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천문연구원 KMTNet
한국천문연구원은 태양계 가장 바깥쪽을 맴도는 천체 26개를 새롭게 발견했다고 9일 밝혔다. 최근 3년간 천문학자들이 보고한 해왕성바깥천체(TNO) 86개 중 약 3분의 1에 달한다.
2019년부터 최근까지 이뤄진 이번 발견은 천문연이 칠레, 호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운영중인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 중 칠레 관측소의 1.6m 구경의 망원경을 활용한 것이다. 2019년부터 매년 4월 태양계 천체가 모여있는 황도면을 집중 관측한 결과다.
TNO는 태양계 최외곽 행성인 해왕성 너머 태양계 초기의 역사를 간직한 채 공전하는 작은 천체를 뜻한다. 가장 유명한 TNO는 명왕성이다. TNO는 너무 멀고 어둡기 때문에 대부분 대형망원경을 통해 발견된다.
천문연이 아닌 다른 기관이 발견한 60개의 천체는 모두 KMTNet보다 구경이 큰 4m~8m 구경의 대형 망원경이 발견했다. 천문연은 KMTNet을 통해 17개의 천체를 최소 2년 이상 관측하는 데 성공했으며 궤도 특성을 파악했다.
태양계 초기 진화 당시 많은 천체들은 서로 충돌하거나 궤도를 바꾸는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TNO 상당수는 태양계가 형성될 때부터 화석처럼 변하지 않은 채 같은 궤도를 돌고 있다. TNO의 궤도 분포를 연구한다면 태양계 초기 역사를 파악하는 실마리가 될 수 있다.
천문연이 이번에 발견한 천체 중 ‘2022 GV6’는 공전 주기가 1538년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TNO 중에서도 희귀한 2022 GV6의 궤도는 인류가 본격 탐사에 착수한 태양계 최외곽 지역의 작은 천체 분포를 통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안영민 천문연 박사후연구원은 “2022 GV6처럼 공전주기가 특이한 천체들을 발견해 태양계 역사의 비밀을 알아낼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 태그 뉴스
-
[화보]서울 밤하늘에 나타난 '하트 성운'
지난 2020년 10월 30일 서울 중랑구 면목동의 밤하늘에서 하트 성운이 포착됐다. 전체적 형상이 하트 모양을 닮은 아름다운 성운으로 중심부의 디테일한 구조와 성운 외곽의 물고기 모양이 특징이다. 성운의 아름다운 형상과 색감이 잘 드러난다. 한국천문연구원은 18일 제30회 천체사진공모전에 선정된 24개 수상 작품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심우주, 지구와 우주, 태양계를 주제로 사진과 그림, 동영상 분야의 수상작을 뽑는 이번 공모전에는 총 208개 작품이 출품됐다. 기술성과 예술성, 시의성, 대중성을 기준으로 심사하며 이번 대회에서는 전체 응...
-
우리은하 블랙홀 관측결과 나오나...12일 발표에 천문학계 주목
한국 연구자들이 포함된 국제 공동 연구진이 조만간 우리은하에서 블랙홀을 관측한 연구결과를 발표할 것이란 전망이 나와 천문학계 관심을 모으고 있다. ‘사건지평선망원경(EHT)’ 국제 공동 연구팀으로 불리는 이들 연구자들은 지난 2019년 사상 처음으로 외부은하에서 블랙홀 M87의 그림자를 관측한 결과를 내놓으며 과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우리은하 블랙홀은 M87보다도 지구에서 2000배 가깝지만 질량과 크기가 작아 관측이 더 어려웠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지난 2019년에 이어 이번 블랙홀 연구에도 EHT 일원으로 참여했다. 2일 ...
-
"우주전담조직 대통령실·국가우주위 산하로 설립해야"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공약한 항공우주청 신설에 대한 검토에 들어간 가운데 새로운 전담기관을 대통령실과 국가우주위원회에 산하에 설치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 우주전담기관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련 부처 업무를 조정하는 부서를 둬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 일각에서 제기한 민군 기관을 통합해 운영하는 안은 무기 수출입 통제에 관한 국제 규정에 얽매일 수 있다며 재고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 우주탐사그룹장(책임연구원)은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
-
국내 연구진, 중력렌즈 지난 초대질량 블랙홀 '퀘이사' 찾는 새 방법 제시
국내 과학자들이 초대질량 블랙홀이자 우주에서 가장 밝은 빛을 내는 천체인 퀘이사의 빛이 중력렌즈를 통과해 지구에 도달했는지 판별하는 새 방법을 제시했다. 한국천문연구원 아르만 샤필루 책임연구원과 사타드루 박 박사후연구원은 시간에 따른 퀘이사의 광도 변화를 활용해 중력렌즈를 통해 지구에 도달한 퀘이사를 구별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냈다고 25일 밝혔다. 중력렌즈는 무거운 질량을 가진 천체 주변 시공간이 휘면서 빛이 마치 광학 렌즈를 통과하는 것처럼 휘어보이는 현상이다. 렌즈 작용을 하는 천체 중력에 의해 빛이 굴절되면 광...
관련기사
- 김민수 기자rebor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