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432

양자물리학 알기(2): 양자이론과 코펜하겐 해석

2. 양자이론의 발전(1926-1950) 1926년에 슈뢰딩거(Erwin Schrödinger, 1887-1961)는 드 브로이의 이론에 자극을 받아 연구한 파동이론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그의 파동방정식은 코펜하겐 보어 연구소에서 조수로 일하게 된 하이젠베르크의 행렬방정식과 경쟁하는 이론이 되었다. 슈뢰딩거의 주장은 입자처럼 보이는 전자는 실제로는 파동만 있을 뿐이라는 것이었고, 하이젠베르크는 그 반대였다. 이제 물 질의 실체는 젊은 양자물리학자들의 방정식들에 의하여 확률적인 파 동함수로 표현되어야 했다. 이에 대해서 아인슈타인은 어떻게 이해 해야 할지 고민에 빠지게 되었다. 아인슈타인은 1926년에 막스 보른 (Max Born, 1882–1970)에게 보낸 편지에서 처음으로 “나는 신이 주사위 놀이를 ..

양자물리학 알기(1): 초기 이론들

그동안 막연하게 생각되었던 과학적 유신론은 양자물리학의 발전 으로 과학적 방법을 찾게 되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양자물리학을 이 해하는 바탕 위에서 우주와 창조의 신, 그리고 그의 창조사건을 좀 더 세밀하게 연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양자물리학의 발전 과정 에서 나타났던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1879-1955)과 닐스 보어(Niles Bohr, 1885-1962)의 실재(實在) 논쟁은 신의 존재를 탐구하는데 길잡이 가 되기 때문이다. 이런 과정을 거치고 나면 과학적 유신론은 엉터리 귀납법이나 왜곡된 이론 또는 변증법적 비약이 아닌 진정한 과학적 방 법으로 과학적 무신론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 양자물리학의 이해를 토대로 한다면 신학과 철학과 과학은 창조자 유일신(唯一神)에..

기원(최초원인)에 관한 과학적 쟁점들

열역학 제 1법칙에 의하면 ‘우주 에너지 총량’이 우주만물의 기원 곧 ‘최초원인’ 이라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 앞에 가장 심가하게 제기된 과학적 쟁점은 우주와 생명체의 최초 생성 과정에 신이 개입했었느냐는 것이다. 과학적 무신론자들은 신의 존재를 부정하므로 우주와 최초의 생명체가 신의 개입 없는 자연적 발생이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각 종교의 신 자들은 모두, 물론 약간씩 차이는 있겠지만, 신의 존재와 신의 지적 개입에 의한 창조를 믿는다. 모세오경을 경전으로 삼고 있는 종교에 서 창조의 신은 ‘나는 스스로 있는 자’(I am who I am.)라고 대답하신 하 나님(출애굽기 3:13-22)이다. 노자는 신이 최초의 자연에서부터 존재하 였고, 제2차 자연은 신이 온갖 오묘한 것들을..

동양철학의 자연적 실재(實在) 이해

1. 노자의 도(道)에서 만물은 ‘최초 원인’ 또는 일자(一者, the One)에서 비롯되었다는 플라 톤 철학파의 주장도 노자의 도(道)사상과 부분적으로는 맥을 같이 한 다. 노자에게 ‘최초원인’은 최초의 자연인 유무(有無)이다. 그곳에 만 물의 어머니로 불리는 창조신이 계셨다. 그러나 플라톤적 서양철학 자들은 일자(the One)에서 역설적인 무(無)의 존재를 생각하지 못했다. 노자는 창조신의 작위에 의하여 제2차 자연이 창조되었다고 이해했 다. 그러나 노자는 제2차 자연에서 인간의 작위에 대해서는 매우 비 판적이다. 노자는 우주만물 가운데서가장 뛰어난 의식을 가지고 있 는 인간에게 문제가 있다고 본다. 왜냐하면 인간은 매우 이기적이고 탐욕적으로 작위하기 때문이다. 노자에게 인간은 언제나 도(道)를 거..

자연에 이미 존재하는 신(神)

1. 최초의 자연: 유무(有無) 노자의 도(道)사상은 과학이 연구해야 할 자연(自然)이 어떤 것인지 를 간명하게 보여준다. 노자는 우주 창조 이전 태초의 자연에서부터 서술하기 시작한다. 그는 자연이 태초에는 유무(有無)의 형태로 존재 했다고 본다. 그러나 이 말에서 무(無)의 의미를 잘못 이해하면 비존 재(非存在, Not-Being)가 존재하고 있다는 역설에 빠지게 된다. 그러나 노자는 무를 단지 유를 담는 그릇이라는 뜻으로 말했다는 사실을 알 면 문제는 해소된다. 다시 말하면 유(有)는 서양철학에서 최초의 존재 (the First Being) 또는 ‘최초원인’(the first Cause)의 뜻이다. 그리고 무(無) 는 비존재가 아니라 유(有)가 존재하는 터전이며, 유를 담은 그릇이 다. 그러므로 무는..

