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하늘과 새 땅 11

오메가 창조론 연구(1)

Ⅰ. 들어가는 글 창조론은 성경에서 창조주이신 삼위일체 하나님의 창조 사역에 관한 기록을 논의하는 것이다. 성(聖)삼위의 한 분이신 성자 예수 그리스도는  [요한계시록]에서 3번이나 자신을 “알파와 오메가”라고 말씀하시면서 그 뜻을 직접 설명하셨다. “이제도 있고 전에도 있었고 장차 올 자요 전능한 자라”(1:8), “처음과 마지막이라”(21:6), 그리고 “처음과 마지막이요 시작과 마침이라”(22:13) 등의 말씀으로. 여기서 알파(A)는  그리스어 알파벳의 첫 글자이며, 처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오메가(Ω)는 그리스어 알파벳의 마지막 글자이며, 마지막이라는 뜻을 가진다. 따라서 오메가 창조론이라는 말은 알파와 오메가이시며 전능하신 분의 마지막 창조를 논의한다는 뜻을 가진다. 요한은 성자 그리스도에 대..

그리스도의 재림과 ‘아마겟돈’ 전쟁

19장 전반부에서는 큰 음녀인 바벨론을 심판하시고, 그의 종들의 피를 갚으신 하나님의 구원과 영광과 능력을 찬송하는 하늘에서의 예배 장면이 서술된다. 그리고 후반부에서는 하나님의 말씀이신 그리스도가 피 뿌린 옷을 입은 채 그의 군대를 이끌고, ‘아마겟돈’ 전쟁에서 승리하는 이야기로 돌아간다. 사탄의 무리인 땅의 임금들과 상인들은 그들과 음행하던 바벨론이 멸망하는 것을 보고도 그들의 음욕을 버리지 않는다. 그들은 사탄의 영에 매여 살고 있다. 그들은 오히려 멸망한 바벨론의 부를 한 몫씩 나눠 가지고, 영화와 사치를 계속 누리려고 한다. 사탄은 반역의 본성을 가지고 있다. 사탄은 하늘에서 하나님을 반역하다가 쫓겨났고, 땅에서도 하나님의 말씀이신 그리스도가 죽임을 당하여 피를 뿌리게 했다. 그로 인하여 사탄은..

일곱 대접에 담은 하나님의 진노의 재앙(그리스도의 최후 승리)

창조론적 종말론-18 오늘날의 신학동향 - 창조신학 기사입력 : 2021.10.05 08:55 “15장에서 “하나님의 종 모세의 노래”와 “어린 양의 노래”를 부르는 자들은 생명책의 심판에서 구원을 받은 성도들이다. 셋째 화”는 그 노래들에 담긴 예언처럼 일곱째 나팔 단계에서 하나님의 마지막 진노로 진행되는 일곱 대접의 재앙이다. 모세의 노래는 두 가지가 있다. 이스라엘이 노예로 살던 애굽을 탈출하여 홍해를 건넜을 때 불렀던 것(출 15:1-18)과 광야에서 환난을 겪고 요단강을 건너기 직전에 부른 것(신32:1-43)이다. 그러나 요단강을 건너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에 들어간 여수룬은 “살찌고 비대하고 윤택하매 자기를 지으신 하나님을 버리고 자기를 구원하신 반석을 업신여겼”다(신32:15). 그들..

일곱 대접에 담은 하나님의 진노의 재앙(그리스도의 최후 승리)

새 하늘과 새 땅 “15장에서 “하나님의 종 모세의 노래”와 “어린 양의 노래”를 부르는 자들은 생명책의 심판에서 구원을 받은 성도들이다. 셋째 화”는 그 노래들에 담긴 예언처럼 일곱째 나팔 단계에서 하나님의 마지막 진노로 진행되는 일곱 대접의 재앙이다. 모세의 노래는 두 가지가 있다. 이스라엘이 노예로 살던 애굽을 탈출하여 홍해를 건넜을 때 불렀던 것(출 15:1-18)과 광야에서 환난을 겪고 요단강을 건너기 직전에 부른 것(신32:1-43)이다. 그러나 요단강을 건너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에 들어간 여수룬은 “살찌고 비대하고 윤택하매 자기를 지으신 하나님을 버리고 자기를 구원하신 반석을 업신여겼”다(신32:15). 그들은 결국 구원의 반석이신 어린 양이 죽임을 당하게 했다. “어린 양의 노래”는..

일곱 인 떼기(3): 여섯째 인(인침과 구원받은 자들의 예배)

그리스도가 여섯째 인을 떼실 때 요한에게 보여주신 환상은 다섯째 인을 떼실 때 보여주신 제단 밑의 순교자들이 신원을 청원함에 대한 응답이다. 요한에게 보인 것은 종말의 때와 그때에 구원받은 자들이 예배드리는 모습이다. 네 마리 말을 탄 자들이 재앙을 퍼뜨리기 위해 이미 땅에 내려와 있고, 사탄의 무리는 종말의 때를 예감하고 숨으려 하고 있다. 그러나 하나님은 순교자들에게 약속하신 대로, 그가 정하신 수를 채우실 때까지 종말을 서두르지 않으신다. 하나님은 그가 정하신 수의 사람들에게 인치는 일을 천사에게 맡기신다. 요한계시록에서 ‘인침을 받는다’는 뜻은 생명책에 기록된다는 말과 같다. 하나님의 인을 가진 천사가 땅과 바다를 해롭게 할 권세를 받은 네 천사에게 그의 일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 달라고 요청한다...

