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고시간2020-07-21 17:25
공유
박주영 기자
KAIST, 치아 부식과정 나노미터급으로 관측해 영상화
치아 샘플과 원자간력 현미경 탐침(오른쪽) 사진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홍승범 교수 연구팀이 청량음료가 치아를 부식시키는 과정을 나노미터(㎚·1㎚는 100만분의 1㎜)급으로 관측해 영상화했다고 21일 밝혔다.
관측에는 nm 수준의 탐침을 이용해 재료 표면의 거칠기(표면 요철의 정도)와 탄성 계수(힘을 가했을 때 저항 정도) 등을 측정하는 원자간력 현미경이 동원됐다.
연구팀은 청량음료에 노출된 시간에 따라 치아 가장 바깥쪽의 법랑질(에나멜) 표면이 받는 영향을 분석했다.
광고
치아 법랑질의 거칠기(위쪽)와 탄성 계수(아래쪽)의 변화 과정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콜라, 사이다, 오렌지주스에 치아를 10분 동안 담갔다가 꺼냈더니 표면 거칠기가 초깃값보다 각각 평균 5배가량 커졌다. 그만큼 부식된 것이다.
탄성 계수는 5분 만에 5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흠집이 있는 치아는 부식이 훨씬 빠르게 진행됐다.
홍승범 교수는 "청량음료가 치아 건강에 해롭다는 학설을 실제 원자간력 현미경을 이용해 실험적으로 증명했다"며 "실제 치아는 보호막 역할을 하는 침 덕분에 이번 연구 결과만큼 심각하게 부식되지 않겠지만, 장시간 청량음료에 노출되면 기계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고 말했다.
청량음료에 의한 치아 부식과정 연구한 KAIST 연구팀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생체 재료의 기계적 행동 저널'(Journal of the Mechanical Behavior of Biomedical Materials) 지난달 29일 자에 실렸다.
jyoung@yna.co.kr
'창조하신 대로 사는 생활 지식 > 하나님 백성의 건강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습한 여름날, 마스크 하루 쓴 뒤 세균 검사해 보니.. (0) | 2020.07.24 |
---|---|
"백신 나올 만하면 둔갑"..벌써 '70여 개' (0) | 2020.07.22 |
심장·뇌부터 피부까지..코로나19, 몸 전체 공격한다 (0) | 2020.07.11 |
셀프살균 기능 탑재 투명 마스크 나온다..美 FDA 승인 (0) | 2020.07.06 |
과학자들 "코로나, 비말 아닌 공기 통해 전염"(종합) (0) | 2020.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