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가운 날씨뿐 아니라 실내외 온도 차가 커도 심장 건강에 무리가 갈 수 있다. 찬 공기가 피부에 닿게 되면 우리 몸에 교감신경이 자극되는데 맥박이 빨라지고 혈압이 증가해 심혈관질환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온도가 낮은 곳에서는 소변량이 증가하고 혈액의 수분이 빠지면서 혈액이 끈적하게 농축돼 심장병의 위험을 높이기도 한다. 찬 공기로 인해 인체에 호르몬 분비가 자극되는 것도 심장병과 직결된다.
겨울철 특히 주의해야 할 심장질환은 '관상동맥질환'이다. 관상동맥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가장 중요한 혈관이다. 관상동맥이 동맥경화로 서서히 막히는 질환이 '협심증', 갑작스럽게 막히면 '심근경색'이라 한다. 언뜻 비슷해 보이지만 증상은 조금 다르다. 협심증은 혈관이 좁아진 상태기 때문에 계단이나 가파른 언덕을 오를 때는 증상이 악화하지만 쉬거나 누워있을 때는 증상이 호전된다. 그에 비해 급성 심근경색은 움직임이나 태도에 상관없이 계속해서 증상이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관상동맥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은 '흉통'이다. 콕콕 찌르는 증상과는 다르게 묵직하고 짓누르는 듯해 환자들이 "공포감이 느껴진다" "쥐어짜듯이 아프다" 등으로 표현한다. 특히 급성 심근경색의 경우 혈전으로 인해 갑작스럽게 관상동맥이 막히기 때문에 자는 도중에도 흉통이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 식은땀이 날 정도로 심한 증상을 보이고 30분 이상 통증이 지속된다. 응급 상황임으로 무조건 119의 도움을 받아 최대한 빨리 응급실에 가야 한다.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는데 '왕도'는 없다. 누구나 아는 것처럼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적당한 운동과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식단은 생채소나 과일 위주로 구성하는 게 좋다. 채소나 과일을 주스로 갈아서 먹는 것은 신체에 영양소가 한 번에 흡수되다 보니 오히려 대사활동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가급적 그대로 섭취한다.
심장에 좋은 영양소를 챙겨 먹는 것도 일부 도움이 될 수 있다. 박창범 강동경희대병원 심장혈관내과 교수는 "오메가3 지방산이 심장병을 예방한다는 명확한 증거는 없으나 반대로 건강에 나쁘다는 증거도 없다. 원한다면 오메가3 지방산 섭취가 문제가 되지는 않겠다"고 말했다. 반면 크릴오일에 대해서는 "건강기능식품이 아닌 일반식품으로 분류되어 있어서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는 효과를 입증하기 어렵다"고 했다.
심장 건강을 지키기 위해 스트레스 관리에도 신경 써야 한다. 적절한 스트레스는 일의 능률을 올려주지만, 과로와 극심한 스트레스가 심장질환의 유병률을 높인다. 박창범 교수는 "스트레스를 피하고, 가족들과 함께 편안하고 즐겁게 지내는 것이 심장 건강을 지키는 좋은 방법의 하나"라고 조언했다.
'창조하신 대로 사는 생활 지식 > 하나님 백성의 건강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만 그래?" 중년 되면 면역력 뚝 떨어져...이런 습관 들여야 (0) | 2025.01.31 |
---|---|
이 '네 가지 병' 있는 사람, 잠자는 자세 요주의? (0) | 2025.01.31 |
‘이 수치’ 높으면 암 사망률 감소한다, 높이는 방법은? (0) | 2025.01.28 |
ADHD 진단받은 성인, 기대수명 짧다 (0) | 2025.01.28 |
'두 씨앗' 키웠다간…암만큼 치명적인 한국인 사망 원인 2·4위 (0) | 2025.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