“죽임을 당하신 어린 양”과 마귀

요한은 하늘교회에서 “죽임을 당하신 어린 양”이 주 하나님으로부터 두루마리를 받으시고, 왕으로 즉위하시는 예배 광경을 지켜보았다. “어린 양”은 땅에서 죽임을 당하신 그리스도이시다. 요한이 그리스도가 두루마리의 일곱 인을 떼면서 나타나는 환상을 보니, 그 두루마리에 씌어 있는 “장차 될 일”은 땅에서 그리스도를 죽인 마귀와 그 무리에게 진노하신 주 하나님이 기획하신 것이었다. “장차 될 일”은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요한에 의하면 진노하신 주 하나님은 마귀와 그 무리를 심판하여 불못에 던지시고, 새로 창조하시는 “새 하늘과 새 땅” 그리고 “새 예루살렘”에서 “생명책”에 기록된 자를 백성으로 삼아 영원한 왕국을 만드신다. 그러나 “장차 될 일”은 땅으로 쫓겨난 마귀와 그 무리가 그리스도가 세우신 ..

“생명책”의 “자기 행위” 심판

창조주 하나님은 아담의 몸을 흙으로 만드시고 그에게 생명을 불어 넣어주신 분이시다. 기독교인들은 누구나 하나님이 인류의 조상 최초의 아담을 창조하셨다고 믿는다. 그러나 아담은 창조주 하나님이 “땅을 정복하라” 그리고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고 하신 원복음(창1:28)과 “네가 먹는 날에는 반드시 죽으리라”고 하신 경고(2:17)를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사탄 곧 옛 뱀의 유혹에 넘어가서 선과 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를 따 먹는 불순종의 죄를 저질렀다. 아담의 불순종을 죄로 보신 하나님은 “너는 흙이니 흙으로 돌아갈 것”(3:19)이라고 심판하시면서 땅까지 저주하셨다. 그렇게 하여 아담과 그의 자손들은 죽어서 몸은 다시 흙으로 돌아가게 되고, 생명은 하나님에게 돌아가게 되었다. 그러나 구약성경에 의하면 ..

“어린 양의 생명책”

“생명책”은 히브리어 ‘סֵּפֶר’를 바탕으로 하는 말이다. ‘סֵּפֶר’를 ‘싸파르’로 발음하면 ‘계산하다, 세다’는 뜻의 동사, 또는 왕의 계산을 담당하는 서기관 등의 명사로 쓰는 경우이다. 그리고 ‘쎄페르’로 발음하면 ‘기록된 것’ 또는 ‘책’이라는 명사로 쓰는 것이다. 전자의 예로는 창세기 15:5에서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그의 자손들이 뭇별처럼 번성하는 복을 주시면서 “하늘을 우러러 뭇별을 셀” 수 있느냐고 물으시는 데 쓰셨고, 서기관 등의 명사로는 역사서에서 많이 썼다. 후자의 의미로는 다윗이 “그들을 생명책에서 지우사 의인들과 함께 기록되지 말게 하소서”(시69:28) 등에서 ‘살아 있는’ 또는 ‘생명체들’을 의미하는 ‘하이욤’(חַיִּים)을 붙여서 ‘생명책’(סֵּפֶר חַיִּי..

“새 하늘과 새 땅”에서 받을 큰 약속: 영생

현대사회는 하나님이 “새 하늘과 새 땅”을 창조하실 세상의 종말에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는 징조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말세는 성경에서 거룩한 선지자들에 의하여 줄기차게 경고해왔던 문제이다. 말세의 근본 원인을 살펴보면 백성을 인도하는 교회가 하나님이 인간을 창조하신 목적, 곧 땅과 생물을 다스리 일(창1:28)을 제대로 가르치지 않는 동안 세상에서 하나님의 창조를 부정하는 자들이 그 일을 함으로써 창조질서가 무너지게 된 것이다. 그들에 의하여 하나님이 처음 하늘과 땅을 창조하신 목적은 묻혀버리고, 인간 세상에서 하나님은 추방되었다. 베드로는 이에 대하여 “말세에 조롱하는 자들이 와서” 자기의 정욕을 따라 행하며 조롱하여 말하기를 “하늘이 옛적부터 있는 것과 땅이” “하나님의 말씀으로 된 것을 그들이 일..

넷째 날(2): ‘고대 히브리인들의 우주관’의 옛 하늘과 옛 땅

넷째 날 창조 톨레도트에서 1:16-18은 모세가 그의 설명을 덧붙여놓은 것이다. “(16)하나님이 두 큰 광명을 만드사 큰 광명으로 낮을 주관하게 하시고 작은 광명으로 밤을 주관하게 하시며 또 별들을 만드시고, (17)하나님이 그것들을 하늘의 궁창에 두어 땅에 비취게 하시며, (18)주야를 주관하게 하시며 빛과 어두움을 나뉘게 하시니라 하나님의 보시기에 좋았더라”. 이 구절들에서 모세는 낮을 주관하는 큰 광명과 밤을 주관하는 작은 광명은 각각 해와 달이고, 그밖에 징조와 사시와 일자와 연한을 이루기 위해 별도 있었다고 서술했다. 하나님은 시간을 하늘에 있는 광명들이 주관하게 하셨다. 병들은 작은 광명이 주관하는 밤에만 보이게 하셨다. 여기에서 ‘주관하다’는 뜻으로 번역된 히브리어 ‘레멤쉐레트’(לְ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