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창조론 연구 자료실/창조론 연구를 위한 과학 뉴스

약 1000억 년 후 태양계가 해체된다?

heojohn 2020. 12. 17. 10:33

사이언스타임즈

2020.12.10. 14:4111,591 읽음 비밀글

 

태양계 진화 과정의 후반부 예측 결과 발표

수 세기 동안 과학자들은 우리 태양계가 언제, 어떻게 사라질지 알아내려고 노력해왔다. 새로운 시뮬레이션 연구에 따르면, 태양이 완전히 사멸하기 전에 태양계가 해체된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 시기도 기존 예상보다 훨씬 앞당겨진 약 1000억 년 후가 될 가능성이 크다.

지난달 29일 과학매체 ‘사이언스얼럿(sciencealert)’은 UCLA 천체물리학부 박사과정생인 존 징크(Jon K. Zink)가 제1저자로 참여한 흥미로운 연구를 소개했다. 해당 논문은 미국 천문학회 학술지인 ‘천문학저널(The Astronomical Journal)’에 10월 29일 자로 게재된 것으로, 태양계 진화 과정의 후반부를 예측하고 있다.

태양계를 이루고 있는 천체들. ⓒ NASA

 

태양은 언젠가 적색거성을 거쳐 백색왜성이 되고, 다시 1000조(10^15) 년이 지나면 우주배경복사(CMB) 온도까지 낮아져서 흑색왜성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흑색왜성은 우주의 나이인 138억 년을 감안할 때 아직 우주에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천체다. 만약 태양이 흑색왜성으로 변할 즈음이면 태양계는 완전히 식어서 사멸했다고도 볼 수 있다.

또한, 1999년 발표된 연구에서는 목성과 토성의 궤도 공명에 의해 천왕성이 분리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근거로 태양계가 적어도 100경(10^18) 년에 걸쳐 서서히 붕괴한다고 예측했다.

다체문제와 섭동 이론을 도입

징크 연구팀은 과거 연구들이 태양계를 초기에 변화시킬 수 있는 몇 가지 중요한 계산 요소를 빠트렸다고 지적했다. 바로 ‘다체문제(n-body problem)’와 ‘섭동 이론(perturbation theory)’이다.

여기서 다체문제란 3개 이상의 천체가 상호 만유인력의 작용으로 행하는 운동을 논하는 문제이고, 섭동은 어떤 천체의 평형 상태가 다른 천체의 인력에 의해서 교란되는 현상을 뜻한다. 즉, 복수의 천체가 서로 궤도에 영향을 주고받으면 상황이 매우 복잡해져서 정확하게 계산하기 어렵다.

태양이 진화하면 내부 행성 대부분을 삼킬 만큼 커진다. ⓒ Cornell University

 

태양은 앞으로 약 50억 년 뒤부터 70억 년 사이에 점점 부풀어 오르면서 막대한 물질을 방출하고, 결국에는 질량의 54%만 남아 백색왜성이 될 운명이다. 이 과정에서 태양의 크기는 지구와 화성 궤도 중간까지 확장되어 수성과 금성, 지구를 집어삼키게 된다. 아니면 바깥쪽의 지구를 저 멀리 튕겨낼지도 모른다.

화성은 태양에 흡수되지 않지만, 질량이 작아 전체 태양계의 구도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그러한 이유로 연구팀은 내부 행성을 제외한 외부 행성에 초점을 맞춰 10가지 종류의 ‘N체 시뮬레이션(N-body simulation)’을 수행했다.

작은 중력에도 큰 영향 받아

태양 질량이 감소하면 외부 행성들에 대한 중력 지배권도 함께 약해진다. 그 때문에 목성과 토성, 천왕성, 해왕성은 태양으로부터 점차 멀어지고, 각 행성들 간에 중력 영향을 더 크게 주고받는다.

태양계의 외부 행성들. ⓒ NASA / JPL-Caltech

 

이번에 연구팀이 수행한 10개의 시뮬레이션 결과는 의외로 비슷한 시나리오를 보여줬다.

먼저 태양이 백색왜성으로 진화하자 외부 행성들은 더 큰 궤도를 돌았지만, 목성이 태양을 5번 공전할 때마다 토성은 2번 공전하는 5:2 비율의 안정적인 궤도 공명 상태를 한동안 유지했다. 이렇게 확장된 궤도와 공명 상태는 행성들 간의 섭동에 더 취약하다.

대체적으로 약 300억 년이 지나면 행성들의 궤도는 혼란스럽게 뒤엉키고, 결국에는 1개의 행성만 남겨둔 채 모두 태양계를 벗어나 떠돌이 행성이 되었다.

10가지의 다른 시뮬레이션에서 각 외부 행성이 방출되는 시기. ⓒ Zink et al.

 

최후까지 남아있을 가능성이 큰 행성은 태양계에서 태양 다음으로 가장 거대한 천체인 목성이다. 몇몇 시뮬레이션에서는 다른 행성들이 모두 이탈한 다음에도 거의 500억 년을 홀로 존속했다.

연구원들은 “다른 행성이 없으면 홀로 남은 행성은 탈출 에너지를 얻지 못한다. 그때 기대할 수 있는 유일한 에너지원은 지나가는 항성과의 상호 작용이다”라고 밝히면서, 평균적으로 2300만 년마다 한 번씩 태양계 근처를 지나가는 다른 항성계가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측했다.

대부분의 시뮬레이션에서 1000억 년이 지나면 태양계에 행성이 더 이상 남아있지 않았다.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야

논문에서는 몇 가지 주의할 사항을 알렸다. 수십억 년 후에 일어날 사건은 시뮬레이션하기가 쉽지 않아서 몇몇 변수를 단순화하거나 반영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 근접하는 다른 항성계의 경우, 모두 단일 항성이라고 가정했다. 하지만 실제로 은하계에 존재하는 항성계의 절반가량이 쌍성계나 삼중성계라서 이를 반영하면 태양계 해체가 더 앞당겨질 수도 있다.

또한, 태양이 백색왜성으로 변할 무렵이면 우리 은하계와 안드로메다은하의 합병이 끝나게 된다. 그로 인한 변화가 어떻게 진행될지는 현재로선 알기 어렵다.

그럼에도 태양계의 운명에 관한 여러 연구는 여전히 매력적이다. 기존 예상처럼 태양계가 조용히 사멸할지도 모르지만, 언젠가 끝이 있다는 사실만은 분명해 보인다.

심창섭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