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436

지구의 나이 6,000년 설은 기독교적 진리인가? Is the theory of the earth-age 6,000 years the Christianomical truth?

Ⅰ. 서론 Ⅱ. [주장 1] 성경은 하나님이 수천 년 전에 문자 그대로 하루가 24시간인 6일 동안에 창조하셨음을 가르치고 있다. Ⅲ. [주장 2] 출애굽기 20:11절은 창세기 1장을 수십억 년의 연대와 조화시키려는 모든 시도 를 차단하고 있다. Ⅳ. [주장 3] 노아의 홍수는 수십억 년의 시간을 쓸어버린다. Ⅴ. [주장 4] 예수님은 젊은 지구 창조론자(a young-earth creationist)셨다. Ⅵ. [주장 5] 수십억 년의 연대는 죽음과 하나님의 특성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을 왜곡하는 것 이다. Ⅶ. [주장 6] 수십억 년 이라는 생각은 과학적인 사실들로부터 생겨나지 않았다. Ⅷ. [주장 7] 방사성 동위원소 연대측정 방법은 수십억 년을 입증하고 있지 않다. Ⅸ. 결론 I. 서론 일부 기독..

지구와 우주의 나이는 몇 살인가? How Old Are the Earth and the Universe?

[ 그림 ] 과학의 발전상을 보여주는 세 우주선과 이들이 얻은 우주배경복사 데이터 . 좌로부터 1989 년 발사 COBE 위성 , 2001 년에 발사한 WMAP 위성 , 2009 년에 발사한 PLANCK 위성과 그들이 얻은 데이터 I. 서론 II. 과학계의 오랜 우주론 1. 빅뱅우주론 2. 우주연대 138억년설 3. 지구연대 46억년설 (1) 암석을 이용한 연대측정 (2) 지질연대표와 화석의 연대측정 (3) 방사성 탄소-14 연대측정법 III. 기독교의 젊은 우주론 1. 6일 창조설 2. 우주연대 6천년설 IV. 시간의 가변성에 대한 검토 1. 성년 창조설과 겉보기 나이 2. 시간의 물리적 가변성 V. 오랜 우주론과 젊은 우주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오랜 우주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2. 젊은 우주론에..

하나님의 창조를 서술하는 동사

한글성경으로 창세기를 읽으면 하나님이 천지 만물을 창조하신 것이 ‘바라’(בָּרָא: 창조하다)라는 한 가지 창조 명령만으로 진행되었다고 오해하기 쉽다. 실제로 적지 않은 기독교인들이 그렇게 믿고 있다. 그러나 하나님은 창조물에 따라 창조 명령에 각기 다른 동사를 사용하셨다. ‘바라’는 ①조각하다 ②창조(생산)하다 ③낳다 ④먹다 등의 다의적 의미를 포괄하고 있으므로 개별적 창조 명령에 적합하지 않은 말이다. ‘바라’는 모세가 하나님의 창조를 설명하기 위해 쓴 말이다. 하나님의 각 창조 사건에는 하나님의 창조 명령 구절 뒤에 모세가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구절이 접속사(וְ) + 동사로 이어져 나온다. 그리고 찬양하는 후렴구와 창조 한글성경으로 창세기를 읽으면 하나님이 천지 만물을 창조하신 것이 ‘바라’(ב..

『과학과 신의 전쟁』에 나타난 ‘과학적 유신론’ 바로 읽기

Ⅰ. 들어가면서 Ⅱ. 우주만물의 최초원인과 신(神)은 어떻게 다르며, 언제부터 존재하게 되었는가? 그리고 빅뱅은 무엇인가? Ⅲ 생명체의 최초원인은 무엇이며 어떻게 존재하게 되었는가? Ⅳ. 지구에는 다른 행성에서와 달리 우리와 같은 생명체가 존재한다. 지구에서 생명체는 어떻게 존재하게 되었나? Ⅴ. 신이 우리 조상을 특별하게 창조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그렇다면 현재 우리들과는 어떤 관계에 있는가? Ⅵ. 나가면서 Ⅰ. 들어가면서 이 논문은 필자가 쓴 『과학과 신의 전쟁』에서 신의 존재를 과학적으로 논증한 ‘과학적 유신론’ 부분을 발췌한 것이다. 과학적 유신론은 과학적 무신론을 반대하고 비판판하는 이론이다. 과학적 유신론은 만물이 존재하는 최초원인이 영원불변의 우주 에너지 총량이라는 열역학 제1법칙에 ..

호킹의 『위대한 설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Ⅰ. 서론 Ⅱ. 스티븐 호킹과 양자물리학적 진화론 1. 스티븐 호킹 2. 양자물리학적 진화론 3. 궁극적 질문 3가지 4. 자연법칙이란 무엇인가? Ⅲ. 궁극적 질문에 대한 호킹의 답변과 비판적 검토 1. 왜 무(無)가 아니라 무엇인가가 있을까? 2. 왜 우리가 있을까? 3. 왜 다른 법칙이 아니라 이 특정한 법칙이 있을까? 4. 다른 반론이나 증거들 Ⅳ. 결론 Ⅰ. 서론 우리가 하늘을 바라보면 사람마다 다른 생각을 하게 된다. 사람들의 생각을 모두 헤아린다면 밤하늘의 별보다 많을 것이다. 우주는 어떻게 태어났을까? 우리는 무엇이며, 또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 이런 질문들은 고대부터 인간에게 가장 오래된 수수께끼들이다. 그동안 이런 수수께끼들에 대한 해답은 여러 가지가 제시되었다. 그것들 중에 어떤 것..

