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432

엥겔스의 『반듀링론』읽기-1

1) 엥겔스와 듀링의 논쟁 오이겐 듀링(Eugen Dühring, 1833-1921)은 대학교수이며 독일 사회민주당 당원으로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반대파에 속해 있었다. 그런데 그가 마르크스의 『자본론 I』과 다윈의 『종의 기원』을 신랄하게 비판하면서 세력을 늘려가고 있었다. 이런 사정 때문에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듀링을 그대로 두고 볼 수 없게 되었다. 엥겔스는 듀링을 반박하는 논문들을 쓰기 시작했고(1876-1878), 이것들을 모아서 『오이겐 듀링씨의 과학혁명』이라는 이름으로 출판했다(1878). 후에 『반듀링론』이라고 불리는 이 책이 나오면서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공산주의는 체계적인 과학적 이론의 틀 안에서 이해될 수 있게 되었다. 말하자면 이 책의 출판을 계기로 이때까지 공상에 머물러 있던 마르크스와..

‘과학적 무신론’의 발전- 마르크스와 엥겔스, 그리고 다윈의 접촉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헤겔의 변증법과 포이어바흐의 반종교론에 바탕을 두고 철저한 무신론으로 나아갔다. 다윈은 성경의 창조 기사를 그대로 믿지 않은 것은 사실이며, 스스로 불가지론자라고 말했다.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했던 그가 교회에 나가지 않았던 이유가 근본적으로는 여기에 있는 것이다. 다윈이 남긴 저작들의 전체적인 문맥에서 보면, 그는 이신론자라고 보는 것이 맞다. 일반사회 또는 과학계에서는 대부분 다윈주의자들이 무신론을 주장한다. 다윈주의를 자처하는 저명인사들이 거의 과학적 무신론에 빠져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기독교 안에서도 다윈주의자들이 있는데 그들은 대부분 이신론적 입장인 유신진화론을 주장하고 있다. 기독교 다윈주의자들은 예수 그리스도와 성경보다 다윈과 『종의 기원』을 택하고 있다. 그리..

현대 다윈주의자 마이어의 견해에 대한 비판

『종의 기원』은 다소 애매하지만, 유신론적 해석이 가능했다. 다윈은 제1원인으로서의 창조주의 창조를 부정하는 데까지 이르지는 못했기 때문이다. ‘현대종합설 그룹’의 일원으로서 저명한 다윈주의자인 에른스트 마이어는 이에 대해서 “다윈이 생각한 종의 특징은 유형론적 종의 개념과 유명론적 종의 개념을 혼합한 것”이라는 애매한 말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종의 기원』은 당시까지 주류 사조로서 성경과 린네의 이론으로 설명되었던 “종류대로” 창조되었다는 창조주의적 유형론을 전적으로 부정하는 내용이었다. 그리고 다윈은 ‘진화에는 목적성이 없다’는 주장에서 유형론적 종의 개념을 전혀 발견할 수 없다. 다윈은 다만 창조주의 창조가 ‘한 개 또는 소수의’(one or a few) 원시 생명체만 만든 것으로 생각했을 뿐이..

『종의 기원』이론의 불가능성

(1) 광합성 작용: 식물과 동물 사이의 장벽 피터 크뢰닝(Peter Kröning, 1937-2003)은 식물의 광합성에 관해 오랫동안 연구를 한 생물학자로서 식물과 동물의 사이에는 광합성 작용이라는 또 하나의 건널 수 없는 장벽이 있음을 알려준다. 광합성 작용이란 식물이 섭취한 무기물과 태양의 빛 에너지가 식물의 엽록체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에너지원인 탄수화물과 같은 유기물질로 변환하는 화학작용을 말한다. 이때 식물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내놓는다. 식물은 광합성 작용을 이용하여 영양분을 자체 생산하는 독립 영양체이다. 광합성 작용은 엽록체를 가진 깊은 바다 속의 해조류나 지구상 그 어떤 식물도 할 수 있는 것이지만, 동물에게는 불가능한 것이다. 그래서 동물은 종속 영양체이다. 어떻게 엽록체의..

『종의 기원』이론의 4가지 난점

다윈은 『종의 기원』 제6장에서 이미 그의 이론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4가지 난점이 있다고 고백하고 있다. 다윈은 이 문제에 대해 스스로 대답하고 있으나 그의 대답은 과학적인 설명이라고 할 수 없는 것들이며, 이 문제들은 현대 다윈주의 진화론자들에 의해서도 아직까지 충분히 설명되지 않고 있다. ① 첫째는 종간(種間)의 점진적 분화(分化) 과정에서 중간종(中間種)이 발견되지 않고 있다는 난점이다. 다윈은 중간종이 멸종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것은 만족할 만한 대답이 못된다. 왜냐하면 다윈의 점진적 변이론은 작은 변이가 계속 발생하여 누적되는 것이기 때문에 중간종도 반드시 계속적으로 생겨나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중간종의 증거가 없다면 다윈의 이론은 더 이상 설득력이 없는 것이다. 헉슬리도 이 때문..

