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흑물질 10

천문학계 논란 지핀 중력이론..."암흑물질은 신기루" 갑론을박

2024.03.15 07:00 은하의 회전운동. 사진 출처 위키미디어. 전통적인 과학 통념에 어긋나는 우주 이론이 제시돼 과학계에 논란을 예고했다. 물리천문학계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암흑물질 없이 우주 팽창과 은하 회전운동을 설명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조너선 오펜하임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교수 연구팀은 지난달 29일 논문 사전게재 사이트 ‘아카이브(Arxiv)’에 암흑물질로 설명해온 우주 현상을 암흑물질 없이 설명할 수 있다는 논문을 발표해 파문을 일으켰다. ● 암흑물질 없이 시공간 불규칙으로 ‘은하 회전운동’ 설명 기존 우주론에 따르면 우주에 존재하는 물질 중 인간이 볼 수 있는 물질은 항성, 행성 같은 천체와 가스 등으로 고작 약 5%에 불과하다. 과학자들은 우주의 나머지 68%가 ..

암흑물질은 다중우주 원시블랙홀로 구성됐다?

다중우주 시나리오 따라 초광시야 카메라로 관측 진행 2020.12.30 11:00 김병희 객원기자 우주 초기의 가속팽창 때 생긴 ‘자식’ 우주들이 그 후 암흑물질 후보 중 하나인 블랙홀이 되었다는 이론을 지지하는 연구가 나왔다. 일본 도쿄대 카블리 물리 및 수리 우주연구소(Kavli IPMU)와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대(UCLA) 공동연구팀은 원시블랙홀 형성에 대한 새로운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하와이 마우나케아 관측소 스바루 망원경에 탑재된 초광시야 주초점 디지털 카메라(Hyper Suprime-Cam; HSC)를 사용해 ‘다중우주’ 이론에 나오는 블랙홀을 찾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들의 연구는 미국물리학회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 10월 30일 자에 실렸..

암흑물질 탐지시간 4분의 1로 줄인다

2020.12.15 18:29 방의 개수에 따른 여러 가지 다중방 공진기에서 전자기파 신호가 각방에 어떻게 분포될지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전자기장이 강하면 붉은색, 약하면 파란색으로 표시했다. IBS 제공 국내 연구팀이 암흑물질로 추정되는 액시온의 검출 시간을 종전보다 4분의 1로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알아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액시온 및 극한상호작용 연구단은 암흑물질 후보인 ‘액시온’의 고주파수 신호를 효율적으로 검출하는 다중방 공진기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액시온은 우주에 존재하는 물질의 근원을 밝히기 위해 이론적으로 고안한 물질이다. 과학자들이 1983년 액시온이 암흑물질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 이후 줄곧 암흑물질의 강력한 후보로 거론됐다. 암흑물질은 우주의 약 4분의 1을 차..

강력한 중력렌즈 현상 포착, 표준우주모형 바뀔까

2020.10.08 10:03 NASA, ESA 제공 표준우주모형은 우주가 어떻게 구성됐고 앞으로 어떤 모습으로 변해갈지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표준우주모형에 따르면 우리 눈에 보이는 우주는 전체 우주의 5%에 불과하다. 68%는 암흑에너지, 27%는 암흑물질로 구성돼 있다. 암흑물질은 빛과 반응하지 않아 눈에 보이지 않으며 정체가 아직 확인되지 않은 물질이다. 그 분포는 빛이 중력장에서 휘어져 보이는 중력렌즈 현상을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마시모 메네게티 이탈리아 국립천체물리연구원 볼로냐천체물리관측소 연구원이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팀은 허블우주망원경(HST)과 초거대망원경(VLT)으로 초거대 은하단 MACSJ1206 등 3개의 은하단을 관측하던 중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수십 배가량 ..

세계 최대 규모 실험으로 은하 형성과 진화 이론 가장 사실적으로 재현했다

2020.10.19 14:00 KISTI와 고등과학원, 천문연 공동연구 HR5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현한 가장 큰 은하단 중 하나를 포착한 모습이다. 붉은 색은 기체의 온도, 푸른색은 기체의 밀도, 회색은 중원소 분포를 가리키며 빛나는 지역은 별들이 모여 있는 은하를 보여준다. KISTI 제공. 국내 연구진이 우주의 진화와 은하 생성을 이론적으로 계산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수치모의실험을 수행하고 은하의 형성과 진화 이론을 가장 사실적으로 재현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슈퍼컴퓨터 ‘누리온’을 활용한 연구결과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과 지난해 사건지평선망원경(ETH) 연구를 통한 인류 첫 블랙홀 관측으로 관심을 끈 초거대 블랙홀의 성장 과정을 이해하는 중요한 이론적 자료를 제시한 것..