인류 초기 종교집단?..5000년 전 제례 공간, 이라크서 발견

윤태희 입력 2020.04.01. 10:01 댓글 76개 이라크 남부 디카르주 텔로에 있는 유적지에서 약 5000년 전 한 수호신에게 바친 것으로 보이는 제물의 흔적과 제례용품 잔해가 대거 발견됐다. 미국 과학전문매체 라이브사이언스 30일자 보도에 따르면, 영국 대영박물관과 캐나다 서스캐처원주립대 등이 참여한 국제 연구팀은 고대 수메르 도시국가인 라가시의 중심지 기르수가 있던 이 유적지의 한 구역에서 종료 의식에 쓰인 것으로 추정되는 토기 조각 300여 점과 다수의 동물 뼈를 찾아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고대 도시국가 라가시의 중심지 기르수에서 발견된 성지(사진=대영박물관/ASOR) 이라크..

호킹 박사 "우주는 神의 창조물 아니다"(펌글)

한국일보 [월드 인사이드] 입력 2010.09.06. 18:47 수정 2010.09.06. 22:21 댓글 45개 호킹 박사 발언으로 불붙은 '무신론' 논쟁"중력의 법칙으로 빅뱅 발생 우주탄생 과학적 설명 가능" 세계적 천체물리학자인 영국의 스티븐 호킹 박사가 자신의 새 책에서 무신론을 주장함으로써 촉발된 '신의 존재'를 둘러싼 논쟁이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 종교계가 한 목소리로 호킹 박사의 무신론을 반박하고 나서자 과학계 인사들을 중심으로 한 무신론자들이 잇달아 호킹 박사 옹호발언을 하는 양상으로 논쟁은 진행중이다. 크게 보아 종교계와 과학계가 인간의 숙명과도 같은 질문을 놓고 서로 철회하기 어려운 주장들로 맞서 있는 것이다. 승부가 날 것 같지 않은 논쟁이지만 신을 믿지 않더라도 '종교적'일 수밖에..

창조냐, 진화냐?

I. 시작하면서 인간이 성장하면서 품게 되는 가장 큰 의문은 ‘이 우주는 어떻게 생겨났으며, 나는 어떻게 이 세상에 태어나게 되었는가?’일 것이다. 이에 대해서 기독교를 비롯한 종교인들과 창조론자들은 ‘신의 창조에 의해서’라고 대답한다. 이와 반대로 현대 진화론자들은 대부분 ‘약 140억 년 전에 빅뱅에 의하여 만들어진 물질이 점차 현재의 우주를 구성하게 되었으며, 인간 또한 과거의 어떤 시기에 물질에서 우연히 발생한 최초의 생명체가 하등 동물을 거쳐 진화한 것’이라고 대답한다. 결국 우주와 생명체의 기원에 관련한 질문에 대해서는 ‘신이 창조했다’거나, 아니면 ‘물질에서 우연히 발생되었다’라는 두 가지 주장 사이에서 각자 선택하는 믿음의 문제로 귀결된다. 말하자면 신의 창조를 믿는 입장과 진화론을 믿는 ..

‘과학적 유신론’의 정립을 위한 ‘자연’이해 패러다임의 전환

-노자(老子)의 자연 이해를 중심으로 I. 시작하면서: ‘과학적 유신론’은 왜 주장되어야 하는가? 이 논문은 인간사회를 동물사회로 격하시키는 ‘과학적 무신론’에 대응하여 과학적 방법으로 ‘과학적 유신론’을 정립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과학이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는 자연이해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먼저 ‘과학적 무신론’이 나오게 된 과정을 살펴본 다음에 노자와 과학의 자연 이해를 비교해보면서 우주와 생명의 기원이 창조사건임을 밝혀보고자 한다. 인류의 역사를 살펴보면 신화에서 발전한 신학에서 철학이 파생되었고, 철학에서 과학이 파생되었다. 철학은 과학이 분리되기 이전에는 자연을 연구하는 자연철학을 의미했다. 자연철학은 아이작 뉴턴(Isaac Newton, 1642-1727)이..

‘과학적 무신론의 시발점’으로서『공산당 선언』에 대한 비판

목차 Ⅰ. 서론 Ⅱ. 마르크스의 초기 유물론적 공산주의 운동 1. 『공산당 선언』의 배경 2. 초기 공산주의 운동 Ⅲ.『공산당 선언』 1.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의 계급투쟁의 문제 2. 프롤레타리아와 공산주의자의 관계 3. 사회주의․공산주의 문헌 Ⅳ.『공산당 선언』에 대한 비판 Ⅴ. 결론 Ⅰ. 서론 과학주의를 표방하는 현대인들의 사고방식은 과학의 영역을 벗어나는 것들에 대해서도 과학의 방법을 적용하려고 덤빈다. 과학은 물질의 영역을 대상으로 한다. 왜냐하면 실험을 통해서 입증이 가능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입증에 성공한 것은 과학으로 살아남고 실패한 것은 폐기되고 만다. 그런데 불순한 목적을 가진 자들은 거짓 이론을 실험에 성공한 것처럼 과학적 사실로 주장한다. ‘과학적 무신론’이 그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