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무신론 13

창세기 1장의 현대적 해석에 의한 “알파 창조론”(논문: 연재1)

“Alpha Creationism” by modern Interpretation of Genesis 1 [초록] 이 논문은 우주와 지구 생명의 기원을 이해하기 위해 창세기 1장을 연구한 것이다. 히브리인들은 창세기 1장이 하나님의 영이 모세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듣게 하고, 이상으로 하나님의 창조의 진행 상황을 보고 서술하게 하셨다고 믿었다. 히브리 혈통의 현대 유대인과 기독교인들은 그것을 역사적 사실로 믿고 그것을 창조 톨레도트(Creation Toledot)라고 부른다. 그것은 유대교와 기독교의 종교적 신앙의 기초를 형성한다. 그러나 창조 톨레도트의 전통적 문자주의 해석에는 현대의 과학적 사실과 맞지 않는 부분이 몇 가지 있다. 더욱이 다윈의 진화론과 공산주의의 유물론이 결합하여 과학적 무신론이 출현한..

“성경은 과학책이 아닌데 어째서 ‘창조과학’인가?”

얼마전 문재인 정부는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로 박성진 교수(포항공대)를 지명했지만, 그가 한국창조과학회 이사로 활동한 경력 등이 논란이 되면서 끝내 박 교수는 후보에서 자진사퇴했다. 그러면서 한국창조과학회의 존재와 그들의 주장이 자연스레 부각됐다. '창조냐 진화냐'하는 해묵은 논쟁부터 '젊은 지구 오랜 지구' 같은 문제들도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렸다. 그래서 오랫동안 우주와 생명의 기원을 창조론적으로 탐구해 온 허정윤 박사를 만나 이와 관련된 다양한 대화를 나눴다. 그는 한국창조과학회 회원이면서도 그들이 주장하는 바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고 있다. 허 박사는 또 최근 「과학과 신의 전쟁」(메노라)을 펴내기도 했다. 그는 이 책에서 이른바 '과학적 무신론'을 반박하면서 오늘날 신을 부정하는 과학주의..

‘과학적 유신론’의 정립을 위한 ‘자연’이해 패러다임의 전환

-노자(老子)의 자연 이해를 중심으로 I. 시작하면서: ‘과학적 유신론’은 왜 주장되어야 하는가? 이 논문은 인간사회를 동물사회로 격하시키는 ‘과학적 무신론’에 대응하여 과학적 방법으로 ‘과학적 유신론’을 정립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과학이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는 자연이해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먼저 ‘과학적 무신론’이 나오게 된 과정을 살펴본 다음에 노자와 과학의 자연 이해를 비교해보면서 우주와 생명의 기원이 창조사건임을 밝혀보고자 한다. 인류의 역사를 살펴보면 신화에서 발전한 신학에서 철학이 파생되었고, 철학에서 과학이 파생되었다. 철학은 과학이 분리되기 이전에는 자연을 연구하는 자연철학을 의미했다. 자연철학은 아이작 뉴턴(Isaac Newton, 1642-1727)이..

‘과학적 무신론의 시발점’으로서『공산당 선언』에 대한 비판

목차 Ⅰ. 서론 Ⅱ. 마르크스의 초기 유물론적 공산주의 운동 1. 『공산당 선언』의 배경 2. 초기 공산주의 운동 Ⅲ.『공산당 선언』 1.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의 계급투쟁의 문제 2. 프롤레타리아와 공산주의자의 관계 3. 사회주의․공산주의 문헌 Ⅳ.『공산당 선언』에 대한 비판 Ⅴ. 결론 Ⅰ. 서론 과학주의를 표방하는 현대인들의 사고방식은 과학의 영역을 벗어나는 것들에 대해서도 과학의 방법을 적용하려고 덤빈다. 과학은 물질의 영역을 대상으로 한다. 왜냐하면 실험을 통해서 입증이 가능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입증에 성공한 것은 과학으로 살아남고 실패한 것은 폐기되고 만다. 그런데 불순한 목적을 가진 자들은 거짓 이론을 실험에 성공한 것처럼 과학적 사실로 주장한다. ‘과학적 무신론’이 그 대..

과학적 무신론의 형성 과정에 관한 소고

-공산주의 유물사관과 진화론의 결합 과정을 중심으로 목 차 Ⅰ. 서론 Ⅱ. 공산주의 유물사관과 다윈의 진화론의 만남 1.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종의 기원』 독서 2. 『자본론 Ⅰ』에 나타난 다윈의 영향 Ⅲ. 엥겔스의 『반듀링론』 등과 오파린의 『생명의 기원』 1. 『반듀링론』 1) 저술의 목적과 『공상에서 과학으로의 사회주의 발전』 2) 유물론에서의 생명 3) 적자생존 또는 생존경쟁에 대하여 4) 진화와 유전, 그리고 원시생물에 대하여 5) 생명의 기원 및 변화의 원리에 대하여 6) 세포와 감각에 대하여 7) 생명관에 대하여 2. 『자연변증법』 등에서 3. 오파린의 『생명의 기원』의 배경 Ⅳ. 결 론 1. 서론 누구나 알다시피 칼 마르크스 (Karl Heinrich Marx, 1818-1883)와 프레드..

