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436

과학적 무신론의 형성 과정에 관한 소고

-공산주의 유물사관과 진화론의 결합 과정을 중심으로 목 차 Ⅰ. 서론 Ⅱ. 공산주의 유물사관과 다윈의 진화론의 만남 1.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종의 기원』 독서 2. 『자본론 Ⅰ』에 나타난 다윈의 영향 Ⅲ. 엥겔스의 『반듀링론』 등과 오파린의 『생명의 기원』 1. 『반듀링론』 1) 저술의 목적과 『공상에서 과학으로의 사회주의 발전』 2) 유물론에서의 생명 3) 적자생존 또는 생존경쟁에 대하여 4) 진화와 유전, 그리고 원시생물에 대하여 5) 생명의 기원 및 변화의 원리에 대하여 6) 세포와 감각에 대하여 7) 생명관에 대하여 2. 『자연변증법』 등에서 3. 오파린의 『생명의 기원』의 배경 Ⅳ. 결 론 1. 서론 누구나 알다시피 칼 마르크스 (Karl Heinrich Marx, 1818-1883)와 프레드..

자연발생론과 다윈의 진화론에 대한 비판

-자연발생론 ‘변종’으로서의 다윈의 생물학적 진화론에 대한 비판 1. 서론 인간이 가지고 있는 세계관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관념론과 유물론, 또는 유신론과 무신론이다. 관념론은 물질과 정신의 이원론으로 정신에서 사물이 생겨난다고 하면서 유신론으로 연결된다. 유물론은 물질 일원론으로 물질에서 정신이 생겨난다고 하면서 무신론으로 나아간다. 이 두 가지 관점은 우주의 기원과 신의 존재에 관련하여 어떤 믿음을 가지느냐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유신론은 신이 우주의 물질과 생명을 창조했다고 주장하는 입장으로서 원칙적으로 모든 종교적 교리에 근본이 되는 것이다. 반면에 무신론은 신의 존재는 물론 그의 창조를 부정하고, 영원불멸의 우주 물질이 어떤 기회에 스스로 조합하면서 생명을 비롯한 만물이 생성..

스웨덴 "코로나19 봉쇄가 뭔가요"...

집단면역 실험 성공할까? 등록 2020-03-30 12:53:34 1인가구 비율이 전체의 절반 이상 본래부터 국민성이 '사회적 거리두기' 성향 "집단면역은 미친 실험"비판도 제기돼 [스톡홀름=AP/뉴시스]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25일(현지시간) 시민들이 평소처럼 상점가를 지나고 있다. 스웨덴은 다른 유럽국가들과 달리 코로나 19 대응으로 전면적 봉쇄를 취하지 않고 있다. 2020.03.30 [서울=뉴시스] 오애리 기자 =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팬데믹(전 세계적 대유행)에도 불구하고 느긋하기 짝이 없는 한 유럽국가가 있다. 바로 세계 최고수준의 복지를 자랑하는 북유럽의 스웨덴이다. 이 나라 국민들은 코로나19를 막기 위한 봉쇄령은 커녕 오히려 따뜻해진 봄날씨를 즐기며 평소와 다름없는 생..

마르크스·엥겔스의 기독교 이해와 신학에 미친 영향

카를 마르크스(뒷줄 왼쪽)가 1864년 세 딸, 그리고 평생의 동지인 프리드리히 엥겔스(뒷줄 오른쪽)와 함께 찍은 사진(모요사 제공) I. 서론 러시아과학아카데미는 『세계철학사』에서 “레닌 시대에 이루어진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발전과정에서 우리는 마르크스주의 세계관의 필수불가결한 부분인 ‘과학적 무신론’이 더욱 수준 높게 발전된 점 또한 빠뜨릴 수 없다”는 주장을 내놓았다. 이것은 마르크스주의가 과학적 무신론의 원형이고, 레닌 시대에 이것은 “더욱 수준 높게 발전”되었다는 뜻이다. 말하자면 1917년 레닌(Vladimir Ilich Lenin, 1870-1924)에 의한 러시아 공산주의 혁명의 성공을 계기로 세계에 혁명의 열기를 불어 넣었던 마르크스-레닌주의가 최고 수준의 과학적 무신론이라는 것이다. 이렇..

하나님은 창조주이신가?