다윈의 『종의 기원』에 대한 초기 논쟁들

(1) 초기 지지자들 당시 영국 빅토리아 여왕 시대의 사조는 자연에도 하나님의 섭리로서 진보를 향하는 목적론이 적용되는 것으로 보고 있었다. 그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다윈의 진화론을 이와 크게 다르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왜냐하면 그가 케임브리지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했고 열렬한 신자인 그의 아내 엠마(Emma) 덕분에 최소한 목적론자로는 인정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다만 다윈의 주장이 창세기의 창조기사와 다른 것이 문제되었을 뿐이다. 다윈은 다만 하나님의 유형별 창조를 과학적으로 의심하는 사람으로 이해되었다. 이런 경향에는 그의 『종의 기원』의 마지막 구절에 쓰인 “창조자”(the Creator)라는 말도 효과적으로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다윈은 그의 『종의 기원』 마지막 구절에서 “생명은 그 몇 가지 능..

『종의 기원』: 생물학적 진화론 개념

다윈이 『종의 기원』에서 제시한 이론을 한 줄로 요약하면 이렇다. 창조자(Creator)에 의하여 숨을 쉬게 된 최초의 한 개 또는 몇 개의 생물적 종의 자손들이 자연선택에 의한 변이의 축적에 의하여 다른 종으로 진화했으며, 지금도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다윈의 진화론을 비판하자면 종과 변이와 자연선택이라는 세 가지 중심 개념의 파악이 중요하다. 이 세 가지 개념만 제대로 이해하면 다윈의 이론은 어려울 것이 없다. (1) 종-변종 다윈은 ‘종’(species)이라는 말과 함께 변종, 원(시)종, 초기종(공통조상) 등의 용어를 쓰고 있다. 다윈의 시대에 자연적 ‘종’에 대한 분류는 스웨덴의 식물학자 린네(Carl von Linne, 1707-1778)의 분류 방법을 따르고 있었다. 린네는 자연계를 먼저 광..

다윈의 『종의 기원』 출판

다윈이 케임브리지대학에서 신학공부를 마쳤을 때(1831) 해군 함정 비글호(HMS Beagle)를 타고 탐사여행을 할 기회가 주어졌다. 다윈이 5년 동안 비글호 탐사여행을 끝내고 귀국했을 때(1836) 다윈은 갈라파고스 제도 세 개의 섬에서 수집한 세 가지의 핀치새(finch bird) 표본을 생물학자 존 굴드(John Gould, 1804-1881)에게 보냈다. 그런데 굴드는 뜻밖에도 다윈이 보낸 세 가지 표본은 각각 다른 종이라고 판정했다. 굴드에 의하면, 그것들은 하나의 종에서 나온 후손들이 다른 종으로 변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다윈이 표본들을 다시 조사해보니 그것들은 남아메리카에서 날아온 핀치새의 후손들이 갈라파고스 세 군데의 섬에서 따로 살았던 것이었다. 그런데 굴드가 다른 종이라고 판정한 근거..

『공산당 선언』에 대한 비판

앞에서 보았던 바와 같이 『공산당 선언』은 인류 사회역사를 유물론적으로 이해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 공산주의 사회로의 발전은 필연적이라고 예언하기까지 한다. 말하자면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모든 진리와 종교와 철학적 사상들을 폐기하고 유일하게 남게 될 종교적 공산주의 사회에서 예언자로 군림하려고 하는 것이다. 신이 없는 종교적 공산주의 제도에서 예언자는 그 자신이 교주가 되므로 최고의 권위를 가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예언은 실현되지 않으면 진리가 아니다. 진리가 아닌 예언은 오류이므로 폐기되어야 하는 것이다. 공산주의 이론은 이후에 계속 수정되었지만, 『공산당 선언』에 나타난 핵심사상은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권위에 의해 거의 그대로 유지되었다. 그리고 『공산당 선언』의 핵심은 프롤레타리아 혁명운동을 정당화하..

『공산당 선언』-2

(3) 사회주의․공산주의 문헌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과학적 프롤레타리아 사회주의를 선언하고, 이전의 모든 사회주의를 열거하면서 비판하고 있다. ① 반동적 사회주의(Reactionary Socialism) ㉠ 봉건적 사회주의(Feudal Socialism)는 영국과 프랑스의 귀족들이 그들에게서 지배계급의 지위를 빼앗아간 부르주아지를 문서적으로만 비난하면서, 프롤레타리아트의 이익을 지지하는 것처럼 행동하고 있다. “목사가 영주와 손잡고 나아갔듯이 성직자 사회주의(Clerical Socialism)는 봉건적 사회주이와 손잡았다.” 그리고 기독교 사회주의(Christian Socialism)는 기독교적 금욕주의에 사회주의의 색채를 가미한 것이며, 봉건적 사회주의와 손잡고 ‘귀족의 울화에 대해 뿌려주는 성수’에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