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의를 갖지 않은 사람도 권위를 누릴 수 있는 상황이 주어지면 쉽게 폭력성을 발현한다. 이러한 사실을 실험을 통해 확인한 미국 사회심리학자 필립 짐바르도가 별세한 것으로 25일 알려졌다.
미국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짐바르도는 지난 14일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자택에서 향년 91세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대표적인 연구는 1971년 발표된 일명 '스탠퍼드 교도소 실험'이다. 짐바르도는 상황이 인간의 행동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 연구했다. 새로운 연구 방법을 모색하던 짐바르도는 스탠퍼드대 건물 지하에 감옥을 본딴 시설을 만들었다. 작은 독방 형태로 지어진 이 시설에는 신문 광고를 통해 모집한 24명의 남성 대학생이 실험에 투입됐다.
실험 참가자들은 교도관 역할과 죄수 역할 두 그룹으로 나뉘었다. 교도관 역할을 맡은 참가자들에게는 영화에 등장하는 엄격한 교도관의 외형을 연출하도록 제복과 선글라스가 지급됐다. 죄수 역할 참가자들은 죄수복을 착용했다.
교도관 역할을 한 참가자들은 죄수 역할을 맡은 참가자들을 통제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교도관의 역할을 잘 수행하기 위해 지켜야 할 자세한 지침은 주어지지 않았다.
당초 2주간 진행될 예정이었던 실험은 6일 만에 중단됐다. 교도관 역할을 맡은 참가자들이 연구진의 예상보다 높은 수준의 폭력적인 행동을 보였기 때문이다. 교도관 역할을 맡은 참가자들은 죄수 역할을 맡은 참가자들에게 양동이에 배변을 보게 한다거나 밤새 반복적으로 잠을 깨우는 등 '심리적 고문'을 가했다. 죄수 역할을 맡은 참가자들이 극심한 스트레스를 호소하면서 실험은 곧 중지됐다.
윤리적 비판을 받았던 짐바르도의 이 실험은 상황이 인간의 행동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는다. 사람에게 특정한 사회적 역할이 주어질 때 이 역할에 몰입하는 과정에서 윤리적 기준이 쉽게 간과될 수 있다는 것이 연구의 결론이었다.
짐바르도의 이 연구 외에도 그의 친구이자 고등학교 동창인 사회심리학자 스탠리 밀그램의 '밀그램 실험'이 평범한 인간이 악한 행동을 하는 데 환경적 조건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다.
1961년 실시된 밀그램 실험은 참가자들을 교사와 학생 두 그룹으로 나눠 학생 역할을 맡은 사람이 시험 문제를 틀릴 때마다 점점 더 강한 전기충격을 가하도록 했다. 참가자들은 실험 운영자의 지시에 따라 학생 역할을 맡은 사람이 고통을 호소해도 개의치 않고 강력한 전기 충격을 가했다. 이 실험에서 학생 역할을 맡은 참가자들은 실제로는 연기자였으며 정말로 전기 충격이 가해지진 않았다.
밀그램 실험이 환경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주목했다면 짐바르도의 실험은 사회적 시스템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두 학자의 실험은 미국의 정치철학자 한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 개념을 설명하는 데 종종 사용된다. 맹목적인 복종과 사고의 부재를 집단에서 일어나는 폭력과 비윤리적인 행동의 핵심으로 지목한 이 개념은 오늘날 권위와 복종 그리고 도덕적 책임에 대한 논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