물리학계 최대 숙제 “우주의 지배자 ‘암흑물질’ 찾아라”

2017.11.03 11:00 암흑물질 후보 3파전 지구에서 빛의 속도로 37억 년 가야 하는 거리에서 두 개의 은하가 충돌했다. ‘총알은하단’이라고 불리는 이 천체를 X선으로 찍으면 가운데에 충돌한 은하가 모여 있지만(총알 모양), 중력만 따로 측정하면 좌우로 이미 지나간 모습(둥근 모양)으로 나온다. 보이지 않는 ‘암흑물질’이 존재한다는 간접증거다. -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한국인이 제안한 ‘암흑물질’의 존재를 우리 손으로 입증할 기회가 열릴까. 기초과학연구원(IBS) 액시온 및 극한상호작용연구단은 2일 오후 대전 KAIST 문지캠퍼스에서 열린 ‘제1회 암흑세계 콘퍼런스’에서 독자적으로 구축한 암흑물질 검출 실험실의 개소식을 열고 그동안 만든 장비를 정식 공개했다. 연구단은 강력한 암흑물질 후보로 꼽히..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란 무엇인가?

스타에디터3시리즈콜라보상식의 재발견 10분 안에 정리한다! 보누스 출판사 (* 이 포스트는 보누스가 출간한 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우주에서는 소수에 불과한 ‘물질’ 물질은 쿼크가 모여서 만들어지는 양자나 중성자 등의 복합 입자로 구성된다. 이 세계에서 우리는 물질에 둘러싸여 있으며 물질과 접촉하면서 살고 있다. 그러나 우주에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암흑물질’(dark matter)도 존재한다. 물질은 ‘빅뱅’ 당시에 탄생했는데, 암흑물질도 같은 시기 혹은 그 시기를 약간 전후해서 생겨난 것으로 추측한다. 정체불명의 물질이지만, 만약 암흑물질이 없었다면(암흑물질의 질량이 없었다면) 우주는 지금 같은 형태로 진화할 수 없었을 것이다. 이는 여러 연구자들이 컴퓨터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해 얻은 결과이기도 하..

과학적 유신론의 ‘쟁점들’에 대한 답안-1(존재의 최초원인)

과학적 유신론은 앞에서 3단계로 발전했던 진화 론들을 차례로 비판하면서 과학적 무신론의 오류 를 지적했다. 그리고 신의 실재를 발견하기 위하여 동양과 서양의 철학은 물론 현대과학의 양자이론들까지 두루 학습했다. 그러는 동안 우리는 실재가 관측과 실험이 가능한 ‘보이는’ 것도 있지만, ‘보이지 않는’ 것도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만물의 최초원인이 과학적으 로는 우주 에너지 총량이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더욱 중요한 사실은 생명의 최초원인으로 신이 존재한다는 사실 또한 알게 되었다는 것이 다. 어떤 이론이든지 제안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그것이 사실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면, 그 이론은 폐기되어야 하는 것이다. 사실은 과학이론이나 종교의 교리보다 중요하다. 왜냐하면 사실이 진리이 기 때문이다. 진리를..

Λ(람다)CDM 모형 우주론

1. Λ(람다)CDM 모형우주론이 나오기까지 아인슈타인은 한때 정상우주론을 지지하기 위하여 그의 상대성 이론에 Λ(람다: 그리스어)라는 우주상수를 넣었다. 그런데 허블의 팽창우 주론이 설득력을 얻게 되자, 아인슈타인은 Λ상수를 실수로 인정하고 철회했다. 이제 현대 우주론에서 우리우주의 시작점은 빅뱅이라고 보는 견해가 주류이다. 빅뱅 우주론은 우주가 ‘특이점’에서 시작했다 고 본다. 빅뱅 순간 나타난 물질의 최초 형태는 빛-광자이었다. 광자는 우주를 시작하는 빅뱅에서 최초로 출현했다.우주가 빛으로 시작되었다고 진술하는 종교적 기록은 기독교의 창세기 1장 3절에서도 발견된다. 광자는 최초로 우주 에너지가 물질로 전환하는 빅뱅에서 입자와 파동의 형태로 생서되었다. 이후 광자는 물질의 생성과 소멸에 작용하는 필..

“무(無)에서 창조”과정(過程)에 대한 과학적 해석 연구

“무(無)에서 창조”과정(過程)에 대한 과학적 해석 연구 - “하나님은 영이시다(요 4:24)”를 중심으로 A Scientific Interpretation of the Process of “Creation out of Nothing” - based on "God is spirit" (John 4:24) 목 차 1. 시작하는 말 2. 태초의 실존적 상황 2.1 태초의 실존 이해 2.2 하나님은 영이시다 3. 우주물질의 생성 3.1 빅뱅 이론 3.2 물질과 에너지의 3법칙 3.3 물리학적 4가지 힘 3.4 암흑물질과 암흑 에너지 4. 물질에 나타나 있는 창조의 흔적 4.1 창조주의 영적 에너지 4.2 물질의 구조 4.3 양자역학 4.4 우주체계를 지탱하는 힘 4.5 “무에서 창조”의 방법론 5. 맺는 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