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무신론 비판(진화론+유물론)/다윈의 [종의 기원] 비판 9

찰스 다윈 소장 '개인 도서 전체' 최초 공개

입력2024.02.12. 오전 11:31 문세영 기자 찰스 다윈이 소장한 기록물. darwin online 제공. 영국 생물학자 찰스 다윈의 개인 도서관에 소장된 책 전체가 처음으로 공개됐다. 11일(현지시간) 가디언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영국 과학사학자인 존 반 와이허 박사가 이끈 프로젝트를 통해 다윈의 도서관에 있는 책, 저널, 팸플릿, 기사 등이 20년간의 조사 및 정리 끝에 공개됐다. 최초의 박테리아 사진이 담긴 독일 정기간행물부터 엘리자베스 개스캘의 소설까지 다윈이 소유한 도서들의 범위는 방대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와이허 박사가 운영하는 ‘다윈 온라인’ 홈페이지를 통해 다윈이 소장한 1만3000권의 책을 7400개의 타이틀로 분류해 300쪽의 카탈로그로 소개됐다. 일부 책은 경매 기록을 바탕으..

진화론의 현대적 종합

[사이언스N사피엔스] 2021.02.04 14:00 찰스 다윈에게 진화론 영감을 준 갈라파고스제도의 핀치새. 네이처 제공 19세기 과학의 가장 위대한 성과라면 진화론을 주창한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을 꼽을 것이다. 그만큼 다윈의 진화론의 등장은 과학사적으로 엄청난 일대 사변이었으며 이후 20세기에도 과학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다윈의 진화론이 20세기에 수용되는 과정에는 다소간의 부침이 있었다. 무엇보다 다윈의 진화론에서는 유전 메커니즘이 빠져 있었다. 유전은 진화에서 빠질 수 없는 단계이다. 주어진 환경에서 생존에 유리한 변이가 후대에 전해져야 진화가 일어난다. 다윈 자신이 제안한 유전이론이 없지는 않았다. ‘판제네시스’라 불리는 이 이론에서는 생물체의 세포마다 자가증식성 소분체(ge..

과학적 무신론 비판(3): 종의 기원

찰스 다윈은 하나님이 지구 생물을 종류별로 창조하셨다는 사실을 생물학적으로 부정한 최초의 인물이다. 다윈은 『종의 기원』(1859)에서 지구 최초의 생명체는 ‘창조자’(Creator)에 의하여 ‘몇 개 또는 한 개’ 만들어졌고, 그것이 번식하면서 자연선택의 방법으로 인간으로까지 진화했다고 주장했다. 그보다 조금 늦게 그레고어 멘델은 “식물의 잡종에 관한 연구”(1866) 논문을 발표하여 생물에게 나타나는 변이는 유전자의 법칙에 의한 것이라 주장했다. 멘델의 주장은 다윈의 자연선택에 의한 무작위적인 변이를 명백히 반박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다윈의 진화론을 학습한 역사적 유물론자들은 생명을 물질적 현상으로 보면서 창조자까지 부정했다. 그 결과 오파린은 생명이 물질에서 발생했다는 화학적 진화론을 주장할 수 있..

현대 다윈주의자 마이어의 견해에 대한 비판

『종의 기원』은 다소 애매하지만, 유신론적 해석이 가능했다. 다윈은 제1원인으로서의 창조주의 창조를 부정하는 데까지 이르지는 못했기 때문이다. ‘현대종합설 그룹’의 일원으로서 저명한 다윈주의자인 에른스트 마이어는 이에 대해서 “다윈이 생각한 종의 특징은 유형론적 종의 개념과 유명론적 종의 개념을 혼합한 것”이라는 애매한 말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종의 기원』은 당시까지 주류 사조로서 성경과 린네의 이론으로 설명되었던 “종류대로” 창조되었다는 창조주의적 유형론을 전적으로 부정하는 내용이었다. 그리고 다윈은 ‘진화에는 목적성이 없다’는 주장에서 유형론적 종의 개념을 전혀 발견할 수 없다. 다윈은 다만 창조주의 창조가 ‘한 개 또는 소수의’(one or a few) 원시 생명체만 만든 것으로 생각했을 뿐이..

