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무신론 비판(진화론+유물론) 69

찰스 다윈 소장 '개인 도서 전체' 최초 공개

입력2024.02.12. 오전 11:31 문세영 기자 찰스 다윈이 소장한 기록물. darwin online 제공. 영국 생물학자 찰스 다윈의 개인 도서관에 소장된 책 전체가 처음으로 공개됐다. 11일(현지시간) 가디언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영국 과학사학자인 존 반 와이허 박사가 이끈 프로젝트를 통해 다윈의 도서관에 있는 책, 저널, 팸플릿, 기사 등이 20년간의 조사 및 정리 끝에 공개됐다. 최초의 박테리아 사진이 담긴 독일 정기간행물부터 엘리자베스 개스캘의 소설까지 다윈이 소유한 도서들의 범위는 방대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와이허 박사가 운영하는 ‘다윈 온라인’ 홈페이지를 통해 다윈이 소장한 1만3000권의 책을 7400개의 타이틀로 분류해 300쪽의 카탈로그로 소개됐다. 일부 책은 경매 기록을 바탕으..

진화론의 현대적 종합

[사이언스N사피엔스] 2021.02.04 14:00 찰스 다윈에게 진화론 영감을 준 갈라파고스제도의 핀치새. 네이처 제공 19세기 과학의 가장 위대한 성과라면 진화론을 주창한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을 꼽을 것이다. 그만큼 다윈의 진화론의 등장은 과학사적으로 엄청난 일대 사변이었으며 이후 20세기에도 과학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다윈의 진화론이 20세기에 수용되는 과정에는 다소간의 부침이 있었다. 무엇보다 다윈의 진화론에서는 유전 메커니즘이 빠져 있었다. 유전은 진화에서 빠질 수 없는 단계이다. 주어진 환경에서 생존에 유리한 변이가 후대에 전해져야 진화가 일어난다. 다윈 자신이 제안한 유전이론이 없지는 않았다. ‘판제네시스’라 불리는 이 이론에서는 생물체의 세포마다 자가증식성 소분체(ge..

"유물론과 진화론의 결합으로 과학적 무신론 형성"

허정윤 박사, 24일 창조론 오픈포럼서 발표 기독일보 장지동 기자 (zidgilove@cdaily.co.kr) 입력 2020. 08. 25 12:51 수정 2020. 08. 25 18:15 허정윤 박사(왼쪽) ⓒ한국교회사학연구원 제공 허정윤 박사(창조오픈포럼 공동대표, 사진)가 24일 오전 온라인으로 진행된 ‘창조론 오픈포럼’에서 ‘유물론과 진화론의 결합’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 허 교수는 “유물론은 우주는 물질로만 구성되어 있고, 비물질적 존재(신)는 없다는 개념”이라며 “유물론은 인류가 처음 생겨날 때부터 있었던 것은 아니며 상당히 많은 시간이 지난 이후에 생겨난 이론이다. 물질과 신의 개념은 동전의 양면과 같이 변하여 왔다”고 했다. 이어 “고대에는 신의 존재를 의심하지 않았다. 고대 히브리 민족..

과학적 무신론 비판(3): 종의 기원

찰스 다윈은 하나님이 지구 생물을 종류별로 창조하셨다는 사실을 생물학적으로 부정한 최초의 인물이다. 다윈은 『종의 기원』(1859)에서 지구 최초의 생명체는 ‘창조자’(Creator)에 의하여 ‘몇 개 또는 한 개’ 만들어졌고, 그것이 번식하면서 자연선택의 방법으로 인간으로까지 진화했다고 주장했다. 그보다 조금 늦게 그레고어 멘델은 “식물의 잡종에 관한 연구”(1866) 논문을 발표하여 생물에게 나타나는 변이는 유전자의 법칙에 의한 것이라 주장했다. 멘델의 주장은 다윈의 자연선택에 의한 무작위적인 변이를 명백히 반박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다윈의 진화론을 학습한 역사적 유물론자들은 생명을 물질적 현상으로 보면서 창조자까지 부정했다. 그 결과 오파린은 생명이 물질에서 발생했다는 화학적 진화론을 주장할 수 있..

기독교 창조론적 관점에서 과학적 무신론 비판하기(2): 생명의 기원

기독교는 하나님이 지구 물질로 생명체를 만드시고, 그것에게 생명을 부여하신 창조주라는사실을 믿는다. 그러나 과학적 무신론자들은 하나님과 그의 창조를 부정하고 기독교의 믿음을 조롱한다. 알렉산더 오파린은 [생명의 기원](1936)에서 지구 최초의 생물은 물리적 화학작용의 ‘변증법적 비약’에 의해 생겨났다고 주장했다. 생명의 보편적 개념은 물질로 구성된 생명체가 죽을 때까지 그것의 행동을 주관하는 기능을 말한다. 오파린의 관점에 의하면 생명은 생명체의 물질적 현상이다. 오파린은 생명체의 화학적 발생에 대한 법칙을 알게 되었으므로 인공생명체를 만드는 것도 곧 실현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오파린의 주장을 검토해보기로 한다. 그렇다고 우리 모두가 그의 [생명의 기원]을 읽고, 그가 설명하는 물질의 화학적 또는 변증..

