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 유전체교정연구단, 아데닌 염기 교정 도구 최초 개발
![](https://blog.kakaocdn.net/dn/mgx0v/btrADS07i7O/rWCsHxn910FJHGs37oq3W0/img.jpg)
국내 연구진이 세포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세포소기관 ‘미토콘드리아’ DNA의 염기 중 ‘아데닌(A)’을 교정할 수 있는 도구를 세계 처음으로 개발했다. 미토콘드리아 DNA에서 발생하는 유전질환 연구나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유전체교정연구단장 연구진이 미토콘드리아 DNA 아데닌 염기 교정 도구 ‘TALED’를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셀(Cell)’에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
미토콘드리아 DNA에 변이가 일어나면 5000명 중 1명 꼴로 심각한 유전질환이 발생한다. 암이나 당뇨병, 노화 관련 질환을 일으킬 수도 있다.
DNA는 아데닌, 구아닌, 시토신, 티민 등 4개의 염기가 선형 구조로 이뤄져 있다. 유전질환을 유발하는 미토콘드리아 DNA 돌연변이 95개 중 90개는 DNA 염기 하나가 변이된 ‘점 돌연변이’다. 점 돌연변이를 원래 염기로 교정하면 미토콘드리아 유전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까지도 미토콘드리아 DNA 교정은 불가능했다. 2020년 미토콘드리아 DNA의 시토신 염기를 티민으로 교정하는 기술이 개발됐지만 점 돌연변이 9개 정도만 고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IBS 연구진은 미토콘드리아에서 아데닌 염기를 교정하는 기술을 세계 처음으로 개발했다. 아데닌 염기 교정으로 점 돌연변이 39개(43%)를 고칠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 관련 다양한 종류의 동물질환 모델을 만들거나 미토콘드리아 유전질환 치료법을 개발할 길을 연 것이다.
연구논문의 1저자인 조성익 유전체교정연구단 연구원은 세균에서 유래한 ‘DddA 시토신 탈아미노 효소’에 주목했다. 기존 탈아미노 효소는 DNA 단일 가닥에 작동한 반면 DddA는 이중가닥에 작동한다. 연구진은 DddA가 DNA 이중가닥을 일시적으로 풀어 탈 아미노효소를 DNA 이중가닥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DddA와 아데닌 탈아미노 효소를 융합한 염기 교정 기술인 TALED를 제작했다.
연구진이 제작한 TALED 기술을 인간 미토콘드리아 DNA에 적용한 실험 결과 아데닌 염기가 구아닌 염기로 치환됐다. 인간 미토콘드리아 DNA의 아데닌 염기 교정에 처음으로 성공한 것이다.
연구진은 나아가 시토신 탈아민화 효율을 높이는 단백질을 TALED에 융합하면 시토신과 아데닌의 염기 교정을 동시에 할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시토신과 아데닌 염기 동시 교정이 가능하면 유전질환 치료 전략을 만드는 데 활용할 수 있다.
김진수 IBS 유전체교정연구단 전 단장은 “마땅한 치료법이 부족했던 미토콘드리아 유전질환의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했다”며 “TALED는 식물에도 적용할 수 있어 분자생물학과 유전학뿐 아니라 바이오제약·생명공학·농림수산업·환경산업에도 폭넓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 태그 뉴스
-
인간 미토콘드리아 DNA '아데닌 염기 교정 기술' 개발
기초과학연 "미토콘드리아 유전질환 연구·치료 활용 기대"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 교정 연구단은 26일 미토콘드리아 DNA의 아데닌(A) 염기 교정 도구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미토콘드리아는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세포 내 소기관으로, 미토콘드리아 DNA가 변이하면 5천명 중 한 명꼴로 발생하는 심각한 유전질환뿐만 아니라 암·당뇨병·노화 관련 질환을 불러올 수 있다. 병원성 미토콘드리아 DNA의 돌연변이 95개 가운데 90개는 DNA 염기 하나가 변이된 '점 돌연변이'인데, 점 돌연변이...
-
5000명중 1명 앓는 난치병 '미토콘드리아 질환' 치료 한 걸음 더 다가섰다
국내 연구팀이 미토콘드리아 DNA를 기존 기술보다 훨씬 정확하게 교정하고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쓰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를 좀 더 발전시키면 선천성 근병증과 사립체 질환, 멜라스 증후군처럼 인체의 미토콘드리아 DNA가 망가져서 걸리는 난치병인 미토콘드리아 질환을 치료할 새로운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산하 유전체 교정 연구단이 세포핵에 있는 DNA 뿐 아니라 미토콘드리아 DNA까지 교정하는 ‘징크핑거 염기교정효소’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미토콘드리아는 세...
-
"세포골격 단백질 구조 안정화하면 손상 미토콘드리아 회복"
김동은 건국대 융합생명공학과 교수팀 "퇴행성 질환 치료 위한 신약개발이 목표" 국내 연구진이 퇴행성 질환 주요 원인인 손상 미토콘드리아 회복 기전을 밝혀냈다. 13일 건국대학교 KU융합과학기술원에 따르면 김동은 융합생명공학과 교수 연구팀(백아름 박사, 손수민 박사과정)은 세포 골격 단백질 구조 안정화로 손상 미토콘드리아 항상성(homeostasis)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분자 기전을 발견해 이를 자가포식 분야 국제 학술지 '오토파지'(Autophagy)에 발표했다.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장애는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또는...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2의 미토콘드리아 찾았나
“교과서적인 미토콘드리아에 익숙한 사람에게는 무척 놀랄 일이지만 많은 단세포 진핵생물이 산소가 없는 곳에서 활동하는 미토콘드리아를 갖고 있다. 이 ‘혐기성(무산소)’ 미토콘드리아는 양분을 태울 때 산소 대신 질산염 같은 다른 간단한 화합물을 이용한다. 그 외에는 대체로 사람의 미토콘드리아와 아주 비슷한 방식으로 작동하므로 연관이 있다는 것은 의심할 나위가 없다.” - 닉 레인 ‘미토콘드리아’(2005) 국제학술지 ‘네이처’ 3월 18일자에 실린 한 논문을 읽다가 문득 호흡(세포호흡)의...
관련기사
- 김민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