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창조론 연구 자료실/현대 창조론 칼럼 or 논문zip 68

“창세기 1:26~27, 사람 창조하신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근거”

허정윤 박사, 제38회 창조론온라인포럼서 발제 기독일보 장지동 기자(zidgilove@cdaily.co.kr) 허정윤 박사 허정윤 박사(창조론오픈포럼 공동대표, 알파와오메가창조론연구소)가 최근 온라인으로 진행된 제38회 창조론온라인포럼에서 ‘창세기 1:26~27에 관련한 해석 연구’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허 박사는 “움직이는 생물 중에서 사람만이 종교를 가지고 있다”며 “사람을 창조하신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경전적 근거가 창세기 1장 26~27절에 나타난다”고 했다. 이어 “창세기 1장 26~27절을 연구하며 발견한 세 가지는 먼저, 사람의 창조계획을 선포하시는 하나님이 스스로 ‘우리’라고 표현하신 삼위일체에 대한 논의이며, 둘째로 ‘우리의 형상’과 ‘우리의 모양’에 내포된 사람과 하나님의 공유·비공유..

더 가까워진 이종장기 시대

[프리미엄 리포트] 2022.03.12 06:00 1월 11일 미국 메릴랜드대 연구팀이 유전자 편집 돼지의 심장을 살아있는 사람에게 이식하는 수술을 진행하고 있다. 메릴랜드대 제공 지난 1월 6일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이 발표한 2021년 4분기 통계에 따르면, 장기이식을 기다리는 국내 환자는 4만 5000여 명이다. 그에 반해 지난 한 해 동안 실제로 장기이식이 이뤄진 사례는 단 1400여 건에 불과하다. 기증받을 장기를 기다리는 환자들은 계속해서 늘어나는 추세지만, 이식할 수 있는 장기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장기 부족은 전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의료문제다. 이종장기 이식(Xeno-transplantation)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꼽힌다. 사람이 아닌 다른 종의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하는 방..

지구 스쳐간 '거대 소행성', 왜 미리 인지 못 했을까

[아하! 우주] 송현서 입력 2022. 01. 18. 17:56 댓글 219개 [서울신문 나우뉴스] 우주의 신비갤러리 이동 지구로 접근하는 소행성 상상도 자료사진 123rf.com 2020년 8월, 지름 1.8~5.5m의 소행성 ‘2020 QG’가 지구에서 약 3000㎞ 떨어진 상공을 유유히 스쳐 지나갔다. 이 소행성은 우주 관측 역사상 지구와 가장 근접하게 스쳐 지나간 소행성으로 기록됐는데, 당시 전문가들이 소행성이 접근 사실을 미리 인지하지 못했다는 사실이 알려져 충격을 안겼다. 소행성 2020 QG는 미국 캘리포니아에 있는 천체 관측소인 팔로마산천문대에서 포착됐는데, 존재를 확인했을 때는 이미 소행성이 지구에서 한참 멀어진 후였다. 지구를 스쳐 지나간 거대 소행성의 존재를 아무도 눈치채지 못했던 것..

“초파리 연구로 ‘미진단 질환’ 치료에 도움 되고파”

초파리 유전학자 목정완 박사가 바라본 ‘과학자의 꿈’ 2021.01.14 07:24 김은영 객원기자 “초파리와 인간과 매우 닮았다는 것을 아시나요? 인간과 초파리는 유전자 60%가 겹친답니다.” 목정완 카이스트(KAIST) 생명과학 박사는 초파리로 인간의 유전학을 연구하는 ‘특이한’ 유전 학자다. 목 박사가 13일 서울시립과학관에서 개최한 진로 탐구 프로그램 ‘멘토링의 제왕- 세상을 바꾼 작은 영웅들’에서 과학자를 희망하는 청소년을 위한 멘토로 나섰다. 13일 서울시립과학관에서 개최한 진로 탐구 프로그램 ‘멘토링의 제왕’의 멘토로 나선 목정완 카이스트 생명과학 박사. (사진=오른쪽) ⓒ 서울시립과학관 목 박사는 초파리로 200세대를 관찰했다. 그는 현재 인간의 유전자와 대체하는 초파리 유전자 연구를 진행..

창조주 하나님을 아는 지식에서 과학의 필요성 The Need of Science in the Knowledge of God the Creator

1. 서론 2. 하나님을 아는 지식의 기초 1) 창세기 2) 하나님을 아는 지식을 버린 이스라엘 3) 이스라엘을 버리신 하나님 4) 예수 그리스도의 천국복음의 의미 3. 하나님의 창조를 아는 지식을 거부한 기독교 4. 엘렌 화이트가 환상으로 본 창조와 노아홍수: 홍수지질학 5. 창조도 없고 과학도 없는 창조과학 1) 창조과학의 역사 2) 창조과학에는 창조도 없고 과학도 없다 3) 예수와 그의 제자들도 ‘타협’했는가? 6. “스스로 있는 자”이신 창조주 하나님 7. 하나님을 아는 지식을 왜 성경에 제한해야 하는가? 1) 자연에 계시된 하나님의 창조법칙 2) 하나님의 창조법칙을 연구하는 과학 8. 결론 1. 서론 기독교인들의 관점에서 보면 오늘날 현대인들의 생활은 하나님의 창조질서를 점점 무너뜨리는 방향으로..

