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하신 대로 사는 생활 지식/하나님 백성의 건강 관리 1278

‘코로나19’ 팬데믹 -뇌졸중·당뇨환자·흡연자, 코로나19 취약 원인 밝혀졌다

‘코로나19’ 팬데믹 뇌졸중·당뇨환자·흡연자, 코로나19 취약 원인 밝혀졌다입력 2020.06.20 (21:22) 수정 2020.06.20 [앵커] 뇌졸중이나 당뇨 환자, 또 흡연자가 코로나19에 걸리면 중증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방역당국이 고위험군으로 분류한 바 있는데요. 이런 만성질환자가 코로나19에 취약한 이유를 국내 연구팀이 찾아냈습니다. 박광식 의학전문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국내 코로나19 사망자 대부분은 만성질환잡니다. 이중 77%는 뇌졸중 같은 심뇌혈관 질환이 있었고 44%에선 당뇨병을 확인했습니다. 만성질환이 있는 사람은 그만큼 코로나19에 취약하단 겁니다. [엄중식/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교수 : "병원에 도착했을 때 상당히 진행한 폐렴 상태에서 진단됐는데 뇌졸중이 온 상태에서 요..

"코로나 완치돼도 항체 사라질 수 있다" 中·美 연구 보니

이옥진 기자 입력 2020.06.19 21:51 25% 코로나 감염 추정, 몇개월 뒤 항체는 4%만 무증상 환자 81%, 유증상 환자 62%가 중화 항체 감소 보여 전문가들 "코로나 장기 면역력 백신 나오기 어려울 수도" 코로나 바이러스 모형을 들고 있는 중국의 연구원. /연합뉴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항체가 오래 지속될 확률이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감염된 뒤 완치가 되더라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항체가 없어질 수 잇다는 것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우한대 중난병원과 미국 텍사스대 연구진은 코로나바이러스 진원으로 지목된 중국 후베이성 우한 지역에 있는 병원 근로자 2만3000여명을 대상으로 항체 검사를 시행했다. 연구진은 검사 대상자 중 최소 25%가 코로나에 감..

A형은 위험·O형은 안전..혈액형별 코로나19 위험도 다르다?

구무서 입력 2020.06.18. 15:53 댓글 684개 자동요약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경우 혈액형에 따라 위험도에 차이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잇따라 발표되고 있다. A형은 위험하고 O형은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것인데, 방역당국도 전문가들과 함께 혈액형과 코로나19의 연관성에 대해 논의를 해보겠다고 밝혔다. 이 연구에서는 A형이 코로나19에 상대적으로 더 취약했고 O형은 다른 혈액형에 비해 감염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았다는 결과가 나왔다. 현재페이지 URL복사 https://news.v.daum.net/v/20200618155306476URL복사 3월 이후 중국, 유럽, 미국 등 관련 연구 진행 A형은 위험, O형은 안전 공통된 결과물 나와 "국내서도 전문가들과 논의·분석 진행하겠다..

코로나19 첫 치료제? "덱사메타손, 중증환자 사망률 크게 낮춰"(종합)

박대한 입력 2020.06.17. 02:04 댓글 4개 자동요약 염증 치료 등에 사용하는 제너릭 스테로이드인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중증환자의 사망률을 크게 낮춰준다는 시험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코로나19 입원환자 중 2천명에게는 소량의 덱사메타손을 치료제로 사용한 뒤 이를 투약받지 않은 4천명의 환자와 비교했다. 연구팀은 영국에서 코로나19 발병 초기부터 덱사메타손을 사용했다면 최대 5천명의 사망자를 줄일 수 있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현재페이지 URL복사 https://news.v.daum.net/v/20200617020415345URL복사 영국 주도 연구팀, 코로나19 입원환자 대상 임상시험 "중대한 돌파구..저렴한 가격에 생명 구할 수 있다..

15년 만에 바뀐 회춘의 비밀.."젊은 피 수혈 필요 없다"

한기천 입력 2020.06.16. 14:50 댓글 849개 자동요약 미국의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 BERKELEY) 연구진이 늙은 생쥐의 회춘 실험에 처음 성공한 건 2005년이다. 당시 연구팀은 늙은 생쥐와 어린 생쥐를 생명공학 기술로 조작해, 혈액과 기관을 공유하는 쌍둥이 생쥐로 만들었다.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연구팀은 알부민과 염화나트륨이 함유된 멸균 용액으로 늙은 생쥐의 혈장을 절반가량 교체하면 뇌, 간, 근육 등에 강한 회춘 효과가 나타난다는 걸 확인했다. 현재페이지 URL복사 https://news.v.daum.net/v/20200616145049056URL복사 혈장 내 노화 단백질만 교체해도 강한 회춘 효과 UC버클리 연구진, 노인학 저널 '에이징'에 논문 늙은 생쥐의 '젊은' 근섬유 = 혈..

