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432

“결국 사라졌다” 맛있어 즐겨 먹더니…인간 때문에 ‘전멸’

[지구, 뭐래?] (daum.net) “결국 사라졌다” 맛있어 즐겨 먹더니…인간 때문에 ‘전멸’ [지구, 뭐래?] [헤럴드경제 = 김상수 기자]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동물은, 바로 인간이다.” 부인하기 힘든 사실이다. 지구 상에 그 어떤 동물도 다른 생명체를 멸종시키진 않는다. 하지만 인간은 계속 멸종 v.daum.net

온난화로 먹이사슬 혼란…고래 사냥 나서고 있는 북극곰

장세만 환경전문기자 작성 2024.01.09 20:46 수정 2024.01.09 21:22 원본 링크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492780&oaid=N1007492778&plink=TOP&cooper=SBSNEWSEND&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온난화로 먹이사슬 혼란…고래 사냥 나서고 있는 북극곰 지구가 뜨거워지면서 북극에 먹잇감이 줄어들자, 북극곰들이 전에는 하지 않던 고래 사냥에 나서고 있습니다. 인간이 만든 기후 위기가 생태계 먹이사슬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입니 news.sbs.co.kr 온난화로 먹이사슬 혼란…고래 사냥 나서고 있는 북극곰 지구가 뜨거워지면서 북극에 먹잇감이 줄어들..

"생수 사먹으면 안되겠네"…새로운 연구 결과 '충격'

장지민입력 2024. 1. 9. 19:15수정 2024. 1. 9. 20:15 美 연구진 "나노플라스틱 입자 24만개 검출" 라만산란현미경 활용해 검출 사진과 기사는 무관합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생수에서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최대 100배 많은 24만개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 최근 베이찬 얀 미국 컬럼비아대 연구팀은 생수 1ℓ에서 7종류의 플라스틱 입자 24만개가 나왔고, 이 가운데 나노 플라스틱이 90%를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국제 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논문으로 게재했다. 미세플라스틱은 크기가 5㎜∼1㎛에 달하는 플라스틱 입자를 말한다. 나노 플라스틱은 1㎛ 크기의 미세플라스틱보다 더 작은 크기의 입자를 말한다. 연구팀은 레이저를 두 방향에서 ..

피곤할 때마다 입 주위 물집… ‘바이러스’ 때문이라고?

임민영 기자 입력 2024.01.05 17:52 피곤할 때마다 입술과 그 주변에 물집이 생긴다면 ‘헤르페스성 구내염’일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피곤하기만 하면 입술 주위에 물집이 올라오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헤르페스성 구내염’이다. 입술이나 그 주변에 작은 물집이 여러 개 생겨 외관상 좋지 않아서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게다가 가만히 두면 사라지기까지 최대 2주가 걸려 불편함도 있다. 헤르페스성 구내염이 생기면 어떻게 해야 할까? ◇입술 아래 생기는 아프타성 구내염과 달라 헤르페스성 구내염은 헤르페스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HSV)에 감염돼 피부에 포진이 일어나는 바이러스 질환이다. 헤르페스 감염은 대표적으로 1형과 2형이 있다. 헤르페스 1형은 입술 주위, 얼굴, 눈 ..

모계 유전 미토콘드리아 유전질환 치료길 열리나…동물모델 개발

2024.01.05 13:45 기존 TALED는 생쥐 배아 적용 시 비정상적인 발달을 일으켰지만(위쪽) 연구진이 개량한 TALED-V28R은 이러한 부작용을 줄인다. 고려대 의대 제공. 시신경, 근육, 심장 등에 이상을 일으킬 수 있는 ‘미토콘드리아 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 길이 열릴 전망이다.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미토콘드리아 DNA 염기서열 중 아데닌(A) 염기를 구아닌(G)으로 교정한 생쥐 모델을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미토콘드리아 질환을 유발한 생쥐 모델을 처음으로 제시한 것으로 이 모델을 통해 미토콘드리아 질환의 원인을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고려대 의대는 이현지 융합의학교실 교수 연구팀과 바이오기업 ‘엣진’ 연구팀 등이 쥐 모델에서 미토콘드리아 DNA 서열을 바꾸는 데..

“이러다 인류 멸망하겠네”…영하 43도 핀란드 국가마비 ‘유럽 발칵’

이상규 매경닷컴 기자(boyondal@mk.co.kr)입력 2024. 1. 5. 20:06 도로에 고립된 트럭들. [사진출처 = 연합뉴스] 북유럽에 극강 한파가 덮치면서 주요 도로가 결빙으로 폐쇄돼 곳곳에 교통이 마비됐고 수천가구에 전기가 끊겼다. 또 유럽 중북부 일대에는 또 다시 폭우가 쏟아져 인명사고까지 발생 하는 등 홍수 피해가 이어지고 있다. 5일(현지시간) AP통신은 전날 핀란드 에논테키오 지역의 기온은 영하 43.1도로 올겨울 들어 가장 낮았다고 보도했다. 기상학자는 이번 주 기온이 더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스웨덴 공영 라디오는 현지 기온이 영하 38도까지 떨어졌다고 전했다. 이 때문으로 4000가구에 전기 공급이 끊겼고 남부지역에서는 도로 결빙·폐쇄로 운전자들이 차를 도로에 세워둔 채 차..

