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가 보낸 우주선이 지구 밖 1100만km에서 소행성과 충돌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충돌 순간 발생한 빛과 충돌로 인해 생긴 파편과 먼지가 생생히 관찰됐다.
이탈리아 우주국(ASI)은 27일(현지시간) 미국항공우주국(NASA) 우주선 다트가 소행성 디모르포스에 충돌하는 모습을 공개했다.
사진 속 상단에 있는 것이 디모르포스다. 충돌로 주변이 뿌연 것이 보인다. 이탈리아 연구팀은 충돌에 의해 발생한 먼지와 파편들이 디모르포스를 완전히 감싼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하단은 소행성 디디모스다. 지름 160m의 디모르포스는 소행성 디디모스 주위를 공전하고 있다.
다트 프로젝트는 인류에게 치명적 피해를 줄 수 있는 소행성과 지구의 충돌을 막기 위해 소행성의 궤도를 바꾸는 초유의 ‘지구 방어’ 실험이다. 26일 오후 7시 14분(한국 시간 27일 오전 8시 14분) 정확히 디모르포스에 충돌했다.
이번 사진은 이탈리아의 큐브위성 ‘리차큐브’가 포착했다. 리차큐브는 다트에 실려 우주를 항행하다 이달 11일 사출됐다. 충돌 3분 후 소행성에서 뿜어져 나온 충격 기둥 이미지와 비디오를 촬영했다.
과학자들은 이번 사진이 디모르포스의 구조와 구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 그간 소행성이 우주선 충돌에 어떻게 반응할 지 미지수였는데 이런 궁금증도 어느 정도 풀어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이탈리아 최초의 심우주 임무를 수행하는 리차큐브는 심우주를 순항하며 촬영한 사진을 지구로 보낼 예정이다. 디모르포스의 뒷면을 촬영하는 데도 성공했다. ASI는 순차적으로 추가 사진을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 태그 뉴스
-
피자 본고장 이탈리아서 효모없이 반죽굽는 기술 개발됐다
했다. 온도와 압력 조절만으로 반죽을 부풀릴 수 있어 효모 알레르기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기술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에르네스토 디 마이오 이탈리아 나폴리 페데리코2세대 교수 연구팀은 고압가스용기인 ‘오토클레이브’를 활용해 효모없이 피자 밀가루 반죽을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유체물리학’에 23일 밝혔다. 효모는 3~4 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크기의 단세포 생물로 빵을 발효할 때 사용된다. 효모를 밀가...
-
접종률 낮은 6개국 방역패스 적용했더니 접종률 올랐다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 정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이 낮은 국가의 접종률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멜린다 밀스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 연구진은 방역패스 시행과 백신 접종률 간 연관성을 프랑스와 이탈리아, 이스라엘, 스위스, 독일, 덴마크 등 6개국을 토대로 분석한 연구결과를 이달 18일(현지시간) 미국의학협회지(JAMA)에 공개했다. 방역패스는 해외여행을 하거나 주점·카페·체육관 등 다중이용시설, 공공장소 출입시 요구되는 신종 코로...
-
오미크론 변이에 세계가 '몸살'...프랑스 확진 첫 10만 명, 영국도 역대 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 오미크론이 빠르게 확산하면서 전 세계 곳곳에서 일일 신규 확진자 기록이 경신되고 있다. 프랑스는 하루 확진자 수가 처음으로 10만 명을 넘겼고 영국도 12만 명을 돌파했다. 이탈리아도 5만 명을 처음으로 넘어섰다. 프랑스 보건부는 25일(현지시간) 코로나19 감염자가 하루 동안 10만4611명 발생해 사흘 연속 사상 최고치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프랑스는 23일 하루 확진자 9만1608명, 24일 9만4124명을 기록하는 등 확진자 수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프랑스의 하루 확진자 수는...
-
세계 첫 ‘탈원전’ 선언한 이탈리아, 2042년까지 원전 4기 해체 완료
음식(Food), 옷(Fashion), 가구(Furniture)의 이른바 ‘3F’로 유명한 이탈리아는 독일과 프랑스에 이어 유럽연합(EU) 3위 경제대국이다. 23일 주한이탈리아대사관이 서울 강남구 하이스트리트 이탈리아에서 개최한 ‘컨템포러리 이태리(Contemporary Italy)’ 행사에서 페데리코 파일라 대사는 “현재 이탈리아는 하이테크 산업이 경제를 선도하고 있다”며 “‘3F’ 외에도 제약, 기계, 인공위성 우주 산업 등 첨단 과학기술 산업이 이탈리아를 이끌고 있다”고 밝혔다. 이탈리아는 세계...
- 고재원 기자jawon1212@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