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437

포스트모던 세계관과 기독교

[1장] 포스트모던 세계관의 두 가지 측면 포스트모더니티는 모더니즘에 대한 회의로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모더니즘이 합리성의 미명 아래 저질렀던 비윤리성을 폭로함으로써 그것의 한계성을 보여주었다. "진보와 질서에 대한 신념, 합리성과 도덕적 투명성의 바탕에서 출발했던 모더니티의 기획은 1차,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참혹히 무너졌다.” 이 포스트모더니티는 하나의 지적 내지는 대중 문화적 현상인데, 이를 확장하여 전체적인 세계관에 조명하여 볼 수 있다. 그리하여 포스트모던 세계관은 첫째, 보편적, 종합적 관점을 거부한다. 의미와 목적을 거부하며 이를 정치적 의도의 산물이라고 간주한다. 둘째, 포스트모던 세계관은 스타일의 혼합이며 각각의 파편들은 서로 우월을 가늠할 수 없다. 그리하여 전체는 부분의 집합으로서..

틸리케의 삼위일체론적 신 인식 연구

목차 1. 서론 2. 성부 : 계시하시는 하나님 ‘하나님의 자기 드러냄‘으로서의 계시/ ‘신 질문 일반’으로서의 계시 / ‘역사 설립의 말씀’으로서의 계시 3. 성자 : 예수 그리스도 하나님 그리스도, 메시아의 칭호 / 예수 인격과의 만남 /그리스도의 직무와 인성 / 화해론 / 부활론 / 기독론 평가 4. 성령 : 의인을 만드시는 하나님 ‘진정한 인간-의인’으로서의 성령 / 성경론 / 교회론과 선교론 / 종말론 5. 삼위일체 총론 6. 결론적 평가 1. 서론 틸리케는 교의학의 서론을 성령론으로 시작하고 있지만, 여기서는 관습적인 순서를 따라 그의 신론의 바탕인 신(神)인식을 고찰하고자 한다. 그의 교의학의 대전제는 하나님이 주시는 계시를 통하지 않고는 우리 인간의 신(神)인식이 불가능하다고 보는 것이다...

로제의 그리스도론

이 연구 리포트는 에두하르트 로제(Eduhard Rohse)의 『신약성서신학』에서 제10장부터 12장까지를 바탕으로 하여 작성된 것이다. 로제는 이 3개의 장들에서 초기 그리스도교의 케리그마를 통하여 예수 부활의 신앙이 자라났고, 예수 십자가 사건은 그리스도론 형성의 토대가 되었으며, 그리스도의 부활사건은 그리스도인들이 구원의 소망을 가지게 하는 종말론이 되었다고 본다. 1.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제10장) 1) 원시 그리스도교의 설교 로제에 의하면, 원시 그리스도교의 케리그마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선포하는 것에 서 시작되었다. 그리스도가 부활했다는 소식은 증인들을 통해서 먼저 전달되었다. 그러나 복음서의 기록에서 부활사화는 어떤 점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렇지만 로제는 초기 케리그마는 그리스도..

바울신학으로 보는 그리스도인의 삶

1 서론 그리스도인이란 말은 사도행전 11:26에 처음 나온다. “만나매 안디옥에 데리고 와서 둘이 교회에 일 년간 모여 있어 큰 무리를 가르쳤고 제자들이 안디옥에서 비로소 그리스도인이라 일컬음을 받게 되었다.” 여기서 가르치는 두 사람은 예루살렘에서 안디옥에 파견한 바나바와 바나바가 다소에 찾아가서 “만나매” 데리고 온 사울을 말한다. 당시 스데반의 순교사건으로 흩어진 사람들에 의해 복음이 널리 전파되고 이로 인해 각지에서 믿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난다는 소문을 들은 예루살렘 교회는 바나바를 안디옥에 파견하였다. 바나바는 혼자 가르치기 힘들 정도로 믿는 사람들이 늘어나자 다소에 있는 사울을 데리고 온 것이다. 바나바와 사울(바울)에 의해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제자들이 더욱 늘어나면서 안디옥 사람들은 이들..

[21C 문화변혁과 개혁신앙] 읽기

1. 서론 기독교문화는 인간사회의 세속문화와 상충하면서도 동시에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에 있다. 이러한 모순적인 긴장관계는 세속문화 속에서 살아가는 기독교인의 역할에 대해 서로 상반되면서도 다양한 입장이 나오게 하는 원인이다. 기독교문화와 세속문화의 상충관계에 초점을 맞추면 기독교가 인간사회를 대적해야 하는 극단적 이분법으로 가기 십상이다. 또 그리스도의 복음에 기반한 기독교문화의 특수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기독교 문화를 세속문화를 구성하는 하나의 하위문화로만 본다면, 기독교문화에다 다양한 타문화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다원론으로 빠지기 쉽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21c 문화변역과 개혁신앙”은 중도적인 입장을 견지하면서 기독교와 문화의 관계설정에 대한 복음주의 신학의 정통노선을 따르고 있는 저작이라..