이 논문은 과학적 무신론자들의 이론, 즉 진화론을 검증하고 그 이론이 허구에 불과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왜냐하면 현대사회에서 기독교를 공격하는 자들의 대부분은 진화론자들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과학의 탈을 쓰고 다윈의 생물학적 진화론과 오파린의 화학적 진화론이라는 두 개의 이론으로 무장되어 있다. 이들은 하나님과 그의 창조를 부정하고 기독교를 말살해야 할 바이러스라고 선전하고 있다. 진화론자들의 주장에 의하면, 하나님과 기독교는 지구에서 사라져야 하는 것이다. 어찌 이 세상에서 진화론자들과 함께 하나님이 창조주이실 수가 있고, 기독교가 존재할 수 있겠는가? 그래서 기독교인들은 하나님과 자신들을 위해 진화론이 오류임을 증명하고 진화론자들과 싸워야 할 의무가 있다. Is God Crea..

오파린의 생애와 “생명의 기원” 사상에 대한 소고

- 『생명의 기원』 제3판을 중심으로 차례 1. 서론 2. 오파린의 생애와 사상적 배경으로서의 시대적 환경 3. 오파린의 “생명의 기원”에 대한 사상 3.1 오파린의 생명관과 그 기원에 대한 연구 방향 3.2 생명의 자연발생 이론에 대한 비판 3.3. 생명의 영원성에 관한 이론의 비판 3.4. 과학적 접근의 시도와 실패에 대한 논의 3.5. “최근의” 관념론과 진화론의 발전에 대한 논의 4. 결 론 Abstract Oparin was undoubtedly a very famous scientist in the world. He approached the answer to the well-known but unsolved problem to men, the origin of life, by suggesti..

『생명의 기원』 논쟁에 대한 신학적, 과학적 고찰

-오파린의 『생명의 기원』에 나타난 화학진화론 비판을 중심으로 Ⅰ. 서론 Ⅱ. 오파린의 『생명의 기원』에 나타난 화학진화론 1. 오파린의 『생명의 기원』에 관한 문헌 정보 2. 생명의 기원을 둘러싼 관념론과 유물론의 투쟁에 관하여 3. 탄소 및 질소화합물의 최초 형태 4. 최초의 단백질의 발생 5. 최초의 콜로이드 구조의 발생 6. 살아있는 원형질의 조직 7. 원시생물의 기원 8. 오파린의 “맺는 말” Ⅲ. 결론 Theological and Scientific Studies on the Origin of Life -Criticizing Chemical Evolution Theory in by A.I. Oparin Evolutionism is the major basis of Atheism which Ch..

<종의 기원> 논쟁에 대한 신학적, 과학적 고찰

-다윈의 에 나타난 진화론 비판을 중심으로 I. 서론 II. III. 에 의해 촉발된 과학과 신학의 논쟁 1. 옥스포드 논쟁 2. 자연발생설과 파스퇴르에 의한 실험 3. 진화론의 문제점 (1) “진화”의 용어 (2) 본능과 암수의 생식기능 IV. 결론 Debates on the Origin of Life in Theology and Science -Critique on Darwinism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Darwin's theory of evolution is the doctrine of the idols which opposes to Christianity most heavily. Darwin's evolutionism is only a theory explain..

인간 수명 한계 없앨까..미 연구진 114세 세포를 '아기 수준'으로 바꿔

윤태희 입력 2020.03.29. 10:01 댓글 2481개 미국의 과학자들이 114세 여성의 혈액세포를 재프로그래밍해 이른바 유도만능줄기세포로 불리는 역분화줄기세포(iPS세포)로 바꿔 세포의 노화 수준을 사실상 신생아 상태로 되돌렸다. 또 이들 연구자는 일부 실험에서 염색체 끝부분을 열화로부터 보호하지만 시간이 지나 세포가 분열함에 따라 짧아지는 말단소립인 텔로미어를 재프로그래밍 과정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현재페이지 URL복사 https://news.v.daum.net/v/20200329100116578URL복사 인간 수명 한계 없앨까…미 연구진 114세 세포를 ‘아기 수준..

조나단 에드워즈의 『하나님의 천지창조목적』과 “하나님의 영광”에 대한 고찰

허 정윤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 Abstract The suggestion that the end of God's Creation is "for the glory of God" has been broadly supported so far. But the words, "for the glory of God" as the end of God's Creation was transformed from the end of man's life for the "glory of God" in the 1st article of the Westminster confession. It may be not wrong to say that the end of life of Man the creature should 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