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무신론 비판(진화론+유물론)/호킹의 [위대한 설계]비판 13

호킹의 『위대한 설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Ⅰ. 서론 Ⅱ. 스티븐 호킹과 양자물리학적 진화론 1. 스티븐 호킹 2. 양자물리학적 진화론 3. 궁극적 질문 3가지 4. 자연법칙이란 무엇인가? Ⅲ. 궁극적 질문에 대한 호킹의 답변과 비판적 검토 1. 왜 무(無)가 아니라 무엇인가가 있을까? 2. 왜 우리가 있을까? 3. 왜 다른 법칙이 아니라 이 특정한 법칙이 있을까? 4. 다른 반론이나 증거들 Ⅳ. 결론 Ⅰ. 서론 우리가 하늘을 바라보면 사람마다 다른 생각을 하게 된다. 사람들의 생각을 모두 헤아린다면 밤하늘의 별보다 많을 것이다. 우주는 어떻게 태어났을까? 우리는 무엇이며, 또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 이런 질문들은 고대부터 인간에게 가장 오래된 수수께끼들이다. 그동안 이런 수수께끼들에 대한 해답은 여러 가지가 제시되었다. 그것들 중에 어떤 것..

호킹 박사 "우주는 神의 창조물 아니다"(펌글)

한국일보 [월드 인사이드] 입력 2010.09.06. 18:47 수정 2010.09.06. 22:21 댓글 45개 호킹 박사 발언으로 불붙은 '무신론' 논쟁"중력의 법칙으로 빅뱅 발생 우주탄생 과학적 설명 가능" 세계적 천체물리학자인 영국의 스티븐 호킹 박사가 자신의 새 책에서 무신론을 주장함으로써 촉발된 '신의 존재'를 둘러싼 논쟁이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 종교계가 한 목소리로 호킹 박사의 무신론을 반박하고 나서자 과학계 인사들을 중심으로 한 무신론자들이 잇달아 호킹 박사 옹호발언을 하는 양상으로 논쟁은 진행중이다. 크게 보아 종교계와 과학계가 인간의 숙명과도 같은 질문을 놓고 서로 철회하기 어려운 주장들로 맞서 있는 것이다. 승부가 날 것 같지 않은 논쟁이지만 신을 믿지 않더라도 '종교적'일 수밖에..

『위대한 설계』읽기-10(총괄적 검토)

호킹이 주장하는 M이론에 대하여 셸던 글래쇼(Sheldon Lee Glashow, 1932- )는 M이론의 바탕이 되는 끈 이론이 “실험에 의해 검증할 수 있는 형태로 예언이 전혀” 없고, “표준이론도 들어 있지 않”으므로 “이론이라기보다는 아주 훌륭한 꿈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므로 10차원의 끈 이론을 근거로 1차원을 확장한 11차원의 M이론은 몽상가의 주장임이 분명하다고 말할 수 있다. 호킹은 “물체들이 아무 곳에서나 발생하지 못할 이유가 없을 것”이라는 가정을 하고 무(無)에서의 ‘자발적 창조’ 이론을 전개했다. 그러나 이것이 과학적으로도 틀렸다는 사실이 실험에서 입증되었다. 2013년 프랑스와 독일에서 진공에 관련한 실험의 결과가 보도되었다. 독일 막스 플랑크 빛물리학 연구소의 실험..

『위대한 설계』읽기-9(궁극적 질문-3에 대한 검토)

궁극적 질문 3. 왜 다른 법칙이 아니라 이 특정한 법칙들이 있을까? (호킹의 답변) 호킹은 우리의 세계를 기술하는 법칙들 가운데서 첫 번째 법칙으로 에너지 보존 법칙을 제시했다. 에너지는 시간이 지나도 불변(不變)하게 보존되는 양이다. 그러나 호킹에 의하면 “진공 에너지를 상수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두 번째 법칙으로 물체는 반드시 0보다 큰 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며, 물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일이 필 요하다. 또한 일에는 반드시 에너지가 소비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호 킹의 주장은 에너지가 물질이나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전환될 수 있 다는 ‘에너지=물질 등가 법칙’에 수렴되고 있다. 호킹은 세번 째로 “우리는 아주 어린 우주에 존재했던 양자요동의 산물”이라고 말했다. 호킹은 우리가 최초의 물질에서 진화..

『위대한 설계』읽기-8(궁극적 질문-2에 대한 검토)

궁극적 질문 2: 왜 우리가 있을까? (호킹의 답변) 호킹은 콘웨이의 생명 게임이 진행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을 관찰하면, “복합 대상들을 다루는 물리학을 온전하게 구성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호킹은 콘웨이의 생명 게임에서 사 용된 정사각형 패들이 우주에서 충분히 많다고 가정하면, 그것들은 지능과 자기복제 능력을 지닌 “보편적인 튜링 기계들(universal Turing machines)임을 증명”했다고 본다. 이를 근거로 호킹은 생명 게임의 룰을 따르는 입자들이 우주에 충분히 많다면 생명이 생겨날 수 있다 고 설명한다. 호킹은 “살아 있는 존재”를 “크기가 유한하며 안정적이 고 자신을 재생산하는 복잡한 시스템”으로 정의한다. 그렇다면 “약 간 더 복잡한 법칙들은 생명의 속성을 모두 갖춘 복잡한 시..

