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494

'자연'이해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

-노자(老子)의 자연 이해를 중심으로 I. 시작하면서: ‘과학적 유신론’은 왜 주장되어야 하는가? 이 논문은 인간사회를 동물사회로 격하시키는 ‘과학적 무신론’에 대응하여 과학적 방법으로 ‘과학적 유신론’을 정립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과학이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는 자연이해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먼저 ‘과학적 무신론’이 나오게 된 과정을 살펴본 다음에 노자와 과학의 자연 이해를 비교해보면서 우주와 생명의 출현이 창조신의 창조사건임을 밝혀보고자 한다. 인류의 역사를 살펴보면 신화에서 발전한 신학에서 철학이 파생되었고, 철학에서 과학이 파생되었다. 철학은 과학이 분리되기 이전에는 자연을 연구하는 자연철학을 의미했다. 자연철학은 아이작 뉴턴(Isaac Newton, 1642-1..

창조냐, 진화냐?

I. 들어가면서 인간이 성장하면서 품게 되는 가장 큰 의문은 ‘내가 어떻게 이 세상에 태어나게 되었으며, 또 이 우주는 어떻게 생겨났는가?’일 것이다. 이에 대해서 기독교를 비롯한 종교인들과 창조론자들은 ‘신의 창조에 의해서’라고 대답한다. 이와 반대로 진화론자들은 인간은 하등 동물에서 진화했으며, 최초의 생명은 물질에서 발생한 것이라고 대답한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Stephen W. Hawking, 1942- )은 최근에 우주는 무(無: nothing)에서 자발적으로 창조되었다고 하는 M이론을 주장한다. 그는 자신의 M이론이 우주의 존재에 가장 필요한 법칙으로 알려진 초대칭 중력이론이며, 아인슈타인이 발견하기를 원했던 통일이론이라고까지 주장하고 있다. 결국 우주와 생명체의 기원에 ..

과학적 무신론의 시발점으로서 <공산당 선언>에 대한 비판

Critiques on the as the Starting Point of Scientific Atheism The purpose of this paper lies in researching and criticizing about the Communist Manifesto. Marx and Engels declared to abolish eternal truths, all religion, and all morality instead of constructing them, on the new basis of the Communist Manifesto in 1848. This conception was developed to the prototype of the scientific atheism, bein..

호킹의 『위대한 설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ism on Hawking’s The Great Design Stephen Hawking suggests M-theory and ‘model-dependent realism’ that a whole universe can appear out of nothing. Author calls the theories as ‘quantum-theoretical evolutionism’ or ‘Scientific Atheism’, and disproves them with many scientific data including E=mc² and the first law of thermodynamics. Finally Author proves scientifically the first-cause arg..

무신론적 논제 3가지에 대한 단상

-그리고 내가 했던 답변 질문1. 마르크스가 “종교는 인민의 아편”이라고 한 말에 대하여 답변하라 마르크스의 “헤겔 법철학의 비판을 위하여”라는 논문에 나오는 이 말은 역사적으로 많은 논쟁을 불러 일으켰던 유명한 말들 중의 하나이다. 그 원인은 이 말의 과격성 때문이기도 하지만, 마르크스의 본의가 어떤 세력에 의해 고의적으로 왜곡되었거나 또는 실수로 잘못 해석되었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대체로 다음과 같이 부분적으로 번역된 것이 우리에게 널리 알려졌고, 이것이 오해를 불러온 것이다. “종교적 비참은 현실적 비참의 표현이자 현실적 비참에 대한 항의이다. 종교는 곤궁한 피조물의 한숨이며, 무정한 세계의 감정이고, 또 정신없는 상태의 정신이다. 종교는 인민의 아편이다.” 이 부분적에 대한 우리말 번역문을 보면..

『과학과 신의 전쟁』에 나타난 ‘과학적 유신론’

Reading of Scientific Theism’ in The War Between God and Science This article is to read and understand Scientific Theism in The War Between God and Science written by Author. Scientific Theism explains the existence of God scientifically, criticizing and opposing against Scientific Atheism. Scientific Theism starts from the sum of Universal energy which first law of thermodynamics proves existi..

“필리오크베”교리논쟁이 기독교 영성에 미친 영향

“필리오크베”교리논쟁이 기독교 영성에 미친 영향 - 동, 서 교회의 분열을 중심으로 목 차 I. 시작하는 말 II. 초기교회의 교리논쟁과 공의회에서 결정한 신조들 1. 초기 7개 공의회와 신조들 2. 기타 회의와 신조들 III. “필리오크베” 교리논쟁이 교회 분열에 미친 영향 1. 어거스틴의 삼위일체론에서..

“무(無)에서 창조”과정(過程)에 대한 과학적 해석 연구

“무(無)에서 창조”과정(過程)에 대한 과학적 해석 연구 - “하나님은 영이시다(요 4:24)”를 중심으로 A Scientific Interpretation of the Process of “Creation out of Nothing” - based on "God is spirit" (John 4:24) 목 차 1. 시작하는 말 2. 태초의 실존적 상황 2.1 태초의 실존 이해 2.2 하나님은 영이시다 3. 우주물질의 생성 3.1 빅뱅 이론 3.2 물질과 에너지의 3법칙 3.3 물리학적 4가지 힘 3.4 암흑물질과 암흑 에너지 4. 물질에 나타나 있는 창조의 흔적 4.1 창조주의 영적 에너지 4.2 물질의 구조 4.3 양자역학 4.4 우주체계를 지탱하는 힘 4.5 “무에서 창조”의 방법론 5. 맺는 말 ..

하나님 신(神)과 창조의 새로운 이해

하나님 신(神)과 창조의 새로운 이해 New Understanding of God the Creator and Creationism 이 논문은 창조론 오픈 포럼에서 발표한 것으로, 동양적인 사고의 바탕에서 과학적인 방법으로 하나님 神을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이곳에 옮겨 싣다보니 각주가 빠져 있다. 참고로 논문 원문은 www.goodbrothers.or.kr 에 실려 있다. Abstract: Christianity is the religion to believe in God the Creator and His Son, Jesus Christ whom He sent. Therefore a Christian has to believe in the creation by God first and forem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