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432

하나님은 우주만물을 '어떻게' 창조하셨을까?(13)

6. 생명에 대한 과학의 도전과 한계(5) (12) 트랜스휴머니즘-포스트 휴머니즘: 인간의 진화? 영국의 진화생물학자 줄리언 헉슬리(Julian Huxley)는 찰스 다윈의 ‘불독’이라고도 불렸던 진화론자 토마스 헉슬리(Thomas H. Huxley)의 손자이다. 줄리언 헉슬리는 1957년에 Religion without Revelation(계시 없는 종교)를 출판하고, 휴머니즘(humanism)과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을 구분했다. 헉슬리에 의하면 휴머니즘은 인류가 인간의 생물학적 특성을 발현하는 것이고, 트랜스휴머니즘은 기계의 힘을 이용하여 인간의 생물학적 한계를 초월한(transcendental의 trans) 트랜스휴먼의 특성이다. 그는 보조기구로 로봇을 만들기 시작했던 휴먼들이 ..

하나님은 우주만물을 '어떻게' 창조하셨을까?(12)

6. 생명에 대한 과학의 도전과 한계(4) (10) 뇌과학(腦科學, brain science): 뇌의 구조와 기능 프랑스의 근대 철학자 르네 데카르트(René Descartes)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Cogito, ergo Sum)는 유명한 명제를 남겼다. 생각하는 것은 뇌의 정신활동이다. 정신활동은 생명에 필요한 정보를 만들고 활용하는 것이다. 고대인들은 정신이 간이나 심장, 심지어는 생식기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하기도 했다. 정신이 발생하는 곳이 뇌라고 처음 주장했던 사람은 의술의 시조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였으며, 철학자 플라톤도 같은 생각을 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신의 발생기관이 심장이라고 생각했다. 데카르트는 생명의 상징인 ‘정신의 자리’가 뇌에 있는 송과체(松..

하나님은 우주만물을 ‘어떻게’ 창조하셨을까?(11)

6. 생명에 대한 과학의 도전과 한계(3) (7) 인공지능 현대과학은 컴퓨터 기술을 바탕으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발전시키고 있다. AI는 인간의 지능이나 컴퓨터보다 훨씬 효과적으로 복잡한 자료들을 처리할 수 있다. AI는 개념적으로 약인공지능(Weak AI)과 강인공지능(Strong AI)으로 구분한다. 약AI는 스스로 판단하지 않는 단계의 인공지능을 말하며, 특정 분야에서 인간의 체력과 시간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활용된다. 어떤 분야의 일을 처리하는 약AI를 만들기 위해서는 그 분야에서 나타날 수 있는 모든 조건-시행문(if-then)의 문항을 설계하여 그 AI의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기억시켜야 한다. 약AI는 기억된 조건-시행문의 문항에 따라서만 일할 수 ..

하나님은 우주만물을 ‘어떻게’ 창조하셨을까?(10)

6. 생명에 대한 과학의 도전과 한계(2) 현대 생명과학(life science, biological science)자들은 생명의 기원을 물리적 측면에서 연구하고 있다. 그 방법은 생물을 물질적 상태로 환원하여 인공적으로 다시 조립해 보는 것이다. 따라서 생명과학은 세포와 DNA를 핵심적으로 다룬다. 세포와 DNA 연구는 질병의 진단 및 치료기술을 크게 발전시키는 부수적인 효과도 가져 왔다. 생명과학의 물리적 메커니즘 연구는 의학기술에 주로 응용되어 왔다. 생명의 메커니즘은 수없이 복잡한 구조로 얽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명과학자들은 생명의 물리적 메커니즘이나 구조를 새로 발견하면, 마치 생명의 기원을 풀어낸 것처럼 과장하여 사람들을 오해하게 만들었다. 그 결과 실상을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하는 사..

하나님은 우주만물을 ‘어떻게’ 창조하셨을까?(9)

6. 생명에 대한 과학의 도전과 한계 그동안 인공적으로 살아 있는 원핵세포를 만들어 생명의 물질적 기원설을 입증할 수 있다고 장담했던 무신진화론자들은 모두 실패했다. 진화론에 의하면 인간은 원핵생물에서 아무런 목적 없이 ‘저절로 우연히’ 수없이 많은 단계의 자연선택을 거쳐 최고의 생물로 진화한 존재이다. 그러나 진화론자들은 생물의 각 세포에 들어 있는 DNA와 RNA, 단백질, 그리고 신체 각 부위와 연결하여 그 기능을 빠짐없이 조절하는 생명 진화의 미로(迷路)를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1908년 영국의 수학자 G. H. 하디와 독일의 의사 W. 바인베르크는 교배가 무작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집단에서 우성형질과 열성형질의 발현 비율은 세대를 거듭해도 변하지 않고 일정하다는 법칙을 각각 발견했다. 그 법칙..

