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환 입력 2020.04.15. 05:07 댓글 69개
자동요약
일반 초신성(supernova)보다 최고 500배나 밝은 새로운 초신성이 발견됐다.
초신성은 항성 진화의 마지막 단계인 폭발하며 사멸하는 과정에서 순간적으로 엄청난 에너지를 방출하고 평소보다 수억 배 이상의 밝기에 이르는 질량이 큰 별을 뜻한다.
관측 결과 SN2016aps는 폭발 에너지가 10의 52승 에르그(erg)에 이르고 이 에너지의 약 50%가 가시광으로 복사돼 밝기가 일반 초신성의 500배에 이른다.
일반 초신성의 질량은 태양의 8~15배 정도다.
현재페이지 URL복사 https://news.v.daum.net/v/20200415050732172URL복사
초신성
일반 초신성(supernova)보다 최고 500배나 밝은 새로운 초신성이 발견됐다.
초신성은 항성 진화의 마지막 단계인 폭발하며 사멸하는 과정에서 순간적으로 엄청난 에너지를 방출하고 평소보다 수억 배 이상의 밝기에 이르는 질량이 큰 별을 뜻한다.
13일(현지시간) CNN 방송에 따르면 하버드대·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CfA) 공동 연구팀은 최근 발견한 초신성 ‘SN2016aps’가 지금까지 발견된 초신성 중에서 가장 밝고 에너지와 질량도 크다는 연구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천체물리학’ 최신호에 실었다.
SN2016aps는 2016년 하와이 할레아칼라 천문대 망원경 ‘판-스타스’에 처음 포착됐으며, 이후 4년간 에너지 방출 등 진행 상황을 추적 관측해 확인된 것이다.
관측 결과 SN2016aps는 폭발 에너지가 10의 52승 에르그(erg)에 이르고 이 에너지의 약 50%가 가시광으로 복사돼 밝기가 일반 초신성의 500배에 이른다.
질량 역시 밝기가 절정 대비 1%가 될 때까지 추적한 결과 태양의 50~100배에 이른다. 일반 초신성의 질량은 태양의 8~15배 정도다.
공동 연구팀을 이끈 에도 버거 하버드대 천문학과 교수는 “이번 초신성은 극히 희귀한 형태의 폭발이고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에너지가 컸다”면서 “이 같은 폭발은 지금까지 실제 관측되지 않고 이론으로만 존재해 왔다”고 설명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현대 창조론 연구 자료실 > 창조론 연구를 위한 과학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가 몸 속을 들여다보기 시작했다 (0) | 2020.04.17 |
---|---|
9000만 년 전 남극, 얼음 대신 숲으로 뒤덮여 있었다 (0) | 2020.04.16 |
“코로나19, 4차 산업혁명 촉발시킬 것” (0) | 2020.03.28 |
"코로나 돌연변이 40개" 아이슬란드팀 분석, 팬데믹 변수되나 (0) | 2020.03.26 |
지구 최강의 생존능력자는? (0) | 2020.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