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무신론 13

‘과학적 무신론’의 발전- 마르크스와 엥겔스, 그리고 다윈의 접촉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헤겔의 변증법과 포이어바흐의 반종교론에 바탕을 두고 철저한 무신론으로 나아갔다. 다윈은 성경의 창조 기사를 그대로 믿지 않은 것은 사실이며, 스스로 불가지론자라고 말했다.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했던 그가 교회에 나가지 않았던 이유가 근본적으로는 여기에 있는 것이다. 다윈이 남긴 저작들의 전체적인 문맥에서 보면, 그는 이신론자라고 보는 것이 맞다. 일반사회 또는 과학계에서는 대부분 다윈주의자들이 무신론을 주장한다. 다윈주의를 자처하는 저명인사들이 거의 과학적 무신론에 빠져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기독교 안에서도 다윈주의자들이 있는데 그들은 대부분 이신론적 입장인 유신진화론을 주장하고 있다. 기독교 다윈주의자들은 예수 그리스도와 성경보다 다윈과 『종의 기원』을 택하고 있다. 그리..

'자연'이해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

-노자(老子)의 자연 이해를 중심으로 I. 시작하면서: ‘과학적 유신론’은 왜 주장되어야 하는가? 이 논문은 인간사회를 동물사회로 격하시키는 ‘과학적 무신론’에 대응하여 과학적 방법으로 ‘과학적 유신론’을 정립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과학이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는 자연이해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먼저 ‘과학적 무신론’이 나오게 된 과정을 살펴본 다음에 노자와 과학의 자연 이해를 비교해보면서 우주와 생명의 출현이 창조신의 창조사건임을 밝혀보고자 한다. 인류의 역사를 살펴보면 신화에서 발전한 신학에서 철학이 파생되었고, 철학에서 과학이 파생되었다. 철학은 과학이 분리되기 이전에는 자연을 연구하는 자연철학을 의미했다. 자연철학은 아이작 뉴턴(Isaac Newton, 1642-1..

무신론적 논제 3가지에 대한 단상

-그리고 내가 했던 답변 질문1. 마르크스가 “종교는 인민의 아편”이라고 한 말에 대하여 답변하라 마르크스의 “헤겔 법철학의 비판을 위하여”라는 논문에 나오는 이 말은 역사적으로 많은 논쟁을 불러 일으켰던 유명한 말들 중의 하나이다. 그 원인은 이 말의 과격성 때문이기도 하지만, 마르크스의 본의가 어떤 세력에 의해 고의적으로 왜곡되었거나 또는 실수로 잘못 해석되었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대체로 다음과 같이 부분적으로 번역된 것이 우리에게 널리 알려졌고, 이것이 오해를 불러온 것이다. “종교적 비참은 현실적 비참의 표현이자 현실적 비참에 대한 항의이다. 종교는 곤궁한 피조물의 한숨이며, 무정한 세계의 감정이고, 또 정신없는 상태의 정신이다. 종교는 인민의 아편이다.” 이 부분적에 대한 우리말 번역문을 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