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신호 실시간 관측도 가능..."뇌질환 치료제 효과 분석 기대"
생쥐 뇌에 약물을 투여해 행동을 제어하면서 뇌 신호까지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칩이 개발됐다. 뇌질환 치료제의 효과를 다각도로 분석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조일주 고려대 의대 의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행동 제어와 뇌 신호 측정이 동시에 가능한 무게 4.6g의 초경량 브레인칩을 개발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지난 21일 온라인 공개했다고 27일 밝혔다.
개발한 칩은 미세 유체채널이 형성된 브레인칩 형태다. 여기에는 정밀한 투여량 조절이 가능한 초소형 펌프가 달려있다. 칩 안에는 뇌신호 측정용 전극도 집적돼 있어 약물에 반응하는 뇌 신호에 대한 정밀 측정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기존에는 외부 펌프를 이용해 약물을 주입한 후 뇌 신호나 행동 변화를 관찰할 수 밖에 없어 약물을 정밀하게 조절하거나 실시간으로 행동을 제어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약물 펌프와 초소형 약물 펌프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과 연결했다. 앱을 통해 약물 투어를 무선으로 제어하는게 가능하다. 무선 연결된 노트북에서는 실시간으로 뇌 신호 데이터를 수집한다.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태에서도 약물을 투여하고 이에 반응하는 뇌 신호를 읽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연구팀은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적용해 여러 마리 동물의 뇌에 동시 약물 투여와 뇌신호 읽기가 가능했다”며 “실제 개발한 칩으로 약물을 투여해 반복 행동을 유도하거나 식욕 억제가 가능함도 확인했다”고 말했다.
조일주 교수는 “뇌질환 메커니즘 규명과 치료제 개발에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 태그 뉴스
-
인체에 넣는 의료기기 수명 늘리는 코팅기술 개발
파킨슨병 등 뇌질환 치료를 위한 뇌심부 자극기는 인체에 삽입해 사용한다. 인체에 삽입되면 주변 생체조직에 면역반응을 유도하면서 기기 성능 저하로 이어져 장시간 사용이 어렵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조일주 뇌과학연구소 단장 연구팀이 서정목 연세대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뇌를 포함한 인체에 삽입되는 의료기기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인체 삽입시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고 염증반응을 억제해 기기 수명을 기존 대비 4배 늘릴 수 있는 기술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인체 삽입 기기 표면에 단분자막과 ...
-
인공 뇌 신경회로 분석할 3D 전극시스템 나왔다
국내 연구팀이 뇌 연구에 쓰이는 3차원(3D) 인공 뇌를 망가뜨리지 않고 신경 신호를 읽을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실제 뇌에 가까운 인공 뇌를 분석할 수 있게 되면서 다양한 뇌 질환 연구와 치료제 개발 속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란 기대를 모은다. 조일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과 최낙원 책임연구원 공동 연구팀은 인공 뇌의 신경회로를 망가뜨리지 않고 뇌 신호를 3차원으로 실시간 측정하는 분석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뇌는 수백억 개의 신경세포가 그물처럼 연결돼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판단, 기...
관련기사
- 고재원 기자jawon1212@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