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cy1oaa/btrKpzj44SM/Hfbk2ToTL5Bzds4qhs3KI1/img.jpg)
에두아르도 블룸왈드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데이비스) 교수 식물과학부 연구팀은 유전자를 교정해 땅 속의 질소 대신 공기 중 질소를 자양분으로 삼는 벼를 개발하고 지난 7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플랜트 바이오테크놀로지’에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질소 비료를 토양에 뿌리지 않아도 된다는 의미다. 질소 비료는 벼의 생육을 좋게 해 수확량을 높이는 데 꼭 필요한 영양분이지만 온실가스인 아산화질소를 만들어낸다. 비료 사용을 줄여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결과다.
과학자들은 지구 온난화를 억제하는 농법을 찾는 데 공을 들이고 있다. 농경지가 늘어날수록 질소 비료 사용이 늘고 지구 온난화가 심해지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UC데이비스 연구팀처럼 유전자 교정 기술을 이용하는 연구가 속속 나오고 있다. 미국 조 바이든 정부는 농업 분야 기후변화 대책인 ‘AIM4C’라는 국제 이니셔티브를 주도하고 있다. 농업으로 인한 지구온난화 영향을 줄이자는 목표로 한국을 포함한 약 41개 국가가 참여하고 있다. 유전공학 기술을 통한 농업 혁신이 이니셔티브의 목표 중 하나다.
○ 농축산업, 전세계 온실가스 약 15% 배출
농업은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이다. 영국 싱크탱크 채텀하우스의 분석에 따르면 전 세계 온실가스의 약 15%가 농축산업에서 배출된다. 전세계 인구가 늘어나면서 식량 수요 증가로 단위 면적당 더 많은 작물을 수확해야 하는 상황이다. 제초제와 비료 사용이 늘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도 함께 늘어난다.
반대로 지구 온난화가 진행될수록 작물 생산량이 줄어든다. 예를 들어 지구 기온이 2도 상승할 경우 쌀 생산량이 최대 20% 감소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면 더 많은 제초제와 비료를 사용해야 하며 이는 지구 온난화를 가속화시키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생기는 것이다. 농축산업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감축 요구 목소리가 높아지는 이유다.
올 4월 공개된 유엔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의 제6차 평가보고서 제3 실무그룹 보고서에 따르면 농업과 임업, 토지 이용 분야에서 연간 8~14Gt의 온실가스 감축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체적 감축 방안으로 유전공학 기술이 제시된다.
블룸왈드 교수팀이 개발한 기술도 이 중 하나다. 연구팀은 화학 분석과 유전체학을 이용해 벼에서 토양 박테리아의 질소 고정 활동을 촉진하는 화합물을 찾아내고 이 화합물이 식물체 내에서 만들어지는 경로를 밝혔다. 그런 뒤 화합물에 대한 유전자 교정을 진행했다. 공기 중 질소를 흡수하는 박테리아가 포함된 생물학 생성을 촉진하는 화합물이 벼에서 생성되도록 한 것이다. 그 결과 유전자 교정한 벼는 질소 비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질소 비료를 사용한 벼와 동일한 생육 상태를 보였으며 수확량도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벼 외에 다른 식물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블룸왈드 교수는 “식물은 믿기 어려울 만큼 훌륭한 화학 공장”이라며 “과도하게 사용되는 질소 비료를 줄일 수 있는 지속가능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유전자 교정으로 물 사용을 줄이는 식물 종자를 개발했다는 연구도 나왔다. 미국과 영국, 호주, 중국, 이스라엘 국제 공동 연구팀은 지난 8일(현지시간) 동일한 토양 조건에서 심어진 곳의 수분 함량이 약 7.6%포인트(p) 더 높은 유전자 교정 식물을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실험식물학’에 밝혔다. 물 사용이 적은 작물에 대한 단서를 제시한다.
