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기천 입력 2020.09.04. 15:17 댓글 128개
자동요약
서파수면(slow-wave sleep)은 말 그대로 뇌파가 느려져 가장 깊게 잠드는 수면을 말한다.
수면은 크게 렘(REM:rapid eye movement) 수면과 비(非)렘 수면으로 나누는데 4단계로 구성된 비렘 수면 중 3~4단계를 서파수면이라고 한다.
그런데 서파수면의 양을 지표로 활용하면 장차 알츠하이머병이 생길 수 있는 '위험시기'를 어느 정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현재페이지 URL복사 https://news.v.daum.net/v/20200904151721589URL복사
숙면의 양 vs 베타 아밀로이드 침적, 예측 지표로 개발
미 UC버클리 연구진,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논문
뉴런과 소교세포 타우 단백질의 변형 매듭이 생긴 뉴런을 소교세포가 둘러싸고 있다. (컴퓨터 합성 이미지) [미 워싱턴대 마크 핼릿 제공 /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한기천 기자 = 서파수면(slow-wave sleep)은 말 그대로 뇌파가 느려져 가장 깊게 잠드는 수면을 말한다.
수면은 크게 렘(REM:rapid eye movement) 수면과 비(非)렘 수면으로 나누는데 4단계로 구성된 비렘 수면 중 3~4단계를 서파수면이라고 한다.
꿈을 많이 꾸는 렘수면과 달리 서파수면에선 정신적, 신체적 회복이 집중적으로 이뤄진다.
그런데 서파수면의 양을 지표로 활용하면 장차 알츠하이머병이 생길 수 있는 '위험시기'를 어느 정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는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 Berkeley)의 매튜 워커 심리학 신경학 교수팀이 수행했다.
관련 논문은 3일(현지시간) 과학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 게재됐다.
실험군은 60대부터 80대까지의 건강한 미국인 32명으로 구성됐다.
2005년에 시작된 '버클리 노화 코호트 연구' 프로젝트의 수면 연구에 등록한 사람들이다.
수면의 질을 보기 위해 하룻밤에 8시간씩 잠을 자게 하고 뇌파, 심장 박동, 산소 포화도 등을 측정했다.
이와 함께 피험자의 뇌에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어느 정도 늘었는지 검사해 정기적으로 수면의 질과 비교했다.
베타 아밀로이드는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물질로 추정되는 독성 단백질이다.
수면이 부족하면 불안 수위도 높아진다 [UC버클리 매튜 워커 제공 /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 초기부터 수면 단절이 많거나 서파 수면이 짧았던 피험자는 추후 다량의 베타 아밀로이드가 뇌에 침적할 가능성이 높았다.
연구 기간에 알츠하이머병이 실제로 발병한 피험자는 없었다. 하지만 베타 아밀로이드의 침적량 측정치는 수면의 질이 떨어진 정도에 따라 증가 곡선을 그렸다.
이 침적량 증가 궤도가 알츠하이머병 발병 시기를 예측하는 토대가 됐다.
현재 수면의 질을 지표로 삼아 미래 특정 시점의 베타 아밀로이드 침적량을 분석하고, 언제 알츠하이머병이 발병할 정도에 도달할지 예측할 수 있다는 의미다.
'창조하신 대로 사는 생활 지식 > 하나님 백성의 건강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80살 된 것 같다" 코로나 완치자들 끔찍한 후유증 (0) | 2020.09.10 |
---|---|
코로나19 환자 퇴원 뒤에도 폐 손상으로 고통 겪는다 (0) | 2020.09.08 |
'남녀 유별' 대사증후군, 공통 해법 '굵은 허벅지' (0) | 2020.08.29 |
"코로나19 회복 후에도 16가지 후유증 나타나" (0) | 2020.08.27 |
홍콩서 코로나19 재감염 최초 확인..33세 남성 4개월만에 또 걸려 (0) | 2020.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