하나님은 우주만물을 ‘어떻게’ 창조하셨을까?(8)

생명의 기원에 대한 논쟁(3): 진화론의 불가능성에 대한 고찰(2) (3) 물리적 측면에서의 생명 오파린이 『생명의 기원』(1936)에서 생명은 물질의 화학작용에 의해서 ‘저절로 우연히’ 발생한 것이라고 주장함으로써 무신진화론을 완성했다. 이에 대해 어윈 슈뢰딩거(Erwin Schrödinger)는 1943년 더블린 트리니티대학 강연에서 ‘생명이란 무엇인가? -살아있는 세포의 물리적 측면’이라는 질문을 던졌다. 여기에서 양자물리학자인 슈뢰딩거가 ‘물리적 측면’이라고 쓴 표현은 생명을 물리적으로만 이해하려고 시도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이후 서구에서도 생명에 대한 연구는 물리적 측면에서 접근하는 것이 주류가 되었다. 슈뢰딩거의 질문 이후 10년 뒤에 왓슨과 크릭에 의하여 생명의 정보가 세포 속의 DNA 구..

하나님은 우주만물을 ‘어떻게’ 창조하셨을까?(7)

5. 생명의 기원에 대한 논쟁(2): 진화론의 불가능성에 대한 고찰 (1) 다윈의 자연선택설과 멘델의 유전법칙 1859년 『종의 기원』을 발표한 찰스 다윈은 진화의 원인이 자연선택에 의한 후천형질의 유전에 있다고 주장했다. 『종의 기원』 초판을 읽은 유물론자 엥겔스는 동료 마르크스에게도 즉시 읽어보라고 권유했다. 마르크스는 그 책을 읽고 그가 쓰고 있던 『자본론Ⅰ』에 다윈의 진화론을 인용했고, 『자본론Ⅰ』이 출판되자 즉각 다윈에게 찬사의 편지와 함께 한 권을 헌정했다. 그 무렵에 오스트리아에서 로마가톨릭교회 사제였던 그레고르 멘델(Gregor Mendel)은 완두콩 교배 실험에서 유전법칙을 발견했다. 그가 발견한 유전법칙은 1865년과 1866년에 “식물의 잡종에 관한 연구”라는 제목으로 발표되었다. 멘..

초월적 존재이신 하나님

-무신진화론자들의 여리고성 함락하기 하나님의 존재에 대해서 인간이 직접 알 수 있는 방법은 사실상 없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초월적인 존재이시기 때문이다. 여기서 말하는 초월적 존재의 의미는 하나님이 우리우주의 시공간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뿐만 아니라, 인간의 모든 속성에 비교해서 근접할 수 없는 질적 우월성을 가졌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우리가 하나님에 대해 알 수 있는 것은 우리우주와 우리의 생명은 ‘저절로 우연히’ 생겨나지 않았다는 사실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 기독교인들은 우리우주와 우리의 생명을 창조하신 존재가 하나님이라고 믿는다. 그럼에도 우리 인간들 중에 무신론자들은 하나님의 존재를 부정한다. 왜 그럴까? 무신론자들은 우리우주가 존재의 전부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우리우주가 존재의 전부라고 생..

하나님은 우주만물을 ‘어떻게’ 창조하셨을까?(6)

5 생명의 기원에 대한 논쟁 기독교인들이 가장 크게 관심을 갖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지구의 생명이 신의 창조에 의하여 발생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무신진화론에 대한 대응 방법이다. 무신진화론은 특히 기독교를 겨냥하여 유물론과 진화론이 결합한 것이다. 근대과학이 무신진화론으로 기울어진 것은 어쩌면 기독교에 책임이 전혀 없다고 말할 수 없다. 왜냐하면 근대과학은 대부분 기독교인 과학자들이 하나님이 창조하신 자연의 법칙을 연구하기 위해서 시작한 것임에도, 과학이 점점 창조주로부터 멀어져 가는 것을 방관했기 때문이다. 유물론과 진화론의 등장으로 과학은 자연을 초월하여 존재하는 신을 점점 외면하더니 결국에는 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지경에까지 이르게 된 것이다. 신학과 철학을 넘어선 근대과학은 『종의 기원』의 저..

하나님은 우주만물을 ‘어떻게’ 창조하셨을까?(5)

4. 원핵세포의 구조와 생명의 발생 현대생물학은 현미경의 발전과 더불어 발전했다. 현대생물학에 의하면 생물은 생명이 없는 물질과 구분되는 두 가지 특별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자기보존을 위한 대사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고, 둘째는 자기 종의 보존을 위한 자기복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대사기능은 외부에서 영양소를 섭취하여 자기의 생명유지 활동에 사용하는 기능을 말한다. 자기복제 기능은 자손을 번식하여 종을 유지하는 기능이다. 생물이 생명기능을 가지고 물질적 개체를 구성하고 있는 가장 작은 단위는 세포이다. 현대생물학은 생명이 없는 물질로부터 이 두 가지 생명기능이 최초로 발생하게 된 과정을 세포 하나로 살아가는 원핵생물의 세포에서 찾고 있다. 이 탐구과정에서 수많은 가설들이 등장했었지만,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