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돼지 신장을 인간에게 이식하는 이종간 이식 실험의 첫 성공 사례가 나왔다. 로이터 통신은 로버트 몽고메리 미국 뉴욕대 랑곤헬스 이식센터장팀이 유전자 조작한 돼지의 신장을 뇌사자의 몸에 이식하는 수술에 성공했다고 10월 20일 보도했다. 이식용 장기가 부족한 상황을 해결할 것으로 기대된다.
돼지는 인간의 몸에 장기를 이식할 잠재력이 있는 동물로 오랫동안 주목받아왔다. 돼지의 장기는 인간의 장기와 크기가 유사하고, 영장류보다 새끼를 많이 낳아 이종간 이식 실험에 적합하다. 실제로 돼지 심장 조직으로 만든 판막을 이식한 사례나 돼지에서 추출한 콜라겐으로 인공 피부를 만들어 화상 환자에게 이식하는 사례는 국내외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돼지 장기에만 있는 특정 물질이 인간이 몸속으로 들어오면 면역 거부 반응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아 연구는 한계에 봉착해 있었다. 예를 들어 돼지 장기 표면에는 ‘알파갈(alpha-gal)’이라는 단백질이 있는데, 인간의 면역 체계는 이 알파갈에 거부 반응을 일으킨다.
뉴욕대 연구팀은 알파갈이 제거된 유전자 변형 돼지의 배아를 어미 돼지 몸속에 넣어 유전자 변형된 새끼 돼지를 만들어냈다.
이어 9월 25일 연구팀은 신부전으로 뇌사 상태에 빠진 환자에 이 유전자 변형 돼지의 신장을 이식하는 수술을 진행했다. 이때 연구팀은 돼지의 신장에 대한 장기적인 거부 반응을 막기 위해 면역세포를 만드는 돼지의 흉선을 신장과 함께 이식했다.
이식 후 54시간 동안 관찰한 결과 소변 생성이 원활하게 이뤄졌으며, 신장이 제대로 기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인 크레아티닌 수치도 정상으로 나타났다. 어떤 거부 반응도 일어나지 않았다.
수술을 집도한 몽고메리 센터장은 10년 안에 심장, 폐, 간과 같은 돼지의 장기들이 장기 이식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있다. 그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의학계와 과학계는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이종간 이식을 50년 넘게 연구해 왔다”며 “이번 연구는 장기 부족으로 이식을 기다리다 죽어가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 태그 뉴스
-
"심장 이식 기다리던 소아 환자 4명 중 1명 사망"
삼성서울병원 송진영 교수 연구팀, 환자 254명 분석 심장 이식을 기다리던 소아 환자 4명 중 1명이 대기 중 사망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송진영 교수 연구팀은 2000년 1월부터 2020년 1월까지 국내 3개 상급종합병원(삼성의료원·서울아산병원·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에 심장 이식 대기자로 등록됐던 18세 미만 소아 환자 254명의 진료기록을 검토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3일 밝혔다. 연구 결과 조사 대상 환자 254명 중 145명이 심장 이식을 받았고, 16명은 질병에서 회복돼 대기자 명단에서 빠졌다. 27명...
-
캐나다서 드론으로 폐 이송 이식수술 세계 첫 성공
캐나다 토론토에서 살아 있는 폐를 드론으로 이송해 다른 환자에 이식하는 수술에 성공했다. 살아 있는 장기를 드론으로 운송한 것은 이번이 세계 최초다. 캐나다 CBC뉴스가 13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을 따르면 폐섬유증 환자인 알랭 호닥 씨가 토론토 시내를 가로질러 드론으로 실어온 폐 한 쌍을 이식받고 현재 회복 중이다. 이 드론은 기증자가 있던 토론토웨스턴병원을 출발해 약 1.5km 거리를 6분동안 날아와 호닥 씨가 대기하고 있던 토론토종합병원 옥상에 도착했다. 폐를 실어나른 것은 캐나다 헬스네트워크대와 캐나다 장기이송드론제작업...
-
[의학게시판] 서울아산병원 소아간이식팀, 생체간이식 생존율 99% 기록 外
■ 서울아산병원 소아간이식팀은 1994년부터 시행한 소아 생체 간이식 수술 287건에 대해 기간별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최근 10년 시행한 소아 생체 간이식 생존율이 99%로 확인됐다고 7일 밝혔다. 국내 소아 생체 간이식 10년 누적 생존율은 평균 약 85% 수준이다. 서울아산병원은 생존률이 1994~2002년 80%에서 2003~2011년 92%, 2012~2021년 99%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18일 국제학술지 ‘간 이식’에 실렸다. ■ 강스템바이오텍은 김상희 서울대 약대 교수팀과 ‘저분자 화합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치료제 개발&rsquo...
-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이사장에 김희제 가톨릭혈액병원장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은 13일 김희제 가톨릭혈액병원장이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이사장으로 선출됐다고 밝혔다. 임기는 2023년 8월 31일까지다.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는 1996년 설립된 고난도 조혈모세포이식과 각종 줄기세포를 연구하는 학회다. 매년 국제조혈모세포이식학회를 개최하고 있다. 김 이사장은 급성골수성백혈병과 조혈모세포이식 분야 전문가다. 대한혈액학회와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의 대외국제협력이사, 학술이사, 총무이사를 역임했다. 현재 혈액내과 분과장, 혈액내과 학과장을 거쳐 현재 서울성모병원 가톨릭혈액병원 원장...
태그
- 조혜인 기자heynis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