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 창조론 5

알파 창조론 (연재 1) 창세기 1장의 현대적 해석에 의한 “알파 창조론”

목 차  Ⅰ. 들어가면서: 창세기 1장의 해석 방법에 대하여 II. 창세기 1장: 6일간의 창조 1. 첫날의 창조: 천지, 흑암과 빛, 그리고 밤과 낮2. 둘째 날의 창조: 지구의 대기권(‘라키아’, 궁창)3. 셋째 날의 창조: 바다와 육지의 분리, 식물4. 넷째 날의 창조: 광명체들의 미세 조정5. 다섯째 날의 창조: 물의 생물과 조류6. 여섯째 날의 창조: 땅의 동물과 사람 III. 나가면서 본 문 Ⅰ. 들어가면서 - 창세기 1장의 해석 방법에 대하여 기독교의 창조론은 기본적으로 창세기 1장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 창세기가 역사적으로는 기독교에서 작성된 문헌이 아니지만, 기독교는 창세기를 중요 경전으로 인정하고 있고, 창세기 1장이 서술하는 하나님의 창조 사역을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창세기 1장의 현대적 해석에 의한 “알파 창조론"(놈문: 연재12)

4) 하나님 최초의 섭리: 원복음을 주시다 모세는 1:28에서 하나님이 인간을 창조하신 후에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하나님이 그들에게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וַיְבָרֶךְ אֹתָם אֱלֹהִים וַיֹּאמֶר לָהֶם אֱלֹהִים פְּרוּ וּרְבוּ וּמִלְאוּ אֶת־הָאָרֶץ)라고 하시고, 이어서 “땅을 정복하라,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땅에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 하시니라”(וְכִבְשֻׁהָ וּרְדוּ בִּדְגַת הַיָּם וּבְעֹוף הַשָּׁמַיִם וּבְכָל־חַיָּה הָרֹמֶשֶׂת עַל־הָאָרֶץ׃)고 서술했다. 하나님이 인간을 남자와 여자로 창조하시고 가장 먼저 하신 이 말씀을 ..

“기독교 창조론, 과학적 무신론 반론해야”

허정윤 박사, 22일 온라인 창조론 오픈포럼서 발표 기독일보 장지동 기자(zidgilove@cdaily.co.kr) 허정윤 박사(창조론오픈포럼 공동대표, 알파와오메가창조론연구소)가 지난 22일 오후 온라인으로 진행된 제22회 창조론 오픈포럼에서 ‘창세기 1장의 현대적 해석에 의한 알파 창조론’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허 박사는 “창조 톨레도트(태초의 지구에 빛으로 오신 그리스도의 지구 생태계 창조 이야기)는 모세가 보고 들은 것을 고대 히브리인들의 관점에서 기록한 것”이라며 “그것을 문자적으로 읽으면, 유대교의 교리처럼 고대 히브리인들의 우주관을 벗어나지 못한다”고 했다. 이어 “첫 날의 창조한 밤과 낮(흑암과 빛) 부분에서 창세기 1장 3절을 보면 처음 창조의 명령(미완료형)으로 ‘빛이 있으라’라는 지..

창세기 1장의 현대적 해석에 의한 “알파 창조론”

영역: 신학/성경 키워드: 알파 창조론, 창세기 1장의 해석, 6일 창조, 현대적 창세기 해석, 창조주 하나님 Alpha Creationism by Contemporary Interpretation in Genesis 1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of Genesis 1 to understand the origins of the universe, Earth, and Earth creatures from a modern man's perspective. Genesis 1 is recognized in Christianity as written by Moses in ancient Hebrew and is also called Creation Toledot. The Hebrew..

<인터뷰> ‘알파 창조론’과 ‘오메가 창조론’

오늘날의 신학동향 - 창조신학 ‘알파 창조론’과 ‘오메가 창조론’ 기사입력 : 2020.08.27 08:03 ▲지금까지 ‘알파창조론’을 연재했는데 알파창조론은 무엇인가? = 알파창조론은 창세기 1장을 범위로 하고, 히브리어 원어를 텍스트로 삼았다. 창세기 1장 안에 알파창조론의 모든 것이 다 들어 있고, 나머지는 불필요하다.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말씀과 모세의 설명을 구별해야 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저자인 모세는 그가 살았던 고대 히브리인들의 세계관으로 창조의 계시를 설명했다. 그래서 창세기를 문자적으로 해석하면 고대 히브리인들의 우주관을 설명하는 것 밖에는 되지 않는다. ▲알파창조론은 가장 큰 성과는 무엇인가? =고대 히브리인들의 우주관을 탈피하여 과학적 사실과 일치하는 기독교 창조론을 제시했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