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 A 창조론 과 오메가Ω 창조론 147

과학의 힘으로 영생을 얻을 수 있을까?(1)

기독교는 하나님이 그의 형상을 따라 인간을 창조하셨다고 믿는다. 기독교 창조론자들이 하나님의 창조를 부정하는 유물론자와 진화론자, 그리고 그 이론들을 결합한 과학적 무신론자들과의 논쟁에서 밀리고 있는 동안에 과학기술은 보라는 듯이 로봇과 컴퓨터를 만들어냈다. 현대에 이르러 과학자들은 컴퓨터를 개량한 인공지능(A.I.)을 로봇에 탑재하는 휴머노이드(humanoid) 로봇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휴머노이드는 인터넷과 연결하여 세상의 모든 정보를 습득 또는 교환할 수 있는 로봇이다. 한편 미국에서 일런 머스크가 세운 테슬라사는 항공기 운항에 쓰는 오토파일럿(Autopilot)을 개량하여 지상에서 운전자 없이 자율운행(FSDC; Full Self Driving Capability)하는 자동차를 금년 중에 완성하겠..

창세기 1장의 현대적 해석에 의한 “알파 창조론”

영역: 신학/성경 키워드: 알파 창조론, 창세기 1장의 해석, 6일 창조, 현대적 창세기 해석, 창조주 하나님 Alpha Creationism by Contemporary Interpretation in Genesis 1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of Genesis 1 to understand the origins of the universe, Earth, and Earth creatures from a modern man's perspective. Genesis 1 is recognized in Christianity as written by Moses in ancient Hebrew and is also called Creation Toledot. The Hebrew..

<인터뷰> ‘알파 창조론’과 ‘오메가 창조론’

오늘날의 신학동향 - 창조신학 ‘알파 창조론’과 ‘오메가 창조론’ 기사입력 : 2020.08.27 08:03 ▲지금까지 ‘알파창조론’을 연재했는데 알파창조론은 무엇인가? = 알파창조론은 창세기 1장을 범위로 하고, 히브리어 원어를 텍스트로 삼았다. 창세기 1장 안에 알파창조론의 모든 것이 다 들어 있고, 나머지는 불필요하다.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말씀과 모세의 설명을 구별해야 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저자인 모세는 그가 살았던 고대 히브리인들의 세계관으로 창조의 계시를 설명했다. 그래서 창세기를 문자적으로 해석하면 고대 히브리인들의 우주관을 설명하는 것 밖에는 되지 않는다. ▲알파창조론은 가장 큰 성과는 무엇인가? =고대 히브리인들의 우주관을 탈피하여 과학적 사실과 일치하는 기독교 창조론을 제시했다는 ..

‘알파 창조론’과 ‘오메가 창조론’

▲지금까지 ‘알파창조론’을 연재했는데 알파창조론은 무엇인가? = 알파창조론은 창세기 1장을 범위로 하고, 히브리어 원어를 텍스트로 삼았다. 창세기 1장 안에 알파창조론의 모든 것이 다 들어 있고, 나머지는 불필요하다.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말씀과 모세의 설명을 구별해야 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저자인 모세는 그가 살았던 고대 히브리인들의 세계관으로 창조의 계시를 설명했다. 그래서 창세기를 문자적으로 해석하면 고대 히브리인들의 우주관을 설명하는 것 밖에는 되지 않는다. ▲알파창조론은 가장 큰 성과는 무엇인가? =고대 히브리인들의 우주관을 탈피하여 과학적 사실과 일치하는 기독교 창조론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연구와 연재를 시작하면서 하나님의 창조를 현대과학의 사실과 모순되지 않게 하는 해석의 틀을 찾는 것이..

여섯째 날(6), 창조를 마치신 하나님과 그가 주신 계시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로마 시스티나 성당의 천장에 그려져 있다) 지으신 모든 것을 보시니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וַיַּרְא אֱלֹהִים אֶת־כָּל־אֲשֶׁר עָשָׂה וְהִנֵּה־טֹוב מְאֹד)고 찬양하고, 마지막 후렴구를 “저녁이 되며 아침이 되니 이는 여섯째 날이니라”(וַיְהִי־עֶרֶב וַיְהִי־בֹקֶר יֹום הַשִּׁשִּׁי׃ ף)고 서술했다(1:31). 모세가 서술했던 6일간의 창조 톨레도트는 이로써 끝났다. 필자는 모세의 창조 톨레도트를 바탕으로 기독교적 관점에서 진행했던 연구 결과를 ‘알파 창조론’으로 명명하면서 다음 몇 가지를 주장한다. 그리고 그 바탕 위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바울과 요한에게 주신 계시를 바라보고자 한다. 1. 창조 톨레도트..