코로나19 종식 열쇠 '집단면역' 갈 길 멀다...스페인 "면역인구 아직까지 5.2%"

2020.06.05 16:16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가 13일(현지시간) 화상으로 각료들과 코로나19 대책회의를 하고 있다. 스페인총리실·로이터/연합뉴스 제공 스페인 국민 중 5.2%만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완치 환자 항체를 보유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무작위로 뽑은 6만3000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다. 코로나19 치료제나 백신이 개발되지 않은 상황에서 ‘집단 면역’을 통한 코로나19 종식에 대한 기대는 갈 길이 먼 것으로 분석된다. 스페인 당국은 4일(현지시간) 코로나19 완치환자 6만3000명을 대상으로 한 항체보유 여부를 분석한 연구에서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마리나 폴란 스페인 국립역학센터 국장은 "항체를 보유한 면역 인구가 5%에 불과하다"며..

"코로나19 풍토병될 가능성 크다" 확산 6개월 동안 우리가 알게 된 것

2020.06.02 15:29 한 초등학교에서 코로나19 방역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지난해 12월 말 중국 우한 수산물시장에서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코로나19) 확산이 6개월째 접어들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해 많은 부분들이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지만 지난 반년을 겪으며 지구촌은 확신할 수 있는 사실들이 있다. 뉴욕타임즈는 1일(현지시간) 코로나19 사태 6개월이 지난 현재, 적어도 우리가 확실히 배운 사실들을 정리해 보도했다. 가장 먼저 제시된 사실은 장기간 동안 인류는 코로나19 바이러스와 공존해야 한다는 점이다. ●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장기간 공존할 수밖에 없어 더운 여름이 가까워지고 있다는 사실과 코로나19 신규 환자수가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는 점, ..

연내 기대되는 코로나19 치료제 3총사는 혈장·항체·화합물치료제

2020.06.03 18:25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본관 브리핑룸에서 '제3차 코로나19 치료제 백신개발 범정부 지원단 회의'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일 오후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치료제·백신개발 범정부지원단’ 3차 회의를 개최하고 치료제·백신 개발 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이 과정에서 치료제와 백신 개발 로드맵을 일부 공개했다. 먼저 치료제는 크게 혈장치료제와 항체치료제, 그리고 약물재창출을 이용한 화합물 기반 치료제를 지원한다. 이 가운데 혈장치료제는 완치자의 혈액에서 혈액 및 면역세포인 적혈구와 백혈구를 ..

이탈리아 전문가 "데이터상 올가을 코로나19 2차 대유행 가능성"

전성훈 입력 2020.05.29. 21:55 댓글 177개 자동요약 이탈리아 보건당국 고위 인사가 올가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2차 대유행이 올 수 있다고 전망했다. 많은 보건 전문가들은 1918년 스페인 독감, 1957년 아시아 독감, 1968년 홍콩 독감, 2009년 신종플루 등 최근 100년 새 겪은 바이러스 사례를 볼 때 백신이 조기에 개발되지 않을 경우 코로나19도 전 세계적으로 최소 2회 이상 대유행 할 수 있다고 전망한다. 현재페이지 URL복사 https://news.v.daum.net/v/20200529215525166URL복사 '코로나19 완화' 로마 콜로세움 앞 전동킥보드 타는 시민들 (로마 AFP=연합뉴스) 이탈리아 로마 시민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아시아가 유럽보다 코로나19에 강한 이유는..습관·변이 등 복합

류지복 입력 2020.05.29. 04:51 댓글 23개 현재페이지 URL복사 https://news.v.daum.net/v/20200529045100968URL복사 100만명당 사망자 유럽·미국 수백명대..아시아 10명 안돼 아시아 빠른 대응·기후·비만 등 요인 분석중.."아직 결론은 없어" (워싱턴=연합뉴스) 류지복 특파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전 세계 대유행 이후 나타난 특징 중 하나는 아시아국가의 사망률이 유럽과 미국에 비해 훨씬 낮다는 점이다. 워싱턴포스트(WP)는 과학자들이 위생과 방역, 기후, 바이러스 변이, 면역력, 비만율 등 다양한 관점에서 원인을 규명하고 있지만 아직 결론을 내진 못한 상황이라고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미 NIH 국립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