『위대한 설계』읽기-7(궁극적 질문-1에 대한 검토)

호킹은 『위대한 설계』 첫 장에서 제시했던 존재의 수수께끼에 대한 3가지의 궁극적 질문을 마지막 장에서 답변한다. 그의 답변을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호킹이 제공한 예비지식을 습득했다. 호킹의 양자물리학적 진화론을 비판하려는 목적은 호킹의 ’3가지 궁극적 질문‘에 대한 답변을 검토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궁극적 질문 1. 왜 무(無)가 아니라 무엇인가가 있을까? (호킹의 답변) 이 질문에 대해 호킹은 “신이 창조했다”는 대답을 부정 한다. 왜냐하면 신은 “창조될 필요가 없는 존재를 인정하고, 그 존재 를 신이라고 명명하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457 대신 그는 우리의 뇌가 “감각기관들에서 온 입력정보를 해석”하여 모형을 만들어낸다 고 보는 ‘모형 의존적 실재론’에 의하여 무엇인가가 존재하는 이유를 ..

『위대한 설계』읽기-6(우리우주 모형론)

1. 우리우주의 표준모형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서 가시적으로 펼쳐진 시공간은 4차원이다. M이론은 11차원(10차원의 공간과 1차원의 시간)을 나타낸다. 그렇다 면 우리가 알지 못하는 나머지 7차원 공간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호 킹은 7개의 공간은 “아주 작게 감겨 있기(curled up) 때문에” 우리가 알 지 못하고 “착각하면서 산다”고 말한다. 그러나 M이론이 허용하는 ‘내면 공간’은 앞에서 언급했듯이 10500개나 된다. 호킹에 의하면 우리는 이 중에서, 양자적 확률 진폭이 아무리 적을지라도(0이 아닌 이상), 우리에게 가시적으로 관찰된 3차원 공간의 우주 역사를 선택했다. 따 라서 ‘파인만 역사 합’에서 나머지 우주는 제 각각의 역사들을 가지고 있고, 그 확률 진폭이 아무리 클지라도, 우리에..

『위대한 설계』읽기-5(양자 우주론의 모형들)

호킹은 빅뱅 이론을 “초기 우주의 타당한 기술로 여길 수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빅뱅을 “곧이곧 대로 받아들이는 것”과 빅뱅 이론으로 우주의 시작까지 기술하는 것 은 “옳지 않다”고 말한다. 그 이유는 빅뱅 이론의 바탕인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은 우주의 온도와 밀도와 곡률이 무한대인 특이점이 있었다고 예측하기 때문이다. 호킹에 의하면 일반상대성 이론은 우주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를 예측하는 데에는 쓸모가 없고, 다만 우주가 어떻게 진화되었는지를 논의하는 데에만 쓸모가 있다. 호킹이 설명하는 양자우주론을 살펴보자. 1. 양자우주론 지구중심 우주론과 정적우주론이 차례로 폐기되고, 새로 시작한 빅뱅 우주론에서 팽창(inflation)에 관련한 논쟁이 벌어졌다. 빅뱅 우주론에서 시작된 팽창론은 1980년대에..

『위대한 설계』읽기-4(M이론의 네트워크)

호킹에 의하면 자연의 모든 힘들, 그 힘들을 느끼 는 입자들, 그 모든 일이 벌어지는 무대인 시간과 공간을 빠짐없이 기술할 수 있는 단일 이론은 없다. 그것은 어디까지나 꿈일 뿐이다. 그것을 대신하는 것으로 M이론의 그물망 (network)이 존재한다. 호킹의 M이론은 ‘모형 의존적 실재론’의 틀 안에서 우주 의 특정한 범위 내의 현상을 잘 기술하는 법칙과 이론들을 수용한다. 1. 고전적 법칙들 우리의 우주에는 수많은 물체가 서로 엉켜서 존재한다. 그렇지만 제멋대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만물은 법칙에 따라 질서를 유지하 고 있다. 호킹은 만물의 법칙을 연구했던 아인슈타인의 “우주와 관 련해서 가장 이해하기 힘든 것은 우주가 이해 가능하다는 것”이라는 말을 인용했다. 이 말을 인용한 호킹의 목적은 아인슈..

『위대한 설계』읽기-3(모형 의존적 실재론)

1. 고전적 실재론 vs 모형 의존적 실재론 호킹에 의하면 현대 물리학적 지식은 진짜 세계가 있고, 그 세계 의 속성들이 “관찰자에게 독립적으로 확정되어 있다는 믿음을 기초” 로 하는 철학과 고전과학의 실재론을 옹호하기 어렵게 한다.406 현대 물리학자들은 경험적인 지식과 이론적인 지식을 구분한다. 왜냐하면 유리 어항 밖에서 보는 금붕어나, 다수의 앙상블의 부분적 존재이거 나, 또는 ‘홀로그래픽(holographic) 원리’에 의해 다른 차원의 경계에 드 리운 그림자처럼, 실험과 관찰에 의한 경험은 의미가 있지만, 이론은 실재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수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배가 불 룩한 유리 어항에 살고 있는 물고기를 볼 때, 실제로 우리에게 보이 는 것은 그 물고기의 왜곡된 상(像)이다. 호킹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