오파린의 생명의 기원 읽기-7(제6,7장: 원시생물의 기원, 맺는 말)

제6장 원시생물의 기원 바닷물 속에서 처음 출현했던 코아세르베이트의 액적은 아직 생명을 부여받고 있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 기원부터 이미 액적에는 일정한 조건에서 원시 생물계가 형성되기 위한 계기를 부여하는 발전의 가능성이 숨겨져 있었습니다. 지금까지의 각 장에서 알 수 있었듯이 이러한 종류의 상태는 물체 진화의 전 단계에 특징적인 것입니다. 천체의 탄소원자의 특이한 성질에는 이미 탄수화물과 그것의 간단한 유도체를 형성할 가능성이 기초지워져 있었습니다. 이들 유도체는 일정한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특유의 화학반응을 하기 때문에 원시 대양의 따뜻한 물속에서 여러가지 고분자 유기물이나 단백질과 비슷한 화합물로 변화했음에 틀림없습니다. 단백질과 아주 비슷한 화합물로 변화했음에 틀림없습니다. 단백질 특유의..

생명의 기원 읽기-6(제5장: 살아있는 원형질의 조직

생명의 기원의 과정이나 발전의 발자취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대략이나마 원형질 조직의 기본 방법을 알아야만 합니다. 원형질이야말로 생물의 근본에 있는 물질적인 기초이기 때문입니다. 전세기 말부터 금세기 초에 걸쳐 어떤 학자들은 생물이란 복잡한 구조를 가진 특별한 ‘살아있는 기계’일 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들은 원형질은 무언가 기계와 비슷한 일정한 구조를 갖고 있다고, 즉 무언가 단단하고 불변하고 서로 얽혀있는 ‘교량’이나 ‘다리’로 되어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마치 차바퀴, 축, 피스톤, 기타 기계의 구성부분이 기계의 각각의 독자적인 작업의 동인이 되고 있듯이 원형질의 이 구조의 정확하게 정해진 상호 배열이 생명의 특유한 동인이 된다고 보았습니다. 결국 이 구조를 완전히 연구하여 이해하기만 하면 생명의 존재는..

『생명의 기원』읽기-5(제4장: 최초의 콜로이드 구조의 발생)

앞장에서 본 것처럼 현재의 생물을 구성하고 있는 유기물과 비슷한 복잡하고 다종다양한 유기물은 지구의 진화과정에 바닷속에서 만들어졌음에 틀림없습니다. 그런데 현재의 생물과 유기물의 단순한 수용액 사이에는 말할 것도 없이 매우 큰 차이가 있습니다. 여러 가지 세균이나 아메바, 곰팡이, 기타 매우 간단한 생물체를 포함한 모든 동물이나 식물체의 기초는 원형질로 되어있습니다. 원형질이야말로 그대로 생명현상이 전개되고 있는 물질적인 본체입니다. 원형질은 겉으로 보아 회백색의 반유동의 끈끈한 덩어리이며, 그 성분은 바깥이 주로 단백질로 되어 있고, 게다가 많은 유기화합물이나 무기염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원형질은 이들의 단순한 혼합물은 아닙니다. 원형질은 매우 복잡한 조성을 갖고 있습니다. 이 조직은 우선 첫째..

『생명의 기원』읽기-4(제3장: 최초의 단백질의 발생)

19세기 초 1810년경 까지만 해도 유기물은 오직 생물에서만 분리할 수 있고, 인공적으로 만드는 것은 도저히 불가능한 것으로 잘못 확신하고 있었습니다. 실험실에서 이 물질들을 합성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며, 유기물은 생체 안에서의 특수한 ‘생명력’의 영향으로만 만들어진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19세기 및 20세기의 유기화학자들의 연구에 의해 이 편견은 타파되었습니다. 오늘날 우리들은 생물에 특유한 물질, 예를 들면 당, 지방, 다양한 식물색소, 알리지린, 인디고 등 꽃이나 종자나 열매에 색을 주는 것, 맛이나 방향(芳香)에 관계하는 물질, 다양한 테루펜, 탄닌, 알카로이드, 고무, 기타 여러 가지 것을 화학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중요한 물질을 합성할 수 있습니다. 이리하여 과학의 ..

『생명의 기원』읽기-3(제2장: 탄소 및 질소화합물의 최초형태)

동물이나 식물의 몸을 분석해 보면, 이것들이 무생물계에서 마주친 것과 완전히 똑같은 원소로 되어있다는 것을 확연히 알 수 있습니다. 이 원소들은 우리의 유성 지구가 나타나기 훨씬 전부터 존재했고, 태양이나 그 밖에 생명과 전혀 관계가 없는 다른 곳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생명이란 이 원소들의 특별한 운동형태에 지나지 않은 것이며, 우주의 한 쪽 구석에서 적당한 조건이 형성된 기회에 진화의 과정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그러므로 생명이 어떻게 해서 생겨났는가를 상상하기 위해서는, 우리들이 알고 있는 모든 생물의 물질적 기초를 이루고 있는 이 원소들의 역사에 먼저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안됩니다. 생명 구성의 기본적 물질인 유기물은 언제나 탄소를 포함하고 있는 점에서 무기물과 구별됩니다. 동물질이나 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