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425

초기 그리스 철학-소크라테스 알기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자들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자들의 첫째 공통점은 우주에 관한 일반 이론을 만들려고 했다는 점이다. 그 방법은 신들이 모든 것을 창조했다는 신화(mythos)를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관찰과 추론을 통해서 겉으로 보이는 것의 배후에 있는 비밀을 편견이 없고 호기심을 가진 사람들에게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만드는 것이다. 또 하나의 공통점은 그리스 세계의 변방이나 식민지, 즉 이오니아와 밀레투스 출신이라는 것이다. 그들에 관해서 전해오는 단편적인 이야기들을 요점적으로 정리해본다. 탈레스(BC 580년경) 최초의 철학자로 기록된 인물, 밀레투스 학파, 철학적 명언 “모든 사물의 일차적인 원리와 근본적인 본성은 물이다.” 철학적 평가: 최초로 환원론적 사고방식을 도입한 사람 아낙시만드로스..

창 1:3-5절(첫째 날)의 해석연구

이 글은 앞의 "신태극론과 창세기 1장1-2절의 해석"의 계속이다. 4. 창 1:3-5절(첫째 날)의 해석연구 이에 해당하는 구절들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개역 개정판에 나와 있다. 이에 해당하는 구절들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개역 개정판에 나와 있다. 1:3 하나님이 이르시되 “빛이 있으라”하시매 빛이 있었고, 4 그 빛이 하나님의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나님이 빛과 어둠을 나누사, 5 빛을 낮이라 부르시고, 어둠을 밤이라 부르시니라. 저녁이 되며 아침이 되니 이는 첫째 날이니라. 위 구절에서는 ‘이르시되’, ‘빛’, ‘어둠’, ‘좋았더라’, ‘나누사’, ‘첫째 날’이라는 여섯 개의 주제어를 선택해서 논하고자 한다. 4.1 이르시되 4.1.1 말씀 창조 하나님이 창조를 하신 방법은 오직 말씀뿐이었다. 하..

신태극론과 창세기 1장1-2절의 해석

-창조론과 신태극론의 융합을 위한 시도------------------------------------------------- 목 차 1장 서 론 -------------------------- 2 2장 신태극론 ------------------------- 4 2.1 태극의 소개 ------------- 4 2.2 태극론의 개념 ------------- 5 2.3 역의 영향 ------------- 5 2.4 신태극론 ------------- 7 2.4.1 신태극에서의 생명 ------- 7 2.4.2 신태극론 ------- 8 2.4.3 신태극론의 유용성 ------- 9 3장 창세기 1:1-2절의 신태극론적 해석------------------------ 10 3.1 태초 ------------ 1..

신태극론-동양사상으로 보는 창조론-

신태극론 -동양사상으로 보는 창조론- ----------------------------------- Creationism based on the Oriental Philosophy [Abstract] Theology so far has been led by western scholarship and occidental thought. However, an Easterner might find that his or her interpretation of the Bible from an oriental perspective is different from western theology. This paper is intended to review traditional oriental philosophy an..

2008년 후기

2008년 후기 2008년 한 해의 의미는 내게 남다르게 다가온다. 환갑을 지냈던 해이기도 하지만 나로서는 인생의 새로운 시작을 시도했던 해였기 때문이다. 나는 2007년에 문명의 덕분으로 늘어난 수명을 활용하여 나의 제2기 인생을 시작하기로 계획하고 기존의 모든 생활방식에서 탈피하기로 작정했었다. 그것은 자전적 소설인 [흑암전설]을 출간하는 것으로 구체화되었다. 젊었을 때 나는 인간생활의 일상을 넘어 영원한 가치를 찾아보고자 꿈꾸었지만, 현실은 나의 발목을 잡고 늘 갑남을녀의 생활인으로 머물게 했었다. 가장이 되어 가정을 유지하면서 정해진 좌표는 언제나 그 자리였다. 현실적으로 가정은 경제적 바탕위에서만 가능한 것이다. 남자로서 가정을 보전하는 일은 이 세상에서 가장 큰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현실생활에..

현대교회사(곤잘레스)-제3부

현대교회사(곤잘레스)-제3부 제3부 20세기 제18장 격변의 시대-309 19세기에 걸쳐 서구문명은 세계를 행복과 번영의 시대로 이끌어갈 것이라는 확신에 불타고 있었다. 중국의 의화단 사건 같은 반작용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선교활동은 눈부시게 발전했다 가까운 장래에 세계의 모든 인구가 기독교 신자가 될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일찍이 세계가 경험하지 못한 참혹한 전쟁을 유발시킬 흐름들이 이러한 표면 아래 소용돌이치고 있었다. 러시아의 혼란은 혁명을 불러왔다. 그리하여 스스로를 ‘제 3의 로마'라고 자칭하고 있었던 러시아교회는 마치 터어키의 침략 앞에 놓여 있던 비잔틴교회의 상황과 비슷한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대내외적으로 경제정책과 전쟁에서 실패한 니콜라스 황제는 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정책을 지향하는 온건 ..

현대교회사( 후스토 L. 곤잘레스) 요약 -제1부

현대교회사( 후스토 L. 곤잘레스) 요약 제1부 정통, 합리주의, 그리고 경건주의 제1장 도그마와 회의의 시대-13 합리주의가 유럽을 휩쓸게 되었다. 모든 인간들이 공유하고 있는 재능인 자유이성이 하나님과 인간의 본성에 관한 근본적 문제들에 관해 답을 줄 수 있는데, 왜 분쟁과 편견만을 낳기 마련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