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특히 주의해야
![](https://blog.kakaocdn.net/dn/wSnOi/btrHVJhh5yV/sGEOE6beGykNLHjIlPKT6K/img.jpg)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간세포암 진료현황 데이터에 의하면 2021년 기준 간세포암 진료인원은 전체 간암 진료인원의 79.8%(6만 4525명)였다. 간암 환자 10명 중 8명은 간세포암 환자라는 것.
최근 5년(2017~2021년)간 환자는 계속 늘어났다. 연평균 2.2% 증가했다. 특히 남성 환자가 많다. 2021년 기준 남성 환자는 4만 9677명, 여성 환자는 1만 4848명이었다.
간세포암이 생기는 주요 원인은 간염 바이러스, 간경변증, 알코올성 간질환,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등이 있다. B형 및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간경변증이나 간세포암이 발생할 수 있는데, 전체 간세포암의 75~80%가 이를 원인으로 발생한다.
간세포암 초기에는 다른 질환과 증상 구분이 어렵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최종원 교수는 “간세포암 증상은 서서히 나타나고 초기에 잘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며 “식욕부진, 체중감소, 복통, 소화장애, 복부팽만감 등 비특이적 증상이 주로 나타나 다른 질환과 감별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간이 비대해져 배에서 만져진다거나 복수가 차거나 황달이 생기는 등 증상이 뚜렷해졌다면 이땐 이미 병이 상당 부분 진행된 상태라고 볼 수 있다. 간혹 간 표면에 있는 간세포암에서 대량 출혈이 일어나 갑자기 배가 심하게 불러오고 쇼크 상태에 빠지기도 한다.
치료 시에는 간염·간경변증 등의 기저질환, 암의 진행 정도, 남아있는 간 기능을 평가해 치료 방법을 택한다. 종양을 제거하고 완치를 노리는 근치적 치료로는 간절제술, 간이식술, 고주파 열치료술, 에탄올 주입술이 있고 종양의 진행을 막고 크기를 줄이는 비근치적 치료로는 간동맥 색전술, 항암치료, 방사선치료가 있다. 최 교수는 “간세포암은 치료하지 않으면 복수, 황달, 출혈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사망에 이르게 된다”며 반드시 조기에 치료할 것을 당부했다.
간세포암이 발생하는 것을 막으려면 B형, C형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도록 특히 주의해야 한다. B형 간염 바이러스는 모체에서 태아나 신생아로 감염될 수 있기 때문에 출산 시 관리가 중요하다. 출산 이후에는 B형 간염 바이러스 예방접종을 받아야 한다. C형 간염 바이러스는 아직 백신이 없으니, 불결한 침이나 주사바늘 등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음주습관, 식습관, 운동 등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도 알코올성 간질환,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간세포암 등을 예방하는 방법이다.
문세영 기자 pomy80@kormedi.com
'창조하신 대로 사는 생활 지식 > 하나님 백성의 건강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온을 올리면 건강에 좋은걸까 (0) | 2022.07.29 |
---|---|
휴대용 '손 선풍기', 더위에 즐겨 썼는데…충격 결과 (0) | 2022.07.26 |
만병 물리치는 ‘면역력’ 키우는 법 (0) | 2022.07.21 |
'생존률 14%' 췌장암…2040년 간담도췌 암 환자 중 최다 전망 (0) | 2022.07.21 |
외계인 손 증후군.. 내 손이 제멋대로 움직인다? (0) | 2022.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