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형석의 부동산정석]
입력 2021.12.14 08:12 수정 2021.12.14 11:17
한경닷컴 더 머니이스트
인구 감소, 수도권·비수도권 충격 달라
지방 부동산 붕괴·지역 소멸 앞당겨
英 옥스퍼드 인구문제연구소
"한국, 지구상에서 가장 먼저 사라질 나라"
인구 감소, 수도권·비수도권 충격 달라
지방 부동산 붕괴·지역 소멸 앞당겨
英 옥스퍼드 인구문제연구소
"한국, 지구상에서 가장 먼저 사라질 나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정부의 현실인식은 더 심각합니다. 경제부총리는 본인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내년부터 저출산 대응 신규사업을 본격적으로 시행할 계획이고 실효성 있는 추가과제들도 지속 발굴하는데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인구문제는 바로 정책을 집행한다고 해도 당장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실효성 있는 정책을 지금 도입한다고 해도 실질적인 효과는 30년이 지나야 발휘되기 때문입니다. 인구와 경제는 뗄 레야 뗄 수 없는 관계인데 경제적으로 유의미한 연령대까지 성장하기 위해서는 30년이 필요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발등에 불이 떨어졌는데도 내년 시행하거나 발굴할 과제를 생각한다는 것은 위기를 위기로 바라보지 않는다는 방증입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아무리 높은 소득을 자랑하는 지역이라고 하더라도 인구가 10만명에 불과한 도시는 부동산 투자 측면에서는 중요성이 현저히 떨어집니다. 물론 주택구매연령대인 40~60대는 인구감소와 가구 수 감소에서 총인구 감소보다는 유리하기에 주택가격 하락의 영향은 적을 것이라는 반론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MZ세대로 명명되는 2030대가 서울 아파트 시장의 주력 매입계층으로 부각되면서 인구감소의 영향은 부동산시장에 큰 충격으로 다가올 겁니다.
지방의 경우 인구는 줄어들고 주택공급은 많아지니 향후 부동산시장은 큰 충격을 맞을 겁니다. 올해 10대 건설사의 지방 분양비중은 현 정부 들어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현 정부 초기 65.1%대 34.9%였던 수도권 대 지방 분양비중은 46.8% 대 53.2%로 역전되었습니다. 지방만이 아닙니다. 수도권 외곽도 마찬가지일 겁니다.
도심에서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공급과잉과 함께 인구감소의 충격은 커질 듯합니다. 10년 후 부동산시장의 가장 큰 이슈는 생활인프라가 잘 구축된 ‘도심이냐 아니냐’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런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똘똘한 한 채’를 유도하는 각종 규제 정책은 지방소멸을 더욱 앞당기는 방향으로 작용할 겁니다.
''이미', 그러나 '아직' > 시대의 징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명 이상 동사" 눈 구경 갔다 파묻힌 차량 수천 대 참변 (0) | 2022.01.09 |
---|---|
"올해 당장 터질수도, 달아나야 산다"..日 후지산 또 폭발 경고 (0) | 2022.01.02 |
한겨울 최악의 폭풍, 지구의 경고일까 (0) | 2021.12.13 |
'경석' 도쿄 앞바다까지..죽은 거북이 뱃속에도 가득 (0) | 2021.11.16 |
앞마당에 바닷물이..기후 위기 현실로 (0) | 2021.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