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cCEN4Q/btsH0AShzC4/Tea2cP4zEZ94CLbAQmSC11/img.jpg)
여든이 다 된 은사님을 모시고 떠난 여행길. 차 안이 춥다 시기에, 에어컨 온도를 높이려니, ‘나 좋으라고 모두 더위에 고생할 필요 없네’라 하신다. 그러고는 외투를 꺼내 입으시며, 껄껄 웃으셨다. “늙어서 그래.” 나이가 들면 왜 체온조절이 어려울까?
인간은 항온동물이다. 주변 온도의 변화에도 일정한 체온을 유지해야 살아갈 수 있다. 송내과의원 송훤택 원장은 “더워지면 피부의 혈류량을 증가시켜 땀샘을 통해 땀을 배출하고, 추워지면 대사 활성화를 통해 체내 열 생산을 높여 지방층이 열 손실을 막아 체온을 조절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런데 나이가 들면 이 기능이 떨어지게 마련이다. 그 밖에도 노화에 따른 심혈관계, 호흡계, 호르몬의 변화도 체온조절의 어려움을 겪게 하는 원인이다. 젊은 사람들에게는 덥거나 춥다고 느끼는 날씨가 노인들에게는 치명적일 수도 있다. 열사병이나 저체온증으로 사망하는 사람 대부분이 노인인 이유다.
![](https://blog.kakaocdn.net/dn/brlYzP/btsHZultpq3/4BgvUurvkkeRJh34iY8M9K/img.jpg)
김진세 정신과 전문의
지구가 뜨거워지고 있다. 겪어보지 못한 극한 기온이 나타날 것이다. 유난히 더울 것 같은 올 여름. 주변 노인에게 관심을 두는 것은 지구온난화를 막는 일만큼이나 중요하다. 시원한 물 한 컵이나 작은 그늘이 한 생명을 구할 수도 있다. 단, 카페인 음료나 맥주는 금물.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