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성득 UNIST 교수 연구진
![](https://blog.kakaocdn.net/dn/vr9GO/btrEM59TojM/mJYgtHRTgPepFyKvGuiRvK/img.jpg)
공장 굴뚝에서 배출되는 대기 오염물질과 같은 성분의 물질이 과열된 컴퓨터에서도 배출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최성득 도시환경공학과 교수팀이 과열된 컴퓨터에서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가 나와 실내공기를 오염시킨다는 연구결과를 건설환경 분야 국제학술지 ‘건축물과 환경’ 6월호에 발표했다고 13일 밝혔다. 컴퓨터 부품에 불순물로 포함된 PAHs가 컴퓨터 과열시 휘발돼 나온다는 분석이다.
연구팀은 새집증후군을 연구하다가 전산실의 PAHs 농도가 다른 실내공간에 비해 2~4배 높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번 연구에 착수했다. PAHs는 석유, 석탄, 나무 등을 태울 때 발생해 공기 중으로 배출되는 ‘유해대기오염물질’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이 실내 공기와 컴퓨터 내부 공기를 채취해 PAHs 농도를 분석한 결과 실내 공간 크기가 작고 컴퓨터가 많을수록 PAHs 농도가 높았다. 사용시간이 짧은 비교적 새 컴퓨터일수록 많은 양의 PAHs를 배출했는데 이는 주택 입주 초기 새집증후군과 유사하다.
컴퓨터 부품에서 PAHs를 직접 추출한 결과 실험에 사용 모든 컴퓨터 부품에서 PAHs가 검출됐다. 회로기판과 전선피복 등 컴퓨터 부품을 밀폐용기에 담은 뒤 60도로 가열한 실험에서도 가열 시간이 길수록 PAHs 농도가 높았다.
이번 연구로 실내에서도 전자제품에 의해 PAHs에 노출될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됐다. 다양한 실내공기 오염원을 찾고 위해성을 분석하는 연구의 중요성도 부각됐다.
최성득 교수는 “컴퓨터 외에도 여러 전자제품에서 PAHs가 배출될 가능성이 크고 실제 레이저 프린터에서 PAHs가 배출된다는 해외 사례 보고도 있다”며 “밀폐된 공간에서는 PAHs를 비롯한 다양한 유해대기오염물질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환기를 자주 하고 적정 실내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 태그 뉴스
-
OLED 최적 소재 찾고 질병 유전변이도 분석하는 슈퍼컴퓨터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전기를 가하면 스스로 빛을 내는 유기물질로 만든다. 특정한 색깔을 내는 발광층과 전자가 이동하는 수송층의 유기분자가 빛을 내는 최적의 조건을 찾는 설계가 디스플레이 성능을 좌우한다. 하지만 유기 물질의 합성과정에서 어떤 조건이 OLED의 성능을 높이는지 규명하기는 쉽지 않다. 원자 배열이 수 나노미터(nm, 10억분의 1미터)에 불과한 유기 물질의 특성이 일관성 있게 유지되는지 확인하기도 어렵다. 자금력이 충분한 대기업들은 고성능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 있...
-
뇌 신호 안전하고 정밀하게 측정하는 하이드로젤 전극 개발
말랑하고 생체친화적인 전도성 고분자로 뇌의 전기 신호를 읽는 전극을 만드는 기술이 개발됐다. 값싼 레이저를 이용해 전극을 미세하게 그릴 수 있고 전도도도 기존 생체친화적 고분자 전극보다 15~20배 높아졌다. 고승환 서울대 기계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김시윤 건국대 수의학과 교수와 전도성 고분자인 ‘PEDOT:PSS’를 이용해 몸 속에 오래 삽입해도 안전하고 면역 반응을 최소화한 미세 전극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최근 뇌에서 흘러나오는 전기 신호를 읽거나 전기 자극을 가해 신경전달물질을 분비시킬 수 있는 생체삽입형 ...
-
"올 하반기 한국형 슈퍼컴퓨터 개발 시작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지난달 19일로 설립 60주년을 맞았다. 전신인 한국과학기술정보센터 설립을 시작으로 지난 60년 간 과학기술 연구개발(R&D) 인프라의 체계적 구축을 통한 국가 경쟁력 확보라는 임무를 맡으며 과학기술 데이터 수집과 분석, 슈퍼컴퓨터 운영 네트워크 구축 등을 수행했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 기업들이나 타 기관들을 지원하는 조연 역할을 톡톡히 하며 국내 산업과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김재수 KISTI 원장은 7일 서울 종로구 HJ비즈니스센터에서 열린 창립 60주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
한컴, 지구관측위성 '세종 1호' 발사 성공…국내 첫 위성 보유 민간기업 탄생
국내 첫 지구관측용 민간위성인 한글과컴퓨터의 ‘세종 1호’가 25일 발사됐다. 지상국 교신까지 완료해 성공적으로 궤도에 안착했음이 확인됐다. 국내에서 스페이스X에 따르면 현지시간으로 25일 오후 2시 35분(한국시간 26일 오전 3시 35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세종 1호 등 위성 59기를 실은 팰컨9 로켓이 발사됐다. 스페이스X는 팰컨9 발사 75분 후 위성 배치가 모두 성공적으로 진행됐다고 밝혔다. 세종 1호는 발사 후 약 1시간 1분 뒤 팰컨9으로부터 분리됐다. 한컴은 26일 "세종 1호는 발사 후 ...
관련기사
- 김민수 기자rebor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