생명의 진화 불가능성에 대한 소고 Approach to the Origin of Life in Physical Viewing

Ⅰ. 들어가며 Ⅱ. 최초의 생물: 한 개의 세포로 시작되었다. Ⅲ. 원핵세포의 구조 Ⅳ. 생명에 대한 창조론과 진화론, 그리고 지적 설계론의 논쟁 Ⅴ. 세포와 생명의 발생 Ⅵ. 생명의 기원에 대한 진화론의 불가능성 Ⅶ. 나가며 Ⅰ. 들어가며 생명을 가장 단순하게 정의한다면, 생물의 살아있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생물은 생명을 가진 물체이다. 지구에서 살아가는 생물들을 지세히 보면, 종류별로 매우 다양한 형태를 가치고 있다. 그러나 지구에는 처음에 물질만 있었고, 생물이 없었던 때가 있었다. 그렇다면 생물에 대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질문은 처음에 ‘생물이 물질에서 어떻게 생겨났는가?’이다.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크게 창조론과 진화론이라는 두 가지의 관점에서 나온다. 두 관점은 처음부터 정반대의..

진화론 비판과 기독교 창조론

Ⅰ 개관하면서 고대인들은 신의 존재와 그에 의하여 우주만물이 창조되었음을 전혀 의심하지 않고 믿었다. 이런 사실은 각 민족이 갖고 있는 민족 신화에 반영되어 있다. 그러나 BC. 5세기경에 이르자, 신화에 대한 회의가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에 의하여 생겨나기 시작했다. 인간이 철학하면서 품게 되는 가장 큰 의문은 ‘내가 어떻게 이 세상에 존재하게 되었는가?’일 것이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은 생명의 기원에 대하여 생물은 신이 생명력(엔텔레키)을 이미 부여해놓은 물질에서 생겨난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를 고대의 물활론적(또는 생기론적) 자연발생론이라고 한다. 그렇게 하여 그리스에서 각종 자연발생론이 제안되고 있던 중에 예수 그리스도에 의하여 유대교를 개혁한 기독교가 탄생했다. 기독교는 창세기를 포함한 유대교의..

창세기의 ‘욤’(날)과 ‘라키아’(궁창)의 현대적 해석

Ⅰ. 서론 기독교 성경에는 창조자 하나님이 천지만물을 창조하였다고 서술하는 창세기가 있다. 그런데 오늘날 기독교가 당면한 심각한 문제의 하나는 창세기를 ‘문자 그대로’ 해석하는 창조론이 현대인들로부터 배척당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 문제를 놓고 기독교인들 사이에서도 갈등하고, 논쟁하고, 심지어는 교회를 떠나기까지 한다. 이 문제의 심층을 들여다보면, 그곳에는 창세기의 서술에 대한 해석의 차이가 충돌하고 있다는 사실이 발견된다. 창조자 하나님과 그의 창조를 믿는 기독교인들조차 창세기를 읽을 때, 모순적인 서술들에 부딪쳐 이해하고 믿을 수 없는 경우가 있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런 문제를 안고 있는 창세기를 현대인들이 읽고 올바로 해석하기 위하여 먼저 문헌의 배경부터 알아보자. 창세기는 BC. 약 ..

지구의 나이 6,000년 설은 기독교적 진리인가? Is the theory of the earth-age 6,000 years the Christianomical truth?

Ⅰ. 서론 Ⅱ. [주장 1] 성경은 하나님이 수천 년 전에 문자 그대로 하루가 24시간인 6일 동안에 창조하셨음을 가르치고 있다. Ⅲ. [주장 2] 출애굽기 20:11절은 창세기 1장을 수십억 년의 연대와 조화시키려는 모든 시도 를 차단하고 있다. Ⅳ. [주장 3] 노아의 홍수는 수십억 년의 시간을 쓸어버린다. Ⅴ. [주장 4] 예수님은 젊은 지구 창조론자(a young-earth creationist)셨다. Ⅵ. [주장 5] 수십억 년의 연대는 죽음과 하나님의 특성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을 왜곡하는 것 이다. Ⅶ. [주장 6] 수십억 년 이라는 생각은 과학적인 사실들로부터 생겨나지 않았다. Ⅷ. [주장 7] 방사성 동위원소 연대측정 방법은 수십억 년을 입증하고 있지 않다. Ⅸ. 결론 I. 서론 일부 기독..

지구와 우주의 나이는 몇 살인가? How Old Are the Earth and the Universe?

[ 그림 ] 과학의 발전상을 보여주는 세 우주선과 이들이 얻은 우주배경복사 데이터 . 좌로부터 1989 년 발사 COBE 위성 , 2001 년에 발사한 WMAP 위성 , 2009 년에 발사한 PLANCK 위성과 그들이 얻은 데이터 I. 서론 II. 과학계의 오랜 우주론 1. 빅뱅우주론 2. 우주연대 138억년설 3. 지구연대 46억년설 (1) 암석을 이용한 연대측정 (2) 지질연대표와 화석의 연대측정 (3) 방사성 탄소-14 연대측정법 III. 기독교의 젊은 우주론 1. 6일 창조설 2. 우주연대 6천년설 IV. 시간의 가변성에 대한 검토 1. 성년 창조설과 겉보기 나이 2. 시간의 물리적 가변성 V. 오랜 우주론과 젊은 우주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오랜 우주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2. 젊은 우주론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