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하신 대로 사는 생활 지식/모든 생물을 다스리는 지식

코로나 이후 도시 삶, 녹색서 답 찾다

heojohn 2020. 12. 24. 00:10

입력 : 2020-10-16 00:00 수정 : 2020-10-17 23:16

이탈리아의 한 시민이 로마 도심에서 농사를 짓고 있다. 사진출처=유엔식량농업기구(FAO)

[농민신문·FAO한국협회 공동기획] 세계농업은 지금

FAO ‘녹색도시 이니셔티브’

도시, 총 에너지의 80% 소비

폐기물·온실가스 70% 배출 식량위기·기후변화 대응 필요

3년간 세계 100개 도시 대상

녹지 확보·도농 연계 등 지원 2030년까지 1000곳에 적용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식량난 해결에 도시와 근교에서의 녹색농업이 중요하다고 보고 ‘녹색도시 이니셔티브’를 추진하기로 했다.

녹색도시 이니셔티브는 도시 속 식량난을 종식하고 건강한 식탁을 만드는 방향으로 농식품시스템을 변화시키고자 FAO가 추진하는 신사업으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위한 더 나은 녹색도시 건설’을 목표로 삼고 있다.

녹색도시 이니셔티브 출범행사는 최근 제75차 국제연합(UN) 총회의 부대행사로 온라인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 사람들의 건강과 식량안보 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기후변화를 완화하기 위한 도시의 역할이 강조됐다.

도시는 총 에너지의 약 80%를 소비하는 한편 전세계 폐기물과 온실가스 배출량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취동위 FAO 사무총장은 “지속가능한 식량 생산시스템을 유지하고 농업·산림 등의 녹지 공간을 확보하는 것은 도시에 필수적”이라며 “녹색도시는 기후변화와 코로나19 팬데믹으로부터 회복성을 높이고, 도시민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FAO는 도시 환경 개선과 도시·농촌 연계 강화 등에 녹색도시 이니셔티브사업의 초점을 맞추기로 했다.

‘녹색도시 네트워크’를 만들어 도시간 협력을 강화하고 좋은 사례를 공유한다는 게 FAO의 계획이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민간 부문의 교류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돕고, 도·농간 연계도 강화하기로 했다. 코로나19 같은 외부 충격에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인적·구조적 시스템 개선도 지원할 방침이다.

FAO는 녹색도시 이니셔티브를 통해 향후 3년간 대도시 15개, 중소도시 40개, 소도시 45개 등 전세계 100개 도시에서 도시 및 근교 인구의 생활을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또 2030년까지 전세계 1000개 도시로 대상 지역을 확대하기로 했다.

취 사무총장은 최근 열린 제25차 산림위원회(COFO) 회의에서도 모두 연설을 통해 도시농업 등 도시 공간의 녹지화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취 사무총장은 “코로나19 이전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방식의 접근법이 필요하다”며 “도시와 근교의 녹지화에 대한 지원이 늘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벌채 중단과 재조림 확대가 식량시스템의 지속가능한 변화를 위한 핵심 구성 요소라는 점도 역설했다.

김서진 기자 dazzle@nongmin.com