자연발생론과 다윈의 진화론에 대한 비판

-자연발생론 ‘변종’으로서의 다윈의 생물학적 진화론에 대한 비판 1. 서론 인간이 가지고 있는 세계관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관념론과 유물론, 또는 유신론과 무신론이다. 관념론은 물질과 정신의 이원론으로 정신에서 사물이 생겨난다고 하면서 유신론으로 연결된다. 유물론은 물질 일원론으로 물질에서 정신이 생겨난다고 하면서 무신론으로 나아간다. 이 두 가지 관점은 우주의 기원과 신의 존재에 관련하여 어떤 믿음을 가지느냐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유신론은 신이 우주의 물질과 생명을 창조했다고 주장하는 입장으로서 원칙적으로 모든 종교적 교리에 근본이 되는 것이다. 반면에 무신론은 신의 존재는 물론 그의 창조를 부정하고, 영원불멸의 우주 물질이 어떤 기회에 스스로 조합하면서 생명을 비롯한 만물이 생성..

과학적 유신론 서론

앞에서 우리는 ‘과학적 무신론’이 나오게 된 과정과 주장하는 내용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그것이 잘못된 이론이라는 사실을 밝 혀냈다. 이제 인간사회를 동물사회로 격하시키는 과학적 무신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먼저 과학적 무신론이 인간사회에 미치는 문제점 을 제기하고, 그 다음에 과학적 유신론의 첫 단계로 과학적 자연이해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을 논의하겠다. 그리고 과학적 자연 이해 패 러다임 전환의 열쇄는 최초의 자연에 이미 신이 존재하고 있음을 갈 파한 노자의 도(道) 사상에 있다는 사실을 밝히겠다. 그 다음에 과학 적 유신론의 명제인 신의 존재에 관련한 과학적 ‘쟁점들’을 제시하고 해답을 찾기 위해 필요한 논의를 진행하겠다. 과학적 무신론의 문제점 과학의 역사를 보면 과학은 어디까지나 전체 자 연을 대..

한국교회에 대한 제안 한 가지.

과학적 무신론자들은 신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물질계와 비물질계를 연결하는 정신, 곧 영혼의 존재와 불멸성도 인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과학적 무신론은 그 실상을 자세히 알고 보면 생명의 발생과 물질변화의 법칙을 고의적으로 왜곡해서 만들어낸 하나의 자연발생론, 즉 위장된 과학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과학적 무신론이 유신론을 무조건 부정하는 것은 인류사회의 전통적 가치와 윤리체계를 뒤엎고 정권을 탈취하겠다는 야망에서 나온 정치적 이념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이다. 현대인은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없는 신의 존재 여부를 놓고 과학적 무신론자와 종교적 유신론자로 갈라져 생존을 걸고 정치적 투쟁을 하고 있다. 이 투쟁에서 승리하는 쪽이 미래의 사회를 지배할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과학적 무신론자들이 과학적 ..

공산당의 종교 정책과 기독교에 끼친 영향

해방 후에 한반도는 남북한을 분할 점령한 미소 양국에 의해 남한에서는 미국적 자유민주체제가, 북한에서는 소비에트적 공산주의 체제가 등장하게 되었다. 조선공산당은 서울에서 박헌영 등에 의하여 재창당(1945)되었지만, 남한에서 성공하지 못하자, 소련군 점령지역인 북한으로 월북하고 말았다(1948). 결국 이로 인하여 한민족은 북한의 남침에 의한 6.25전쟁이라는 민족상잔의 참극을 겪어야 했다. 북한은 이 전쟁에서 실패하자 박헌영 등 소위 월북 공산주의 인사들에게 패전의 책임을 떠넘기고 ‘자유시 참변’ 또는 ‘스탈린 대탄압’과 똑같은 방식으로 처형했다(1955경). 소련군 점령 시절 및 북한 공산당 정권 수립 이후에 북한 기독교 역시 처참한 핍박을 당하고 많은 순교자들을 내었다. 과학적 무신론의 본거지 소련..

유물진화론적 의식과 정신의 의미

변증법적 유물론으로 보면, 인간의 생명이란 그저 물질의 변화과정에서 거품처럼 잠깐 생겨났다가 사라져버리는 것이다. 그러므로 결국에는 생명이란 것이 아무런 가치와 의미를 가질 수 없는 일시적 물질현상에 불과하다. 마르크스는 헤겔이 일반적인 상식을 가진 사람들처럼 행동한다고 비판했다. 그에 의하면 일반적인 상식을 가진 사람들이란 서로 다른 것들을 보면 그들 사이의 동일성을 보지 못하고 비슷한 것들을 보면 그들 사이의 차이를 보지 못하는 사람들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런 동일성과 차이를 파악할 수 있는 전문가의 진실성이다. 전문가들이 고의 또는 실수로 오류를 저지른다면, 그 결과는 일반 사람들에게 참담한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일반인의 실수는 개인의 몫으로 끝나지만, 전문가의 오류는 사소한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