이마, 두피에 뿔이… 원치 않는 시선에 고통받는 사람들

[세상에 이런 병이?] 임민영 기자입력 2024. 1. 5. 07:15수정 2024. 1. 5. 13:32 2015년 중국 87세 할머니의 머리에 13cm에 달하는 뿔이 자랐다./사진=더 선 세상에는 무수한 병이 있고, 심지어 아직 밝혀지지 않은 미지의 질환들도 있다. 어떤 질환은 전 세계 환자 수가 100명도 안 될 정도로 희귀하다. 헬스조선은 매주 한 편씩 [세상에 이런 병이?]라는 테마를 가지고 우리가 상상하기 어려운, 믿기 힘들지만 실재하는 질환들을 소개할 예정이다. (편집자주) ‘어느날 머리에서 뿔이 자랐다’는 국내 유명 아이돌 그룹의 노래가 있다. 그런데, 실제로 몸에서 뿔이 자라난다면 믿을 수 있을까. ‘피부뿔(Cutaneous horn)’이라는 질환을 알면 노래 제목이 먼 세상의 일이 아니..

17년째 노숙인 밥 짓는 목사, 새해인사는 “굶지 말자”

손성배입력 2024. 1. 1. 00:15수정 2024. 1. 1. 06:34 백점규 목사가 지난달 30일 2023년 마지막 저녁 무료급식을 준비하고 있다. 손성배 기자 지난달 30일 오후 6시 수원시 교동의 한 연립주택에 있는 노숙인 생활시설 ‘낮은둥지쉼터’ 부엌. 올해 마지막 노숙인 무료 급식을 준비하는 백점규(70) 목사의 양파 다듬는 소리가 들렸다. 그는 쉼터에서 생활하는 노숙인 7명과 함께 2007년 8월부터 17년째 수원역에서 매주 화~토요일 주 5회 무료 저녁 급식을 제공하고 있다. 백 목사는 “17년 전 수원역에서 무료 급식차에 우르르 사람들이 몰려가는 걸 보고 내가 도와야겠다고 마음먹은 뒤 시작한 일”이라며 “건강이 허락하는 한 계속하고 싶지만 이제 길어야 5년 정도 남은 것 같다”고 말..

눈앞에 다가온 ‘암 유병자 300만’ 시대…암 예방 더 노력해야

[박효순의 건강직설] 입력 2023.12.31 14:53 17 박효순 기자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지난 28일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가 발표한 국가암등록통계 자료를 보면, 2021년 국내 암 유병자는 약 247만명이었다. 국민의 4.7%에 해당한다. 65세 이상의 경우 7명당 1명(119만 여명, 약 14%)이 암 유병자로 집계됐다. 암 유병자는 2018년 약 201만명으로 처음 200만명을 돌파한 이후 3년만에 50만명 가까이 늘어났다. 이런 추세라면 2024년에 300만명을 넘는 것은 시간문제이다. 암 유병자란 암 진단 후 치료를 받는 중이거나 의학적 완치 기준인 5년이 경과한(암 생존자) 사람들을 말한다. 2021년 현재 암 생존자는 암 유병자의 61%(약 148만명)이다. 암 유병자 중에서 생..

솔로몬의 아들 낳은 쉬바 여왕의 나라엔 ‘13월’이 있다

[노석조의 외설(外說)] 에티오피아의 고대 달력 ‘바하르 하삽’ 1~12월 30일씩 총 360일 남은 5.25일은 13월에 몰아넣어 내년을 준비하는 5~6일짜리의 특별한 달 노석조 기자 입력 2023.12.30. 19:46업데이트 2023.12.30. 20:28 16 고대 에티오피아 달력 '바하르 하삽'을 에티오피아 정교회 성직자가 들고 있다. /아디스아바바=노석조 기자 12월과 1월 사이에 ‘13월’이 있는 달력을 본 적이 있습니다. 11년 전인 2012년 말 인류의 젖줄인 나일강을 거슬러 올라가 나일강의 발원지가 있는 에티오피아에 도착했을 때입니다. 에티오피아는 기원전 10세기 무렵 쉬바 여왕이 다스린 왕국의 명맥을 이은 나라로 알려져있습니다. 고대 여러 사료와 구전된 이야기 등에 따르면, 쉬바 여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