지 않을 수 없었던 이유는 일제가 국내에서 이들의 반일활동을 철저히 봉쇄..

초기 러시아 정교회와 공산주의의 유입

1) 러시아 한민족 사회의 형성과 정교회의 선교 만주와 한반도에 인접해 있는 러시아 극동 연해주 지역은 불을 사용하지 못하고 동굴에 살던 고대 인류의 유적까지 발굴되고 있다. 중국과 일본 기록에 의하면, 부여와 고구려 그리고 발해로 이어지는 고대 한민족이 다른 부족들과 함께 살고 있었다. 연해주 지역은 발해가 멸망된 이후 중국 영토였으나, 러시아가 1860년에 청나라로부터 획득한 것이다. 러시아는 1870년대에는 알래스카와 캘리포니아까지 지배하였다. 그런데 연해주 지역이 러시아 영토로 편입된 이후 한반도에서 조선인들이 이곳으로 새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이 무렵의 이주민들은 함경도 지방에서 계속 반복되는 가뭄과 홍수로 인한 흉년을 피해 들어온 농민들이 대부분이었다. 당시 이 지역은 비옥한 토지였지만 아무도..

개혁신학이 과학발전에 미친 영향

-16세기에서 18세기까지 1. 서론 역사적으로 종교개혁은 1517년 마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의 95개조의 항의문 발표에 의해 촉발된 것으로 보고 있으며, 과학혁명은 코페르니쿠스(Nicolaus Copernicus, 1473-1543)가 1543년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를 발표한 것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두 사람에 의하여 종교와 과학에서 혁명이 일어나기 이전의 중세에서는, 과학은 로마가톨릭교회 신학의 한 부분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보고 있었다. 그래서 과학은 신학의 시녀(ancilla theologiae)로 불렸으며, 그 역할은 로마가톨릭교회의 교리를 설명하는 일에 봉사하는 것에 불과했다. 그러나 이렇게 동시대에 일어난 두 개의 혁명을 통해 로마가톨릭교회의 ..

“필리오크베”교리논쟁이 기독교 영성에 미친 영향

“필리오크베”교리논쟁이 기독교 영성에 미친 영향 - 동, 서 교회의 분열을 중심으로 목 차 I. 시작하는 말 II. 초기교회의 교리논쟁과 공의회에서 결정한 신조들 1. 초기 7개 공의회와 신조들 2. 기타 회의와 신조들 III. “필리오크베” 교리논쟁이 교회 분열에 미친 영향 1. 어거스틴의 삼위일체론에서..

초기 그리스 철학-소크라테스 알기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자들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자들의 첫째 공통점은 우주에 관한 일반 이론을 만들려고 했다는 점이다. 그 방법은 신들이 모든 것을 창조했다는 신화(mythos)를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관찰과 추론을 통해서 겉으로 보이는 것의 배후에 있는 비밀을 편견이 없고 호기심을 가진 사람들에게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만드는 것이다. 또 하나의 공통점은 그리스 세계의 변방이나 식민지, 즉 이오니아와 밀레투스 출신이라는 것이다. 그들에 관해서 전해오는 단편적인 이야기들을 요점적으로 정리해본다. 탈레스(BC 580년경) 최초의 철학자로 기록된 인물, 밀레투스 학파, 철학적 명언 “모든 사물의 일차적인 원리와 근본적인 본성은 물이다.” 철학적 평가: 최초로 환원론적 사고방식을 도입한 사람 아낙시만드로스..

현대교회사(곤잘레스)-제3부

현대교회사(곤잘레스)-제3부 제3부 20세기 제18장 격변의 시대-309 19세기에 걸쳐 서구문명은 세계를 행복과 번영의 시대로 이끌어갈 것이라는 확신에 불타고 있었다. 중국의 의화단 사건 같은 반작용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선교활동은 눈부시게 발전했다 가까운 장래에 세계의 모든 인구가 기독교 신자가 될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일찍이 세계가 경험하지 못한 참혹한 전쟁을 유발시킬 흐름들이 이러한 표면 아래 소용돌이치고 있었다. 러시아의 혼란은 혁명을 불러왔다. 그리하여 스스로를 ‘제 3의 로마'라고 자칭하고 있었던 러시아교회는 마치 터어키의 침략 앞에 놓여 있던 비잔틴교회의 상황과 비슷한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대내외적으로 경제정책과 전쟁에서 실패한 니콜라스 황제는 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정책을 지향하는 온건 ..

현대교회사( 후스토 L. 곤잘레스) 요약 -제1부

현대교회사( 후스토 L. 곤잘레스) 요약 제1부 정통, 합리주의, 그리고 경건주의 제1장 도그마와 회의의 시대-13 합리주의가 유럽을 휩쓸게 되었다. 모든 인간들이 공유하고 있는 재능인 자유이성이 하나님과 인간의 본성에 관한 근본적 문제들에 관해 답을 줄 수 있는데, 왜 분쟁과 편견만을 낳기 마련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