자연 이해 패러다임 전환(轉換)의 필요성

1. 과학주의 패러다암에 대한 비판 과학주의 시대에는 과학이 진리 입증의 최종적 도구이며 방법이라는 것 이 보편적으로 인정되고 있다. 그런데 과학에서는 우주자연에서 신 존재의 증거를 찾을 수 없으므로 우주는 물질로만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그동안 신에 대해서 신학은 초월적 존재로 인간사에 개입하는, 그리고 철학은 형이상학적 존재로 세상사에 불개입하는 존재라고 주장했지만 과학은 이 런 주장들을 모두 인정하지 않았다. 과학과 신학, 그리고 철학이 상 호 충돌하는 학문의 전쟁에서 과학이 승리자가 된 것이 사실이고, 현 대인의 사고방식이 과학주의에 경도되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실제 적인 공헌도에 따라 과학이 학문에서뿐만 아니라 사회에서도 주도권 을 행사하게 되었다. 이런 사실을 부정하거나 역전(逆轉)시킨다..

과학적 유신론의 방법론

인간은 각자 진리라고 믿는 것으로 사물을 판단 하는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 각자의 세계관은 그 사람의 믿음의 체계이고 곧 그 사람의 종교이다. 그러므로 인간에게는 ‘각자의 종교와 각자의 신이 있다’는 말이 거짓이 아니다. 엄밀 하게 따지고 보면, 이름은 같아도 각자가 믿는 신의 모습은 같은 것 이 하나도 없다. 각자가 제멋대로 상상한 신의 깃발아래 살아가고 있 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사실을 간파하여 도킨스 (Richard Dawkins, 1941- ) 가 『만들어진 신, The God Delusion』에서 주장하는 것 처럼, 현실적으로 신은 사람들이 제멋대로 만들어낸 것이 되었고, 각 자는 제멋대로 상상해서 만들어낸 신을 믿고 있다. 그러나 과학 적 무신론자들이 주장하는 우주와 생명의 기원, ..

과학적 유신론 서론

앞에서 우리는 ‘과학적 무신론’이 나오게 된 과정과 주장하는 내용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그것이 잘못된 이론이라는 사실을 밝 혀냈다. 이제 인간사회를 동물사회로 격하시키는 과학적 무신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먼저 과학적 무신론이 인간사회에 미치는 문제점 을 제기하고, 그 다음에 과학적 유신론의 첫 단계로 과학적 자연이해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을 논의하겠다. 그리고 과학적 자연 이해 패 러다임 전환의 열쇄는 최초의 자연에 이미 신이 존재하고 있음을 갈 파한 노자의 도(道) 사상에 있다는 사실을 밝히겠다. 그 다음에 과학 적 유신론의 명제인 신의 존재에 관련한 과학적 ‘쟁점들’을 제시하고 해답을 찾기 위해 필요한 논의를 진행하겠다. 과학적 무신론의 문제점 과학의 역사를 보면 과학은 어디까지나 전체 자 연을 대..

과학적 유신론의 틀 만들기-4(우주론적 고찰)

1. 지동설의 등장 신화의 시대를 지나서 고대의 우주 이해는 점성술사 프톨레마이 오스에 의해 지구를 중심으로 태양과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이 회전하는 것으로 제안되었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 반영되었 다. 지구 중심의 우주론에 첫 번째의 전환을 가져온 사람은 과학혁명 을 촉발한 코페르니쿠스였다. 그는 의사였으며 당시에 의사들은 점 성술을 의술에 이용하고 있었다. 코페르니쿠스는 점성술을 응용하는 과정에서 프톨레마이오스의 우주 도표를 이용해야 했다. 코페르니쿠 스는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동설 체계가 지구를 우주의 중심에 놓음으 로써 쓸데없이 복잡해졌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코페르니쿠스는 지구 대신 태양을 중심에 놓고 행성들이 지구가 아니라 태양을 중심으로 회전한다고 하면, 행성들이 선회하는 주전원(..

과학적 유신론의 틀 만들기-3(양자 얽힘, 불확정성 원리)

3) 양자 얽힘 슈뢰딩거와 보어 사이에 미해결로 남아있던 ‘양자 얽힘’ 논쟁은 실 재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특히 이와 관련하여 최 근 중국에서 세계 최초의 양자통신실험 인공위성인 묵자호(墨子號) 발 사에 성공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묵자호는 ‘양자 얽힘’에 관련한 두 가지 실험을 할 것이라 한다. 첫째는 해킹 불가능한 무선 통신망 구축 에 관련한 양자 암호 실험이다. 지상에서 1200㎞ 떨어진 우주공간에 서 인공위성을 이용한 무선 양자통신 시험이 계획되어 있다. 두 번째 는 양자 얽힘(Quantum Entanglement) 이론에 대한 증명이다. 양자 얽힘 이론에 의하면, 과거에 서로 상호작용했던 입자쌍은 멀리 떨어진 후 에도 상호작용 관계를 유지한다. 분리된 입자쌍의 한 입자에서 +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