『종의 기원』이론의 불가능성

(1) 광합성 작용: 식물과 동물 사이의 장벽 피터 크뢰닝(Peter Kröning, 1937-2003)은 식물의 광합성에 관해 오랫동안 연구를 한 생물학자로서 식물과 동물의 사이에는 광합성 작용이라는 또 하나의 건널 수 없는 장벽이 있음을 알려준다. 광합성 작용이란 식물이 섭취한 무기물과 태양의 빛 에너지가 식물의 엽록체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에너지원인 탄수화물과 같은 유기물질로 변환하는 화학작용을 말한다. 이때 식물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내놓는다. 식물은 광합성 작용을 이용하여 영양분을 자체 생산하는 독립 영양체이다. 광합성 작용은 엽록체를 가진 깊은 바다 속의 해조류나 지구상 그 어떤 식물도 할 수 있는 것이지만, 동물에게는 불가능한 것이다. 그래서 동물은 종속 영양체이다. 어떻게 엽록체의..

『종의 기원』이론의 4가지 난점

다윈은 『종의 기원』 제6장에서 이미 그의 이론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4가지 난점이 있다고 고백하고 있다. 다윈은 이 문제에 대해 스스로 대답하고 있으나 그의 대답은 과학적인 설명이라고 할 수 없는 것들이며, 이 문제들은 현대 다윈주의 진화론자들에 의해서도 아직까지 충분히 설명되지 않고 있다. ① 첫째는 종간(種間)의 점진적 분화(分化) 과정에서 중간종(中間種)이 발견되지 않고 있다는 난점이다. 다윈은 중간종이 멸종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것은 만족할 만한 대답이 못된다. 왜냐하면 다윈의 점진적 변이론은 작은 변이가 계속 발생하여 누적되는 것이기 때문에 중간종도 반드시 계속적으로 생겨나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중간종의 증거가 없다면 다윈의 이론은 더 이상 설득력이 없는 것이다. 헉슬리도 이 때문..

다윈의 『종의 기원』에 대한 초기 논쟁들

(1) 초기 지지자들 당시 영국 빅토리아 여왕 시대의 사조는 자연에도 하나님의 섭리로서 진보를 향하는 목적론이 적용되는 것으로 보고 있었다. 그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다윈의 진화론을 이와 크게 다르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왜냐하면 그가 케임브리지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했고 열렬한 신자인 그의 아내 엠마(Emma) 덕분에 최소한 목적론자로는 인정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다만 다윈의 주장이 창세기의 창조기사와 다른 것이 문제되었을 뿐이다. 다윈은 다만 하나님의 유형별 창조를 과학적으로 의심하는 사람으로 이해되었다. 이런 경향에는 그의 『종의 기원』의 마지막 구절에 쓰인 “창조자”(the Creator)라는 말도 효과적으로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다윈은 그의 『종의 기원』 마지막 구절에서 “생명은 그 몇 가지 능..

『종의 기원』: 생물학적 진화론 개념

다윈이 『종의 기원』에서 제시한 이론을 한 줄로 요약하면 이렇다. 창조자(Creator)에 의하여 숨을 쉬게 된 최초의 한 개 또는 몇 개의 생물적 종의 자손들이 자연선택에 의한 변이의 축적에 의하여 다른 종으로 진화했으며, 지금도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다윈의 진화론을 비판하자면 종과 변이와 자연선택이라는 세 가지 중심 개념의 파악이 중요하다. 이 세 가지 개념만 제대로 이해하면 다윈의 이론은 어려울 것이 없다. (1) 종-변종 다윈은 ‘종’(species)이라는 말과 함께 변종, 원(시)종, 초기종(공통조상) 등의 용어를 쓰고 있다. 다윈의 시대에 자연적 ‘종’에 대한 분류는 스웨덴의 식물학자 린네(Carl von Linne, 1707-1778)의 분류 방법을 따르고 있었다. 린네는 자연계를 먼저 광..

다윈의 『종의 기원』 출판

다윈이 케임브리지대학에서 신학공부를 마쳤을 때(1831) 해군 함정 비글호(HMS Beagle)를 타고 탐사여행을 할 기회가 주어졌다. 다윈이 5년 동안 비글호 탐사여행을 끝내고 귀국했을 때(1836) 다윈은 갈라파고스 제도 세 개의 섬에서 수집한 세 가지의 핀치새(finch bird) 표본을 생물학자 존 굴드(John Gould, 1804-1881)에게 보냈다. 그런데 굴드는 뜻밖에도 다윈이 보낸 세 가지 표본은 각각 다른 종이라고 판정했다. 굴드에 의하면, 그것들은 하나의 종에서 나온 후손들이 다른 종으로 변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다윈이 표본들을 다시 조사해보니 그것들은 남아메리카에서 날아온 핀치새의 후손들이 갈라파고스 세 군데의 섬에서 따로 살았던 것이었다. 그런데 굴드가 다른 종이라고 판정한 근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