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현보 기자기자 구독
입력2023.12.18 09:51 수정2023.12.18 09:59
![](https://blog.kakaocdn.net/dn/9Nu7e/btsB7SZBPUB/AgrGbzbTm6jUU92ZbCW0VK/img.jpg)
사진과 기사 내용은 무관함. 게티이미지뱅크
규칙적인 중강도 내지 고강도 운동(달리기, 걷기, 스포츠 등)이 뇌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를 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러한 운동을 하는 사람은 뇌의 회색질과 백질이 큰 것으로 나타나면서다.
16일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에 따르면 캐나다 밴쿠버 프레누보(Prenuvo) 영상센터의 영상의학 전문의 라즈풀 아타리왈라 박사 연구팀이 캐나다의 여러 프레누보 영상센터에서 시행된 1만125명(평균연령 53세, 남성 52%)의 뇌 MRI 영상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뇌는 신경 세포체로 구성돼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는 겉 부분인 대뇌 피질과 신경세포들을 서로 연결하는 신경 섬유망이 깔려 서로 다른 뇌 부위들을 연결하는 속 부분인 수질로 구성된다. 피질은 회색을 띠고 있어 회색질, 수질은 하얀색을 띠고 있어 백질이라고 말한다.
16일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에 따르면 캐나다 밴쿠버 프레누보(Prenuvo) 영상센터의 영상의학 전문의 라즈풀 아타리왈라 박사 연구팀이 캐나다의 여러 프레누보 영상센터에서 시행된 1만125명(평균연령 53세, 남성 52%)의 뇌 MRI 영상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연구팀이 3가지 심층학습(deep learning) 모델을 이용해 이들의 뇌 횡단면(상하), 관상면(앞뒤), 시상면(좌우) MRI 영상을 분석해보니 중강도·고강도 운동 일수가 많을수록 회색질, 백질, 해마, 전두엽, 두정엽, 후두엽의 용적이 커졌다.
특히 하루 4000보 걷는 중강도 운동도 뇌 건강에 상당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결과는 연령, 성별, 체질량 지수(BMI) 등 여러 변수를 고려한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전체적인 결과가 운동과 관련된 신체활동이 뇌 용적 증가와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운동이 뇌 신경 보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연구 결과는 '알츠하이머 치매 저널'(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최신 호에 실렸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
특히 하루 4000보 걷는 중강도 운동도 뇌 건강에 상당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결과는 연령, 성별, 체질량 지수(BMI) 등 여러 변수를 고려한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알츠하이머 치매 저널'(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최신 호에 실렸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
'창조하신 대로 사는 생활 지식 > 하나님 백성의 건강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대로 알고 먹자...'유산균 상식 팩트체크' (0) | 2023.12.20 |
---|---|
햄·소시지에 든 '아질산나트륨' 자살위해물건 지정… 고기 먹으면 위험? (0) | 2023.12.18 |
“임플란트 이제 멈추시라”…현직 치과의사가 폭로한 영업 비밀 (0) | 2023.12.18 |
“1분에 22회” 세상에서 가장 심장 늦게 뛰는 男, 어떻게 살지? (0) | 2023.12.18 |
노인 건강 위협하는 근감소증…부족한 영양소 채우려면? (0) | 2023.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