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호주 시드니대
![](https://blog.kakaocdn.net/dn/daHGvk/btrThHNdwxE/XEKfqzQ5MwKN1EidSbbWW1/img.jpg)
일상생활에서 하루에 단 몇 분간만 격렬하게 움직여도 암이나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조기사망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마크 해머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스포츠‧운동의학과 교수와 호주 시드니대 연구원으로 구성된 연구팀은 영국의 60대 남녀 2만500여명을 추적조사한 결과 적은 양의 신체활동이 주요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췄다는 연구 결과를 8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신’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영국 바이오뱅크에 등록된 2만 5241명의 하루 활동 패턴과 함께 암, 심혈관 질환 사망률을 조사했다. 조사 대상자들의 평균연령은 만 61.8세였으며 성별은 여성 1만1478명, 남성 1만1063명이었다. 매일 운동량을 조사하는 데 웨어러블 기기 등을 활용했다.
연구팀은 조사 대상자 중 매일 1분씩 3번 격렬한 활동을 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간의 사망률을 비교했다. ‘격렬하고 간헐적인 생활 방식의 육체적 활동(VILPA)’에는 계단 오르기, 애완견과 마당에서 놀아주기, 버스를 잡기 위해 달리기 등 일상 행동이 포함됐다.
분석 결과 짧은 시간이라도 매일 꾸준히 격렬한 활동을 한 사람은 격렬한 활동을 하지 않은 참가자에 비해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49% 낮았다. 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도 30%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에 1분씩 11번 힘껏 움직인 사람에게선 더 큰 효과가 나타났다. 심혈관 질환 사망률은 65% 감소했으며 암 사망률도 49%나 낮아졌다. 흡연여부, 복용하는 약물, 나이, 성별 등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다.
연구팀은 몸에서 열기를 느낄 정도의 격렬한 활동이 심폐 능력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구력과 관련된 ‘심폐체력’은 질환 예방에 중요한 요소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를 이끈 해머 교수는 “현재 성인들에게는 주 150분 정도의 적당한 운동 또는 75분 정도의 격렬한 운동이 권장된다”면서 “이번 연구에선 일상 속 짧은 시간의 격렬한 활동도 건강 증진에 큰 도움이 되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관련 태그 뉴스
-
[일상 속 뇌과학] 뇌가 실수와 오류를 제거하는 법
일반적으로 무엇인가를 학습한다는 것은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이라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인간과 동물이 학습하는 정보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어떠한 정보를 학습하느냐에 따라 생체가 이를 습득하는 방식도 매우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몸을 움직이거나 소리를 내는 운동 기술(motor skill)은 특정 기술과 그 기술을 구성하는 패턴과 요소들을 갖추어 오류가 없게 능숙하게 구사하는 게 필요하다. 이러한 종류의 정보를 배운다는 과정은 매번 새로운 무엇을 습득하는 행위보다는 배우고자 하는 기술과 상관없는 요소들인 '오류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껌 씹기도 운동...덜 씹으면 살 찐다
딸들이 어릴 때 나는 아내에게 애들한테 먹일 고기를 너무 잘게 자르지 말라고 부탁한 적이 있다. “아이들이 좀 씹어먹게 하자고”라며 간청했다. 아내는 아이들이 고기를 먹다가 목에 걸리느니 치과 교정 치료비를 내겠다고 답했다. 나는 대화를 포기했다. - 피터 웅가르, 《진화의 깨물기》에서 오늘날 만연한 질병 가운데 상당 부분은 오랜 세월 진화로 세팅된 상태를 무시하고 특정 장기를 지나치게 쓰거나 너무 안 쓴 결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지속적인 영양 과잉은 이를 처리하는 췌장과 신장에 무리를 줘 당뇨병 등 대사질환에 ...
-
"심장 스텐트 환자 '1년 후 정기검사' 꼭 필요치 않아"
서울아산병원, 환자 1천706명 분석결과…"재발 의심증상 때 검사로 충분" 심장혈관 내 스텐트를 삽입한 환자들에게 권고돼 온 '1년 후 심장 스트레스 기능검사'가 꼭 필요하지 않다는 임상 결과가 국내에서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박덕우·박승정·강도윤 교수팀은 심장혈관이 막혀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한 1천70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심장 스트레스 기능검사의 유효성을 임상 연구로 분석한 결과 이런 결론이 도출됐다고 29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저명 국제학술지 'NEJM'(New England Jo...
-
'가이아 가설' 창시자 제임스 러브록 별세
영국 환경학자 제임스 러브록이 26일(현지시간) 영국 자택에서 103세 생일을 하루 앞두고 별세했다. 그의 가족은 트위터를 통해 "6개월 전만 해도 집 근처 해안을 걷거나 인터뷰에 응하기도 했지만, 올해 초 심하게 넘어지면서 건강이 악화됐다"고 밝혔다. 러브록은 1919년생으로 영국에서 태어났고, 영국 맨체스터대와 미국 하버드대 등에서 생물물리학과 화학, 의학을 전공하며 200편이 넘는 논문과 저서를 발표했다. 그는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에서 달과 화성 탐사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는 가이아 가설을 공식...
- 박정연 기자hess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