여섯째 날(5), 먹거리를 정해주신 하나님

하나님은 인간에게 원복음을 주신 후에 인간과 그가 창조하신 모든 동물에게 필요한 먹거리를 정해주셨다. 모세에 의하면 하나님은 인간에게 “온 지면의 씨 맺는 모든 채소와 씨 가진 열매 맺는 모든 나무를 너희에게 주노니 너희 식물이 되리라”(1:29)고 말씀하셨고, 인간 이외의 모든 동물에게는 “모든 푸른 풀”(כָּל־יֶרֶק עֵשֶׂב: 콜 에레크 에셰브)을 식물로 주셨다(1:30). 하나님이 ‘오클라’(אָכְלָה: 먹거리)를 정해주시니 인간과 각 동물은 그들의 먹거리를 찾아 먹기 시작했을 것이다. 하나님은 처음에 그가 창조하신 인간과 모든 동물의 생명 활동에 가장 필요한 에너지를 식물이 만든 유기물 섭취를 통해 획득하도록 섭리하셨다. 동물의 유기물 섭취 과정을 현대 생물학에서는 metabolis..

여섯째날(4), 원복음을 주신 하나님의 섭리

모세는 1:28에서 하나님이 인간을 창조하신 후에 바로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וַיְבָרֶךְ אֹתָם אֱלֹהִים),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땅을 정복하라, 바다의 고기와 공중의 새와 땅에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וַיְבָרֶךְ אֹתָוַיֹּאמֶר לָהֶם אֱלֹהִים פְּרוּ וּרְבוּ וּמִלְאוּ אֶת־הָאָרֶץ וְכִבְשֻׁהָ וּרְדוּ בִּדְגַת הַיָּם וּבְעֹוף הַשָּׁמַיִם וּבְכָל־חַיָּה הָרֹמֶשֶׂת עַל־הָאָרֶץ׃)고 말씀하셨다고 서술했다. 이 구절에서 하나님이 처음으로 인간에게 오복을 주신 말씀이 원복음이다. 오복(五福) 중의 삼복(三福)은 다섯째 날 창조된 어류와 ..

여섯째 날(3), 하나님이 창조하신 남자와 여자, 그리고 자손들

모세에 의하면 삼위일체 하나님이 창조계획(1:26)에서 선포하신 인간과 실제 창조된 인간은 다르다. 그런 사실은 1:26에서 하나님이 인간의 창조계획에서 말씀하신 ‘모양대로’가 창조된 인간을 서술한 1:27에서는 빠졌다는 점에서 드러났다. 그 대신에 창조된 인간은 남자와 여자로 바뀌었다. 다시 말하면 하나님은 인간을 창조하시면서 하나님의 ‘키데무테누(모양대로)’를 반영하지 아니하셨고, 하나님의 ‘형상대로’(뻬첼레모) 남자와 여자를 나눠 창조하셨다. 히브리어 사전과 성경의 용례를 보면, ‘형상’(첼렘)은 겉모양 또는 우상 등을, ‘모양’(데무트)은 원형을 닮은 것듣을 표현하는 말로 쓰였다. 구약성경에서 하나님의 형상은 남성적이고 인간에게 명령하시는 분이시다. 반면에 하나님에게 여성적인 면은 거의 보이지 않..

여섯째 날(2) 아담’을 남자와 여자로 창조하신 하나님

모세는 하나님이 창조의 마지막에 인간을 만드시는 모습을 매우 극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모세에 의하면 하나님은 인간 창조에 대하여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그로 바다의 고기와 공중의 새와 육축과 온 땅과 땅에 기는 모든 것을 다스리게 하자”(יֹּאמֶר אֱלֹהִים נַעֲשֶׂה אָדָם בְּצַלְמֵנוּ כִּדְמוּתֵנוּ וְיִרְדּוּ בִדְגַת הַיָּם וּבְעֹוף הַשָּׁמַיִם וּבַבְּהֵמָה וּבְכָל־הָאָרֶץ וּבְכָל־הָרֶמֶשׂ הָרֹמֵשׂ עַל־הָאָרֶץ׃)고 선포하셨다(1:26). 기독교인들은 하나님이 이처럼 인간을 특별하게 창조하시고, 땅과 그 안의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는 목적과..

여섯째 날(1), 땅의 생물의 창조

모세는 창조의 여섯째 날 톨레도트에서 하나님이 “땅은 생물을 그 종류대로 내되 육축과 기는 것과 땅의 짐승을 종류대로 내라”(וַיֹּאמֶר אֱלֹהִים תֹּוצֵא הָאָרֶץ נֶפֶשׁ חַיָּה לְמִינָהּ בְּהֵמָה וָרֶמֶשׂ וְחַיְתֹו־אֶרֶץ לְמִינָה)하시니, 그대로 되었다ּ(וַיְהִי־כֵן)고 서술했다(1:24). 하나님이 생물을 ‘종류대로’ 창조하신 사실을 믿는 기독교인들은 그런 사실을 부정하는 과학적 무신론자들을 반박해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종류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민’(מִינָ)의 개념을 명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히브리어 창조 톨레도트에서 ‘민’은 하나님이 창조하신 생물을 ‘종류대로’ 분류하는 단위이다. 하나님은 그가 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