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를 특정한 상황에서 정상세포로 되돌리는 ‘암가역화’ 현상의 원리를 처음으로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암세포를 죽이지 않고 성질만을 변화시키는 치료기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조광현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에 2일 발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은 정상세포가 외부자극에 부합하는 세포반응을 일으키는 것과 달리 암세포는 외부자극을 무시한 채 통제불능의 세포분열 반응만을 일으킨다는 것에 주목했다. 세포분열을 조절하는 기능을 정상화하면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릴 수 있을 것이란 가설을 세웠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분석에서 이러한 가설은 사실로 확인됐다. 특정 조건에서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왜곡된 입출력 관계는 정상적인 입출력 관계로 회복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어진 분자세포실험에선 이와 같은 입출력 관계의 회복이 실제 암세포에서 일어난다는 것이 입증됐다.
연구팀은 나아가 암세포의 왜곡된 입출력 관계가 정상세포의 정상적인 입출력 관계로 회복될 수 있는 이유는 세포내 유전자 조절 네트워크의 ‘견실성’과 ‘중복성’이란 사실도 것을 규명했다. 또 암 가역화를 위한 조절 타깃으로 유력한 유전자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유전자들을 조절하면 실제로 암세포의 왜곡된 입출력 관계가 정상적인 입출력 관계로 회복된다는 사실까지 암세포 분자세포실험을 통해 증명했다.
연구를 이끈 조광현 교수는 "이번 연구에선 암가역화의 근본적인 원리를 최초로 밝혔다”며 “현행 항암치료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암 가역치료 전략 및 신약 개발 가능성을 높이게 됐다”고 말했다.

관련 태그 뉴스
-
암세포 증식 원리, 새로운 단서 찾았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박찬영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암세포의 새로운 세포사멸 조절 원리를 찾아내고 암 발생에 관여하는 새로운 단서를 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암세포는 영양분이 부족하거나 저산소증이 있는 상황에서도 정상세포와 달리 끊임없이 증식한다. 살아있는 암세포(침입세포)가 다른 암세포(포식세포) 안으로 침입해 ‘세포 내 세포’ 구조를 만드는 ‘엔토시스’ 현상이 이같은 암세포의 증식과 관련있다는 사실이 최근 보고됐다. 엔토시스 현상은 암세포들의 상호작용으로 염색체수 이상과 같은 유전체...
-
암세포로 암 치료 백신 개발 가능성 열었다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를 이용해 만든 획기적인 암 치료 백신 개발 가능성을 열었다. 진준오 울산대 교수 연구팀은 암세포에서 얻은 표면 단백질을 항원으로 이용한 암 치료 백신 기반 기술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 4월 29일자에 게재했다고 25일 밝혔다. 암이 발병하면 보통 항암제 투여나 방사선 치료를 한다. 인간 면역세포를 활용한 치료가 각광받고 있지만 효과가 제한적이다. 연구팀은 종양 세포의 막 단백질과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면역원성) 세포 사멸시 발생하는 단백질을 이용해 지질...
-
[과기원은 지금] KAIST, 마이크로 LED 소자 효율 높일 기술 개발 外
■ KAIST는 김상현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단위의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가 소형화될 때 소자 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을 규명하고 에피택시 구조 변경으로 저효율 문제를 해결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했다고 22일 밝혔다. 에피택시 기술은 마이크로 LED 제조 시 초순수 규소나 사파이어 기판 위에 발광체로 쓰이는 질화갈륨 결정체를 쌓는 공정을 말한다. 연구팀은 이 기술로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하는 열을 기존보다 40% 낮춰 발열과 저효율 문제...
-
항암제 안 듣는 암 치료 신약 후보 물질 찾았다
국내 연구진이 항암제가 통하지 않아 암이 재발‧전이한 사례에서 치료 효과를 보이는 신약 후보 물질을 찾아냈다. 암 치료 전반은 물론 그 동안 효과적인 치료법을 찾지 못했던 항암제 저항성 암을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세브란스병원은 정재호·박기청 연세대 의대 외과학교실 교수 연구팀이 기존 항암제로 치료할 수 없었던 암 줄기세포의 생존 원리를 알아내고 신약 후보 물질에 대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비엠씨 메디슨(BMC Medicine)’에 게재했다고 13일 밝혔다. 우리 몸의 각 조직...
- 박정연 기자hess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