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8.09 07:00
유럽우주국(ESA)의 태양 탐사선 '솔라 오비터'가 촬영한 태양 최근접 사진이다. NASA 제공
태양은 질량의 98%가 수소와 헬륨으로 이뤄져있다. 중심핵에서는 수소의 원자핵과 전자가 초고온 환경에서 분리된 플라즈마 상태에서 원자핵끼리 융합하는 핵융합 반응으로 열에너지가 생긴다. 과학자들은 태양 플라즈마가 표면에서 서서히 소용돌이(파동)치며 움직이는 현상을 관측하고 플라즈마의 움직임으로 태양 내부 자기장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예측해왔다. 태양의 자기장은 태양풍을 유발해 지구에도 영향을 준다. 하지만 플라즈마의 움직임이 어떻게 생겨났는지는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회 태양계연구소(MPS)와 독일 괴팅겐대학 연구진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태양활동관측위성(SDO)이 수집한 10년치 데이터를 분석한 뒤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태양 표면에서 플라즈마가 어떻게 느린 속도의 파동을 보이는지를 알아내고 천문학 분야 국제학술지 ‘천문학및천체물리학’ 7월 20일자(현지시간)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태양 표면 플라즈마 파동의 기원을 찾기 위해 SDO의 10년치 데이터를 토대로 컴퓨터 모델링 기법을 고안했다. 모델링에는 2013년 관측된 큰 규모의 플라즈마 파동과 이보다 더 큰 규모로 최근 관측된 플라즈마 파동을 관측한 데이터가 결정적으로 도움을 줬다.
연구진의 분석 결과 플라즈마 파동의 움직이는 속도는 시속 5km로 사람이 걷는 속도와 유사했다. 이같은 느린 속도의 움직임은 태양의 서로 다른 영역이 각자 다른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생겨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태양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극 부분은 34.4일마다 한바퀴 회전하는 반면, 태양의 적도 부근은 축을 중심으로 25일마다 한바퀴 회전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같은 차이로 표면의 플라즈마 파동이 생겨난다는 설명이다.
연구진은 또 태양 내부 물질의 정체에도 한걸음 더 다가갔다. 태양 내부에 존재하는 물질은 대류 현상을 통해 중심핵에서 생성된 뜨거운 물질이 표면으로 올라온다. 연구진은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태양 내부 물질이 최대 20만1168km 깊이에서 표면으로 올라오게 된다는 사실을 알아내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유토 베키 연구원은 “모델링을 통해 태양 내부를 들여다보고 태양 내부 대류 활동의 3차원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다양한 주기로 활동하는 다양한 크기와 유형의 플라즈마 파동을 분석한 결과 일부 파동은 극 주변에서 최대 속도를 보였고 일부는 중위도나 적도 부근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진행됐다”고 밝혔다.
같은 연구팀의 대미언 포니에르 연구원은 “과학자들은 1960년대부터 태양 표면의 플라즈마 파동에 대해 알고 있었지만 어떤 메커니즘에 의해 이같은 플라즈마 파동이 일어나는지를 규명하지 못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태양 물질의 대류 깊이와 위도에 따른 표면 파동 특성 등을 재구성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관련 태그 뉴스
사우디 북부 사막은 10만년 주기로 '초원의 문' 열렸다
사우디 북부 사막은 10만년 주기로 '초원의 문' 열렸다
사우디아라비아 북부 네푸드 사막은 지금은 사방이 모래로만 가득해 생명체가 살지 못하는 삭막한 불모지로 꼽힌다. 하지만 한때 10만년 주기로 푸른 초원으로 바뀌어 인류의 조상들이 아프리카에서 다른 대륙으로 이동할 때 이용했던 주된 통로였다는 사실이 최근 연구에서 드러났다. 마이클 페트라글리아 독일 막스플랑크인류사과학연구소 교수 연구팀은 네푸드 사막에서 발견된 호수의 흔적과 고대 석기를 분석한 결과 과거 10만년 단위로 기후가 바뀔 때마다 호수와 초원이 형성됐으며 고대 인류가 거쳐간 흔적이 발견됐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위성이 날아오는 순간 천체 관측 카메라는 눈을 감는다
위성이 날아오는 순간 천체 관측 카메라는 눈을 감는다
지난해 6월 22일 박영식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충북 괴산에서 촬영한 구상성단 M13이미지에서 8개의 빛이 사선으로 지나가는 궤적을 확인했다.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위성 인터넷 프로젝트 ‘스타링크’ 위성이 천체 M13 관측을 방해하는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스타링크 위성이 천문 관측에 방해가 될 것이라는 천문학계의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는 가운데 2일 우주 분야 외신에 따르면 러시아 소재 한 스타트업이 스타링크 위성을 회피해 천체를 관측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테스트에 착수해 눈길을 끌고 있...
'쓰고나면 녹는다' 녹는 스마트워치 첫 선…'전자폐기물' 해결의 열쇠 될까
'쓰고나면 녹는다' 녹는 스마트워치 첫 선…'전자폐기물' 해결의 열쇠 될까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설립한 글로벌전자폐기물통계파트너십(GESP)에 따르면 2019년 발생한 전 세계 전자 폐기물은 5360만t에 이른다. 전 세계인이 1년 간 전자 폐기물을 7.3kg씩 버린 셈이다. 휴대전화나 스마트워치 등 소형 전자기기 교체 주기가 빨라질수록 전자 폐기물 발생량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GESP는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연간 전자 폐기물 발생량이 매년 250만t씩 늘어나 2030년 7470만t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과학자들은 수명이 다하면 분해되는 이른바 ‘트랜션트(Transient)’ 전자기기가 전세계...
대형 망원경 새 명당자리 '지구의 지붕' 티베트 고원서 찾았다
대형 망원경 새 명당자리 '지구의 지붕' 티베트 고원서 찾았다
우주의 비밀을 밝히는 대형 천체망원경의 새 명당 자리가 지구의 지붕으로 불리는 티베트 고원에서 발견됐다. 덩 리카이 중국과학원 국가천문연구소 연구원팀은 중국 칭하이성 렁후 인근 싸이스텅산의 해발 4200~4500m 지대가 대형 천체 망원경을 설치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19일 소개했다. 대형 천체망원경의 설치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입지 조건이다. 컴컴한 먼 우주에서 들어오는 미약한 별빛을 포착해야 하기 때문에 맑은 날이 많은 지역이 우선 순위로 꼽힌다. 가스나 먼지처럼 ...
태그
관련기사
- 지구 자기장이 요동친다…“이대로라면 선박 항해 어려워질 수도”
- 인간도 지구자기장을 느낀다
- 지구는 외핵운동, 목성은 바람 때문에 자기장 변화 겪는다
- NASA, 블랙홀 영상 공개
- 초파리는 지구자기장의 기억을 후손에 전달한다
- 김민수 기자reborn@donga.com모든기사보
'현대 창조론 연구 자료실 > 창조론 연구를 위한 과학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폭풍 오면 인터넷 대재앙 일어난다 (0) | 2021.09.12 |
---|---|
종교와 과학이 대립한다는 잘못된 고정관념 (0) | 2021.09.08 |
수마트라섬 초화산의 꺼지지 않는 '분노'..백두산은 괜찮을까 (0) | 2021.09.04 |
탈모 전문 의사의 탈모 극복기... ‘2·2·2 샴푸법’ 실천하세요 (0) | 2021.09.01 |
인간의 기억은 어떻게 형성될까? (0) | 2021.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