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하신 대로 사는 생활 지식/하나님 백성의 건강 관리

망막세포 노화 되돌려 생쥐 시력 돌아왔다

heojohn 2020. 12. 12. 02:18

[표지로 읽는 과학]

2020.12.06 08:58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3일 확대된 눈의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가운데 검은 동공을 중심으로 파란색의 ‘망막세포’들을 볼 수 있다. 망막세포는 눈에서 발견되는 일종의 신경세포로 정보를 누에서 두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5시 방향을 기준으로 어두웠던 망막세포들이 반시계 방향으로 파랗게 밝아지고 있다. 왼쪽 상단에서는 ‘돌아갈 시간(Turning Back Time)’이라는 문구를 볼 수 있다. 이 문구 아래에는 ‘재조정된 망막 세포는 노화와 관련된 시력 상실을 되돌릴 수 있다’는 문구도 붙어있다.


데이비드 싱클레어 미국 하버드대 의대 노화연구생물학센터 교수 연구팀은 노화된 망막세포를 조작해 실험쥐 시력을 회복시켰다는 연구를 이번 주 네이처에 발표했다.

 

노화된 망막세포는 ‘야마나카 인자’를 사용해 젊게 되돌릴 수 있다는 사실은 2010년대 중반 이미 밝혀졌다. 야마나카 인자는 이미 분화를 마친 체세포의 시간을 되돌리는 유전자 조절 단백질이다. OCT4와 SOX2, KLF4란 세가지 단백질이 있다. 문제는 이 단백질들이 너무 오래 사용되면 종양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종양 발생을 막으면서도 야마나카 인자를 이용해 망막세포를 젊게 돌리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 세 단백질을 아데노관련바이러스(AAV)를 매개체로 해 시신경이 손상된 실험쥐의 망막 신경세포에 전달했다. 단백질 유전자의 활성을 켜고 끌 수 있는 일종의 스위치도 만들었다. 연구팀이 만든 약물을 쥐에게 주입해야만 단백질 유전자가 활성화된다.


연구팀은 실험쥐의 망막세포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노화와 관련된 시력 상실 겪은 생쥐와 녹내장 질환의 특징인 눈 내부 압력이 증가한 생쥐의 시력을 되돌아왔다. 망막세포의 수와 신경 성장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망막 세포의 수가 2배 늘었고 신경 성장도 5배 증가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미국 생명과학회사 라이프바이오사이언스에 이전했다. 현재 연구에서 생쥐는 1년동안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싱클레어 교수는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기 위해 전임상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며 “신체 기능을 개선하고 생체 내 재생을 촉진하는 데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관련 태그 뉴스

  • [표지로 읽는 과학] 빨간 뿌리 줄까, 파란 뿌리 줄까

    [표지로 읽는 과학] 빨간 뿌리 줄까, 파란 뿌리 줄까

    정적이고 수동적일 것만 같은 식물은 사실 생존을 위해 치열하게 싸운다. 햇빛이 없으면 살지 못하는 식물은 나뭇가지와 잎이 경쟁적으로 햇빛을 향해 뻗는다. 땅속에서는 영양분과 물을 뺏기 위해 뿌리 사이의 혈투가 벌어진다. 시루 카발 미국 프린스턴대 생태학및진화생물학부 연구원은 식물에서도 뿌리에 주목했다. 뿌리는 땅속에 있어 눈에 보이지 않는 만큼 얼마나, 어떻게 뻗어 나가는지 확인하기 쉽지 않다. 카발 연구원은 한정된 공간의 토양에 식물을 여럿이 함께 심으면 뿌리가 토양 속 영양분을 어떻게 나눠 가지는지 실험으로 확인하기로...

  • [표지로 읽는 과학] 집 이사한 사막거북 166마리 누가 잘 생존할까

    [표지로 읽는 과학] 집 이사한 사막거북 166마리 누가 잘 생존할까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27일 미국 캘리포니아 모하비 사막에 사는 거북이의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자갈과 모래가 섞인 붉은 흙 위에 사막 거북이가 발을 딛고 있다. 사막 거북이 위로 높은 산등성이도 보인다. 사막 거북이는 모하비 사막과 미국과 멕시코 국경 사이에 걸친 소노란 사막에 사는 생물이다. 몸통 길이가 보통 25~36cm, 키는 10~15cm 정도다. 다 자란 성체의 경우 무게가 5kg가 나간다. 체온을 조절하고 수분 손실을 줄이기 위해 대부분의 시간을 굴이나 돌 아래 그늘에서 보낸다. 비가 내린 후 가장 활동적이고 보통 50~80년을 산다. 하지...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 핵융합 ‘중성미자’ 첫 검출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 핵융합 ‘중성미자’ 첫 검출

    과학자들이 태양의 탄소질소산소(CNO) 순환 핵융합 반응으로 만들어진 중성미자를 검출하는 데 성공했다. 이같은 태양 핵융합 반응으로 만들어진 중성미자 검출은 태양의 구조와 그 중심에 있는 다양한 구성요소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지평을 넓힐 수 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이달 26일 이탈리아 소재 그란 사소 연구소의 중성미자 검출기인 ‘보렉시노(Borexino)’ 검출기를 표지 사진에 실었다. 보렉시노 검출기는 원소인 탄소와 질소, 산소의 촉매 작용으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이른바 태양의 ‘CNO순환’ 핵융합...

  • [표지로 읽는 과학] 단일 분자 먼 거리 전송하는 '분자 전신' 현상

    [표지로 읽는 과학] 단일 분자 먼 거리 전송하는 '분자 전신' 현상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달 20일 빨간 원자로 난 길을 따라 움직이는 분자의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하나의 분자를 마치 레일에 놓은 것처럼 직선으로 표면을 가로질러 보낼 수 있음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분자를 보내는 지점과 받는 지점도 지정할 수 있는 현상에 사이언스는 ‘분자 전신’이라는 제목을 달았다. 레온하르트 그릴 독일 그라츠대 물리화학부 교수 연구팀은 단일 분자를 특정한 위치로 옮기고 다시 가져오는 데 성공했다고 이달 19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분자를 제어하는 기술은 빛의 힘으로 아주 작은 물질을 집는 광집...

태그

  •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