에크하르트, 베르나르, 라샤르의 신비주의

1.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고독, 그리고 하나님께 도달함" 1) 서론 에크하르트(Meister Eckhart, 1260-1328)는 호크하임(Hochheim)에서 태어나 도미니크회의 수도사가 되었고, 파리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돌아와 수도회의 대학에서 교수가 되었으며, 나중에는 독일 전체의 총장이 되었다. 탁발수도사로, 또 설교자로 스트라스부르그(Strassburg)에 있다가 쾰른(Cologne)에서 가르쳤다. 그는 말년에 이단 혐의에 휩싸여 죽을 때까지 자신을 변호해야 했다. 그러나 교황 요안네스 22세(John XXII)는 그의 28개 명제를 정죄했다. 하지만 그의 신학은 교회에 많은 것을 주었을 뿐이지 “불충하지 않았다”고 평가된다. 그에 의하면, “하나님은 하나님이기 때문에 우리가 아는 것이 아니라..

츠빙글리 신학의 특성

츠빙글리(Ulrich 또는 Huldrych Zwingli 1484-1531)는 독일 종교 개혁자 루터(Martin Luther 또는 Luder, 1483-1546)와 동시대를 살았던 스위스의 종교 개혁가이다. 그의 신학적 특성을 요약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 성서: 츠빙글리는 율법과 복음을 구별하지 않았다. 츠빙글리는 루터와는 달리 이 두 가지 모두가 하나님의 자비하신 의지의 계시이지, 율법이 정죄의 성격을 가진 것으로는 보지 않았다. 2. 하나님에 관한 교리: 츠빙글리의 신학적 체계는 매우 엄격하고 완고한 유일신 중심적이었다. 이는 그리스도론, 인간론, 또는 구원론을 중심으로 하는 것과는 달랐다. 츠빙글리에게 하나님은 만물의 절대적 동인이요, 제일원인이다. 만물 가운데 우연이나 자유의지에 의하여 생..

20세기 서구 기독교의 종말론

1. 개관 19세기에 서구는 기독교 시대였다. 19세기 말에는 기독교적 세계가 아무런 저항을 받지 않고 관철되는 것처럼 보였다. 오스만 제국이 멸망하였고, 인도가 영국에게 점령당하였으며, 일본과 한국이 유럽에게 자신을 개방하였다. 중국은 서구 기독교인에게는 마지막 선교의 장으로 여겨졌다. 이런 상황에 도취된 서구 기독교인들이 천년왕국설을 세계사적 해석의 틀로 여긴 것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일이다. 그들은 모두 천년왕국설에 도취되어 있었다. 미국에서는 “새로운 세계”라는 아메리카의 꿈이 수백만 명을 끌어들였으며, 그것은 차르 황제가 다스리던 러시아에서 종말적 세계구원의 러시아적 꿈으로 나타났다. 콘스탄틴이 멸망한 다음 모스크바가 기독교적-정교회적 제국의 지배를 인수하였다는 “러시아적 사상”을 형성한 것이..

개혁신학의 삼위일체론 일고(一考)

목차 1. 서론 2. 삼위일체 총론 3. 성부 하나님 4. 성자 하나님 “예수 그리스도” 5. 성령 하나님 6. 맺는 말 1. 서론 진실한 기독신자가 되기 위해서는 삼위일체신론을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말처럼 잘 이해한다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 또한 사실이다. 하나님의 말씀이 기록된 성경의 역사에서 보아도 그렇다. 구약에서는 이스라엘 민족이 유일신 여호와의 선택을 받아, 그가 모세를 통해 주신 십계명으로 된 율법을 지키며 살았다. 그 율법의 첫째가 하나님 여호와 이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고 되어 있다. 이스라엘 민족은 여호와의 종으로서 여호와를 위해 살았다. 율법을 통해서 드러난 여호와는 심판자의 모습이었다. 율법을 어기는 자에게는 여호와의 심판에 따라 가혹한 처벌이 내려졌..

카를 마르크스의 생애

카를 마르크스(Karl Heinrich Marx, 1818-1883)는 1848년 프리드리히 엥겔스와 공동으로 발표한 [공산당 선언]과 1867년 초판이 출간된 [자본론]의 저자로 널리 알려진 독일 출신의 혁명가, 철학자이며, 과학적 사회주의의 창시자이다. 마르크스는 초기 사상에서부터 비판적인 철학(critical philosophy)의 경향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는 헤겔의 유령이 지배하는 당시 독일철학의 현실을 유물론적 변증법을 통해 본격적으로 비판했다. 말하자면 뒤집어엎은 것이다. 소련의 10월 혁명을 주도한 블라디미르 레닌은 마르크스를 이론적 기반으로 삼았다. 마르크스의 사상은 지금까지도 전 세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1. 마르크스의 철학 1.1 포이어바흐의 영향 1831년 헤겔이 콜레라로 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