식물은 전 세계 담수 사용량의 70%를 사용한다. 지구 온난화로 일부 지역 극심한 가뭄으로 토양 수분 고갈 현상이 더 악화되고 있다. 식물은 기공이라는 잎의 구멍을 열어 탄소를 흡수한다. 기공이 열리면 식물이 흡수한 물도 빠져나갈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식물은 탄소를 흡수하는 것과 수분 손실 사이에서 절충안을 택하게 된다.
연구팀은 기공이 열릴 때 식물이 흡수한 물을 붙잡고 있을 수 있도록 유전자를 교정했다. 연구팀은 “담배와 콩, 쌀, 대두 등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모두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며 “탄소 흡수를 늘리면서도 물 사용을 줄이는 방안”이라 강조했다.
유전자 교정 기술이 적용된 작물에 대한 규제 완화 움직임도 커지고 있다. 다른 종의 유전자를 주입하지 않는 방식으로 기존 유전자변형식품(GMO)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미국, 영국 등이 유전자 교정 작물 규제 완화를 추진중이다. 미국 농무부(USDA) 산하 국립식품농업연구소는 “유전자 교정은 작물의 수확과 기능성을 함께 높이는 유전공학을 가능케 한다”고 밝혔다.
관련 태그 뉴스
-
미국의 탄소중립 노력은 곡물 재배에서 시작된다
농업은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의 주요 배출원 중 하나다. 농사에 쓰이는 트랙터나 비료의 주요 성분인 질소가 탄소를 만들어 낸다. 논이나 습지에서 산소가 적어지고 토양이 산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 혐기적 조건이 될 때 혐기성 세균인 메탄생성균이 대표적 온실가스인 메탄도 만든다. 미국은 농업을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는 유망한 분야로 보고 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2019년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농지는 연간 최대 8.6기가톤(Gt)의 탄소를 포집해 저장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이는 한 해 동안 미...
-
공룡보다 무거워진 거대 농업기계, 논밭 망가뜨리고 수확량 떨어뜨린다
벼나 밀을 수확하는 콤바인은 몸집이 비교적 큰 농기계로 분류된다. 대형 콤바인이 벼를 가득 수확하면 중량이 60t에 이른다. 약 2억년전 지구의 주인이던 대형 공룡과도 견줄 수준이다. 전 세계 농업 인구가 계속 줄며 자동화가 추진되면서 콤바인과 트랙터 등 농기계 대형화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하지만 이런 농기계 대형화가 오히려 작물 수확량을 떨어뜨리는 역설적 상황을 유발할 것이란 경고가 최근 나왔다. 토마스 켈러 스웨덴 농업과학대 토양및환경학부 교수와 대니 오르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 환경시스템과학부 교수는...
-
북한 코로나 사망 42명...백신 전무, 보건·영양상태 열악해 최악 위기
북한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신규 발열자가 하루새 30만명 가까이 발생하고 15명이 사망했다. 지난달 말부터 누적 발열자는 82만620여명, 누적 사망자는 42명에 이른다. 북한의 매우 낮은 백신 접종률, 낙후된 보건체계, 열악한 건강상태가 코로나19와 맞물려 최악의 사망률을 기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국 정부는 이번 주 초에 북한에 코로나19 방역 지원을 논의할 실무접촉을 제안할 방침이다. 북한 국가비상방역사령부는 지난 13일 저녁부터 14일 오후 6시까지 전국에 29만6180여명의 발열자가 새로...
-
스페이스에프, 배양육 기술로 5년간 200억원 규모 국책과제 선정
세포 농업 스타트업 스페이스에프는 3일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는 산업기술 혁신사업인 알케미스트 프로젝트의 인공 에코푸드(배양육) 부문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배양육은 살아있는 소나 돼지가 아닌 동물의 줄기세포나 조직 등을 배양해 만든 대체육이다. 알키미스트는 연금술사를 뜻하는 말로, 획기적인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실패하더라도 그 과정에서 얻는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겠다는 의미다. 사업은 총 3단계 과정으로 진행되고 있다. 지난 2020년 6개팀이 선발돼 1년간 개념연구를 진행했으며, 그중 선발된 3개팀이 지난해 1년간 선행연...
관련기사
- 고재원 기자jawon1212@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